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아파트 월세도 세금부담되니 전세가 많네요
친구네가 이곳으로 발령나서 어제 이지역 부동산
같이 동행했는데요
월세매물이 많이 없어졌네요~~
제가 중개사들한데 물어보니 월세도 과세대상이라
소득세문다고 하던데ᆢ
그래서 그냥 전세로 계약했어요
이번에 집근처 부동산 가보고 공부 좀 했어요
1. ...
'20.7.12 10:42 AM (223.38.xxx.129)맞아요. 월세 소득이 종합소득세에 합산 되니 임대인들도 월세를 전세로 돌리는 사람도 많아요.
집 매매할때도 월세낀 매물은 전세낀 매물보다 많이 쌉니다.2. ᆞᆞ
'20.7.12 10:46 AM (223.39.xxx.241)전세도 간주임대료 계산해서 소득으로 환산한다는건 어떤 경우인가요?
3. ..
'20.7.12 10:46 AM (211.54.xxx.209) - 삭제된댓글저는 임대사업자를 낸 아파트가 있어요.
이번 부동산대책으로 전세보증보험 가입이 의무화되고 보증료를 집주인이 매년 내야 한대요(보증금의 1%를 매년). 지금 전세가 8억이 넘게 들어 있는 집이라 월급으로는 보증료 감당이 안될 것 같아요.
보증보험은 보증료 대비 책정되는거라 1억 정도만 보증금 받으려 합니다. 가진돈 딸딸 긁어보니 7억은 만들 수 있을 것 같아요. 부부 마통이 2억이니 월세 안나가면 한동안 공실로 두려구요.
정부에서 정책적으로 전세를 없애려는 눈치예요. 특히 아파트는....4. ᆞᆞ
'20.7.12 10:50 AM (223.39.xxx.241)전세보증보험 주인이 의무 가입해야하는건 임대사업자 낸 주인들만 해당인가요?
5. 보증보험
'20.7.12 11:18 AM (223.38.xxx.47) - 삭제된댓글지금은 임대사업자에게만 해당되는데 곧 모든 전세로 확대될 것 같아요. 경실련에서 강력하게 주장하고 있기도 하구요.
전세가 집값을 올린다는 게 시민단체나 정책당국의 공통된 인식인듯 합니다.
돈 있는 집주인들은 월세로 전환할 것이고 돈 없는 집주인들은 과태료 내거나 감방 가겠죠.6. 갭투자 피해
'20.7.12 11:41 AM (211.54.xxx.165)아마 보증보험 들라고 한 이유가 갭투자 피해막기 위해서 나온 법 아닌가 생각 되네요.
울산 100채 서울 용산인가 거기도 50채 갭투자가 파산하거나 도망가서 전세자들이 알거지가 되었는데 아무
방책이 없어 걱정 했는데 거기에 대한 대안인거 같네요.7. ...
'20.7.12 12:00 PM (223.62.xxx.230) - 삭제된댓글보증금이 2억일 때 보증료는 2년에 916,000~5,668,000원이라네요. 이 돈 내면서 전세줄 집주인은 없죠.
만약 입대인이 보증보험을 안들면 2년 징역 아니면, 과태료 2,000만원이라네요. 우선은 임대사업자부터 적용하고 점차 일반 임대로 확대한다고...
저 위에 8억 전세라면 2년간 임대인이 보증료로만 366만 4천원~2,267만 2천원을 부담해야 하니 전세는 확실히 사라지겠네요.
거기다 재산세, 종부세까지 내야 하는데 머리에 총이라도 맞지 않은 이상 누가 전세를 줄까요. 선진국처럼 월세로 돌리고 각종 특약으로 세입자에게 비용을 부담시키겠죠.
아마 형편이 안좋은 임대인들도 달러 빚을 내서라도 보증금을 최소한으로 줄여서 보증료 부담을 줄이는 반전세 전략을 쓸 것으로 예상됩니다.
조만간 전세는 사전에서나 볼 수 있는 단어가 될 것 같습니다.8. 결국은
'20.7.12 12:10 PM (203.226.xxx.144) - 삭제된댓글다주택자에서 1가구 2주택자 ,1주택자, 전세, 월세 슨으로 내려왔네요.
결국 집값 잡아달란 아우성이 결국은 국민들 피빨려는 세금 정책 그이상은 아니네요.
다들 지눈 자기가 찌른거란 소리에요.
정부는 세금만 걷음 아프던 죽던 알게 뭐에요?
저는 증여세와 상속세를 언론에 미리 거들먹 거리는거 보고 이정부가 너무 무섭더라고요. 그리고 양도세나 취득세 부분도요.
돈을 꼭 받아내기에 혈안이 조선시대인가 서민들에게
지옥시대였던 눈벌개서 집구석구석을 다 뒤져서 뭐래도 뺏아갔다던 탐관오리들 처럼요.9. 진짜
'20.7.12 12:12 PM (125.130.xxx.222)1%요?
