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라면 하나 끓여 먹었는데...최고의 국물 비법

오예 조회수 : 6,756
작성일 : 2020-10-19 03:23:24
생각해보면 맛이 없을 수가 없는데 그렇게 해 먹은 나 조금 천재아님? ㅎㅎ

제가 어제 쇠고기 맑은무국을 끓이고 국물이 좀 남았어요 그래서 맹물대신 이 국물에 끓였답니다. 대신 이 국을 참기름없이 간장 말고 약간의 소금간으로 아주 맑고 깔끔하게 끓여서 여기에 라면을 끓여내니 국물에 깊이를 더 하면서 감칠맛이 완전 대박! 밥 말아 먹어도 국물 맛이 끝까지 자연스럽게 찐하면서 깔끔...먹고나도 속이 부대끼는 느낌이 없어요 (저는 집에 신라면 하나 있어서 그걸로)

라면 먹으려고 이 국을 새로 끓여야할까 생각중입니다 ㅎㅎ
IP : 92.40.xxx.73
1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20.10.19 3:31 AM (66.27.xxx.96)

    나도 꿀팁
    숙주나물과 코코넛 밀크 족ㅁ 넣으면
    락사라면 됩니다^^

  • 2. 더~
    '20.10.19 3:33 AM (113.10.xxx.49)

    깔끔하려면 유탕처리된 면도 한번 데쳐? 내야 하지 않나요? 제가 위가 안 좋아서 짜게 먹지 않으려고 수프를 반만넣었는데 면발에서 우러나온 국물맛이(면삶은 기름기겠죠)심하게 역?해서 다 버렸어요. 그간 스프맛이 강해서 그 면발에서 우러난 맛을 몰랐던 거더라구요.. 그 이후로 맛이 떨어지라도 면은 살짝 데쳐요..ㅠ 딴지 아니고 제 경우엔 그렇다고요^^
    그리고 라면 끓일 때마다 새로 끓일 필요 없이 쇠고기무국이나 다른 국 끓일 때 넉넉히 국물 잡아서 따로 냉동시키면 될듯 하네요^^

  • 3. 으흐흐
    '20.10.19 3:34 AM (92.40.xxx.73)

    전 토마토랑 고수넣어서 타이스타일도 해 봤는데 그것도 아주 맛났어요. 락사도 시도해볼께용!

  • 4.
    '20.10.19 3:37 AM (182.209.xxx.250)

    쉽게...

    쇠고기구이용으로 마트에서 사오잖아요.근데 비계부분은 못먹으니 손질해놓은것만 육수내 끓여도 라면맛은 진짜
    100배 좋아저요. 건강엔 안좋을지 몰라도

  • 5. 으흐흐
    '20.10.19 3:37 AM (92.40.xxx.73)

    네 데쳐내면 더 깔끔하겠지만 그 정도까지 정성을 못 들였네요. 일회용 국물 냉동 아이디어 좋아요!

  • 6. 건면
    '20.10.19 7:53 AM (223.33.xxx.143)

    기름맛이 안나요
    맛도 훌륭해요

  • 7. ...
    '20.10.19 7:58 AM (117.111.xxx.79)

    데쳐 먹다가 넘 귀찮아서 ^^;
    흐르는 온수에 두어번 샤워시켜요.
    라면 봉지 뜯어서 스프 꺼내고 온수 넣어서 헹궈냅니다.
    웬만큼 기름기는 떨어져 나가는 것 같더라구요.

  • 8.
    '20.10.19 8:56 AM (223.38.xxx.220)

    전 그냥 끓여먹어요 솔직히 라면은 레시피대로 끓이는게 제일 맛남

  • 9. ...
    '20.10.19 9:16 AM (218.155.xxx.169)

    토마토 양파 넣고 끓여도 맛있어요
    생각하면 이상할것 같은데 먹으면 진짜 맛나요

  • 10. 느근기
    '20.10.19 9:59 AM (210.217.xxx.103)

    누군가는 순두부 반 넣어 끓이라던데요. 라면반 순두부반

  • 11. ㅎㅎ
    '20.10.19 10:11 AM (112.165.xxx.120)

    아 저는 예전부터 그 남은 국물에 라면 끓여먹는거 싫더라고요ㅠ
    울엄마가 김치찌개나 무국 사골같은거 좀 남으면 라면 끓여줬는데
    먹다남은거 아니고 덜어먹고 남은거였는데도 왠지 싫었어요.....
    전 어제 라면에 다진 마늘 반스푼 넣었는데도 국물이 다르던데 ㅎㅎ
    그리고 친구집에 놀러갔더니 한번 데쳐서 라면 끓여주는데.....
    그럴거면 라면을 왜 먹지싶었음 ㅠㅠㅋ 면도 퍼지고 스프도 덜넣어서 싱거워서 맛없어요

