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노력이라는거 말이에요
아이가 너무 열심히 공부하는데 결과가 안좋아서 막 의기소침해지려구해서
이렇게 말해주면 어떨까해서요 자신의 노력을 자꾸 폄하하더라구요
평소 제 생각이기도하구요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노력은 무조껀 누구에게나 요구할수있는 미덕은 아니다. 노력은 의지로만 가능한것이 아니라 타고난 재능일수있고 대단한 선천적 능력이다. 사람들은 노력은 언제든지 마음먹으면 할수있는것이라고 착각한다. 하지만 뜨겁게 노력할수있는 사람은 노력재능을 가진사람중에서도 본인이 무언가를 이룰만하다고 판단한 사람들만이 행하기에 그수가 아주 흔하지는 않다
노력하는 사람은 이유가 있다
1. 저기
'21.3.18 12:55 PM (61.253.xxx.184)공부 방법이 잘못된거 아닐까요. 예를들면 중요한게 뭔지 모른다든지....공부는 노력하면무조건 결과가 나와야되잖아요..예를들면 국사책을 다 외웠는데 시험을 못볼 이유가 없듯이요
2. ㅇㅇ
'21.3.18 12:55 PM (222.97.xxx.75) - 삭제된댓글공부라는게 혼자하는건 힘들어요
과외같은걸 붙혀서 노력할수있게 이끌어줘야죠3. ㅇㅇ
'21.3.18 12:56 PM (223.62.xxx.244)오은영 선생님글 한번 보세요
재수한 뒤 결과는 어땠나요?
“생각만큼 잘 나오지 않았죠. (성적을 받고 나서) 어느 날 아들이 옆에 와서 그러더라고요. ‘엄마, 제가 정말 열심히 했는데 결과가 그만큼 좋지 않아요.’ 그래서 제가 그랬죠. ‘열심히 한 것 엄마가 다 알지. 하지만, 실력과 결과가 꼭 비례하는 건 아니야.’ 그랬더니 아들이 또 그래요. ‘그래도 점수가 안 좋으니 내가 최선을 다 한 것도 소용이 없잖아요.’ 이번엔 이렇게 말해줬죠. ‘최선을 다한다는 건 결과에 따른 감정까지도 겪어 내는 것까지야. 경우에 따라선 좌절도 하고 마음도 아프겠지. 그것까지도 끝까지 겪어보렴. 얻는 게 있을 거야.’ 그 뒤로는 아이가 실망이나 실패 같은 얘기를 않더라고요.”
https://theqoo.net/square/17124858604. 노력
'21.3.18 1:02 PM (39.7.xxx.249) - 삭제된댓글노럭의 노가 힘쓸노잖아요.
그런데 제 경우에는 노럭은 힘을 쓰는게 아니라 뭔가를 꾸준히 하는거라는 생각이 들더라구요.
제가 목적을 가지고 꾸준히 하고 결과물을 얻는게 힘들다보니...5. ..
'21.3.18 1:06 PM (118.46.xxx.14)그 뒤의 글도 참 좋네요.
복붙합니다.
이런 좋은 글 소개해주신 위 댓글님 감사합니다.
-그것이 결국 사회 생활이나 대인관계에도 영향을 미치겠군요.
“공부는 결국 배신해요. (웃음) 매일 새벽까지 수학, 과학 문제만 풀어서 과학고에 가도 행복의 열쇠는 거기 있지 않거든요. 그럼 소위 명문대 나온 사람은 다 행복해야죠. 사람은 결국 가까운 사람들과 좋은 시간을 보낼 때 행복해해요. 가까운 사람이 나를 위로해줬을 때, 그와 함께 재미있었을 때, 그런 기억으로 힘든 시간을 버텨가요. 자녀한테는 그 가장 가까운 사람이 부모예요. 부모와의 관계는 결국 개인의 행복, 사회의 행복과 연결돼있는 거죠. 자기 마음이 편안한 아이가 커서도 남과 좋은 관계를 맺으려 노력하고, 남이 힘들 때 등도 두드려줄 줄 알고, 남의 아픔에 공감할 줄 아는 법이거든요. 인간관계를 풀어가는 상식은 교과서가 아니라 부모와의 관계에 있어요. 눈에 보이지 않는 가치를 볼 줄 아는 눈이 떠져야 해요.”
+)
-행복이란 뭘까요?
“절대적으로 주관적인 감정이죠. (미소) 저에게 행복한 삶은 마음이 편안한 삶이죠. 내 주변에 의미 있는 사람들과 ‘잘’ 까지도 필요 없이, ‘그럭저럭’ 지내는 것, 그게 행복이라고 생각해요. 사는 데 너무 비장할 필요 없어요. 가깝고 의미 있는 주위의 사람과 인생을 얘기하며 살면 돼요. 아픔, 좌절, 비참함, 분노, 애처로움, 위로, 행복, 기쁨을 함께 얘기할 수 있어야 해요. 그게 행복의 열쇠지요. 그런데! 중요하지 않은 사람은 불러 세우지 마세요. 설사 걸어가다가 누가 내 어깨를 팍 치고 가더라도 탈구된 게 아니라면 그냥 보내세요. 그렇지 않고 ‘저기요!’ 하면 악연이 생겨요. 나를 모르는 사람이라면 의도가 없어요. 그냥 ‘바쁜가 보지’ 하고 보내면 돼요. 내 인생을 흔들만한 사람이 아니에요. 그럼 강물처럼 흘려 보내세요.”6. 감사
'21.3.18 1:16 PM (218.236.xxx.211)너무 좋은 글이예요,, 감사합니다
7. ..
'21.3.18 1:20 PM (118.36.xxx.21) - 삭제된댓글노력과 행복에 관한 글 좋아요
8. ᆢ
'21.3.18 1:23 PM (118.36.xxx.21)오은영 샘의 노력과 행복에 관한 글 좋아요
9. 00
'21.3.18 1:41 PM (211.196.xxx.185)원글님 설명은 와닿지도 않고 논리가 이상해요 최선을 다하고 결과는 겸허히 받아들이는 것.. 그 과정이 노력이라고 할수 있겠죠
10. 저도
'21.3.18 2:13 PM (210.95.xxx.56)오은영선생님 글이 더 와닿아요,
원글님 글은 아이가 이해하기엔 좀 난해하네요,
선천적 재능이 있어야만 노력도 의미가 있단 말로 들려 다소 허무해요.11. ..
'21.8.25 12:07 PM (118.46.xxx.14)아주 좋은 글이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