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간 부모나 조부모 상관없이 5천만원만 가능하다고 알고 있어요.
그런데 여기서 10년은 0세, 10세, 20세, 30세 이렇게 정해진 건가요,
아님 첫 증여로부터 10년인가요?
가령 첫 증여를 17살에 했다면 다음 증여는 27살?
저희는 애 이름으로 어릴 때부터 예금을 해왔는데 이유는 예금자보호 때문에 가족수대로 여러 개 통장을 가지고 있거든요.
필요에 의해서 명의를 바꾸곤 했는데..
이걸 증명하면 소급할 수 있는지?
아이 이름으로 된 보험, 청약도 포함 5천인가요?
군대 월급 고스란히 모아둔 것은 증빙이 있으니 본인 거 맞지요?
알바 등으로 저축하는 것도요?
재테크보다는 절세부터 해야할 것 같아서요 ㅜㅜ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증여세 잘 아시는 분~
궁금 조회수 : 1,299
작성일 : 2020-07-13 10:40:59
IP : 221.149.xxx.183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1. 00
'20.7.13 11:28 AM (222.112.xxx.63)미성년자 일때는 2천만원이구요. 성인부터 5천이예요.
소급한다는 의미 없을거같구 정식으로는 증여세 신고도 해야 하는건데
보통은 안하죠 나중에 아이한테 큰 돈이 모여있을때 혹시 집을 산다든지
소명해야 할때 있을때를 대비해서 증빙은 없애지 말고요2. 저도
'20.7.13 11:36 AM (175.223.xxx.115) - 삭제된댓글지금 증여세 공부 중입니다.ㅜㅜ
일단 애들이 번건 무조건 자기통장에 넣으라하고 현금이랑 엄마카드 주고 있구요
세금 너무 쪼이니까 더 신경이 쓰이네요.
예전엔 니돈 니가 관리하고 써라 였는데..3. ..
'20.7.13 6:18 PM (122.37.xxx.19) - 삭제된댓글부모5000
조부모5000만원 각각인가요?
아니면 부모 5000만원 증여했으면
조부모는 해줄수 없나요?
아시는분좀 답을4. 윗분
'20.7.13 9:52 PM (221.146.xxx.56)예를들어 조부모가 5,000증여했고, 부모가 또 증여하면 증여세 내야 합니다.각각이 아니에요.
5. 이어서
'20.7.13 9:57 PM (221.146.xxx.56)첫증여하고 10년후 증여세 비과세가됩니다.
그리고 성인일 경우 5천 조금넘게 증여 해서 꼭 신고 하시고,
약간의 세금낸근거를 만들어놓세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