  • 12. ㅋㅋ
    '20.10.19 10:44 AM (211.227.xxx.207) - 삭제된댓글

    한번 데쳐서 라면 끓여주는데... 그럴거면 라면을 왜 먹지싶었음 2222

    동감.. 솔직히 라면 저는 저렇게 먹을바에 그냥 안먹어요.
    먹어봐야. 한달에 두세개 끓여먹는데, 라면 먹으면서 뭔 건강을 찾는지ㅎㅎ
    어짜피 밖의 햄버거도 먹고, 짜장면도 사먹고 그러는데,
    전 이왕 먹는거 그냥 맛나게 먹고싶네요.

  • 13. ㅋㅋ
    '20.10.19 10:46 AM (211.227.xxx.207)

    한번 데쳐서 라면 끓여주는데... 그럴거면 라면을 왜 먹지싶었음 2222

    동감.. 솔직히 라면 저는 저렇게 먹을바에 그냥 안먹어요.
    먹어봐야. 한달에 두세개 끓여먹는데, 라면 먹으면서 뭔 건강을 찾는지ㅎㅎ
    평소에 집밥으로 잘 챙겨먹구요.

    어짜피 가끔 밖의 햄버거도 먹고, 짜장면도 사먹고 그러는데,
    이왕 먹는 라면은 그냥 맛나게 먹고싶네요.

  • 14. ...
    '20.10.19 11:32 AM (14.39.xxx.161)

    냉장고에 있는 자투리 채소 이용하면 좋아요.
    양파 대파 당근 버섯 마늘 콩나물
    그리고 달걀 냉동해물 등
    그때그때 있는 대로 조금씩 넣어요.

  • 15. 아큐
    '20.10.19 11:35 AM (221.140.xxx.230)

    가족 내 두 남자가 있는데
    한 분은 냄비 두 개에 물 끓여 한쪽에서 면 데쳐서 다른 쪽에 넣고
    다른 한 분은 그 과정 마지막에 식초물로 마무리

    라면은 그냥 msg 맛으로 불량하게 먹는게 가장 제맛임!!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72705 9년만에 밥솥 바꿨는데 밥맛 기맥힙니다^^ 바꿈 02:32:07 35
1772704 거절을 못해서 마음이 힘든 거였나 싶기도 해요 ... 02:28:37 44
1772703 대학 학위 가치에 의문을 제기한 팔란티어 CEO ㅇㅇ 02:24:02 56
1772702 알리) 해표 콩기름 대박싸네요 ㅇㅇ 02:05:09 103
1772701 친구한테 조언(충고) 하는게 나을까요? 안하는게 나을까요? 2 소람 02:02:55 196
1772700 나솔 라방에 광수 정희 안나왔네요 2 .. 01:59:54 440
1772699 계속 고민이 크고 괴로워요 01:49:17 204
1772698 삼겹살 생선은 에프가 진리같아요 2 ㅇㅇ 01:46:40 377
1772697 감사원장 퇴임식서 유행가 틀고 유병호 ‘행패’.jpg 3 난동 유병호.. 01:30:12 320
1772696 뉴진스말고... 뜰뻔하다가 무슨문제 생겨서 6 .. 01:21:37 636
1772695 나솔 라방 시작했어요~~~ 9 .. 00:52:08 1,369
1772694 뉴진스 3명은?? 6 그런데 00:49:13 884
1772693 사장이 변덕스러워요 1 .. 00:47:57 212
1772692 어린이집 담임쌤이 계속.. 8 .. 00:40:25 1,041
1772691 블핑 로제요 노래 잘하네요 4 ㅇs 00:36:18 698
1772690 순자 전남편은 얼마나 힘들었을까? 17 00:27:22 2,965
1772689 이를 어째요. 수능날 차 많이 막히나요? 00:22:29 802
1772688 민희진 내용에 카카오엔터,돌고래 내용 1 궁금 00:07:01 1,029
1772687 나솔이 아빠는? 18 엉? 00:05:07 2,871
1772686 서울 집값 관련해서 홧병날 것 같아요 13 .. 00:02:24 2,414
1772685 옥순이 이쁜걸 모르겠어요 8 솔직히 00:01:05 1,927
1772684 오늘 나솔 28기 라방 하는건가요? 5 ? 2025/11/12 1,560
1772683 옥순은 볼수록 별로네요 5 iasdfz.. 2025/11/12 1,567
1772682 검찰이 항소를 포기해 살려준 국민의힘 정치인들 .. 2025/11/12 448
1772681 국민연금 추납하지 말고 일찍 수령 1 예상 2025/11/12 1,6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