보증금 은행에 넣어서 나오는
이자 전부를 보험금으로 낸다구요?
1% 못받는 것도 많을텐데 도대체 어쩌라는건지10. 진짜
'20.7.12 12:15 PM (125.130.xxx.222)보험회사만 좋아지겠어요.
임대인이건 임차인이건 다 개피보고.11. ..
'20.7.12 12:15 PM (211.54.xxx.209) - 삭제된댓글정부정책이 너무 예측이 안되서 피곤해요.
주택마련은 10년 이상의 장기계획으로 하는데 정책이 지나치게 자주 바뀌네요.
게다가 세금부담도 너무 크구요.
다주택자만 쥐잡듯 잡는 게 아니라 1주택자의 재산세, 종부세도 계속 오르고, 전세는 없어지고, 젊은 사람들은 ltv니 청약가점제니 이런 것 때문에 집 사기 점점 힘들어지고... 난세입니다.12. 지금
'20.7.12 12:32 PM (223.39.xxx.254) - 삭제된댓글부동산이 세금에 촛점이 맞춰져 있는거에요.
그래서 다주택 에서 무주택까지 내려와서 세금 다떼는건데 지금 이정책이 부동산 잡는거라고요?
국민들 가둬놓고 돈떼려고만 잡는거 처럼 안보이구요?13. 지금
'20.7.12 12:33 PM (223.39.xxx.254) - 삭제된댓글부동산이 세금에 촛점이 맞춰져 있는거에요.
그래서 다주택 에서 무주택까지 내려와서 세금 다떼는건데 지금 이정책이 부동산 잡는거라고요?
모든 국민들 가둬놓고 돈떼려고만 잡는거 처럼 안보이구요?
정부가 누구 편이 어딨어요?14. 사업자내고
'20.7.12 3:31 PM (112.149.xxx.254) - 삭제된댓글전세하나 월세하나 놨는데
복비 교대로 200 넘게씩 나가고 도배나 수리 소소하게 해주면 세입자 바뀔때마다 400~500 정도 그냥 나가고요.
욕실 수리한 해에는 1000 넘게도 나가요.
임대소득 간주소득세 합쳐서 기존 소득 외 구간에서 나가고
의보 연금 추가로 나가고 재산세 올해 거주주택 포함 600 정도 나와서 일년에 주택관련 세금만 2000 넘게내고 기타비용 합치면 3000 정도 나가요. 종부세는 거주주택에서 내는거라 빼고도 그정도 나와요.
제가 사는 집 전세 놓고 저는 월세 살면서 전세준 임대주택 월세 돌려서 일이년 버텨보고 시장 상황 봐서 차례로 처분 할거예요.
뼈빠지게 벌고 일년에 쓰레빠하나 사신고 애들 머리 집에서 잘라줘가며 벌고 모은 내돈인데
해외로 돈 들고나가서 쓰고 세금 최대한 적게 낼거예요.
한국 징글징글 하네요.15. 대책
'20.7.12 4:36 PM (218.39.xxx.76)을 이제서 내놓으니 집값다 올린거죠
진작에 했어야하고 투기꾼들 잡으려면 세금밖엔 방법이 없죠
서민들은 이런 정책 환영합니다
불로소득이 판치는 나라 제대로 된게 아니죠
그동안 참 많이들 사기치고 서민 피눈물 흘리게했죠
전세금 다 떼고 사기쳐도 법이 없으니16. 제가
'20.7.12 7:39 PM (39.124.xxx.23) - 삭제된댓글전세 사는 서민이라면 절대 이 정책에 찬성 안할 것 같아요.
일단 전세가 없어지겠네요.
그리고 이 세상에 원가가 올라가서 저렴해지는 상품은 없겠죠. 어떻게든 집주인들은 올라간 원가(세금, 보증료)를 세입자에게 전가할 겁니다.
일본처럼 세입자가 사례금(레이킨)을 집주인에게 주면서 입주하거나 필리핀처럼 나올 때 보증금 중 상당액을 집 수리비 및 청소비 명목으로 까고 나오게 되겠네요.
물론 전세는 없어지고 죄다 반전세, 월세로 전환될 거구요.
점점 집 없는 사람은 살기 힘든 세상입니다. 월세 내다 보면 돈 모으기는 점점 더 힘들고...
집주인들도 노후대비나 자녀 결혼을 염두에 두고 집 하나 더 샀다가 세금 때문에 피곤해질 것 같네요.17. .....
'20.7.13 8:23 AM (125.191.xxx.148) - 삭제된댓글솔직히 저금리 시대에
전세든 월세든 나라에서 집주인 세금뜯어가려고 작정했는데 임대를 굳이 해야한다면
그냥 월세놓는게 낫겠네요. 이미 가두리양식처럼 몰아가고 있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