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연봉이 매년 오르는데 왜 집값이 폭락해요

.... 조회수 : 3,643
작성일 : 2020-07-12 10:09:33
요새 드는 생각은 진짜 있는 집들은 더 있고 없는 집들은 더 없어지는데

부부합산 연봉 1억 넘는집은 진짜 수두룩하고
2억 넘는 집도 많아지는데
아이없는 집이나 아이 하나인 집도 많아져서 아이로 지출도 줄어들고
더불어 부모들조차 하나둘 형제인집이라 많이 물려받은편이고

집값 4~5억쯤이야 30대도 부담없는 수준이고 8~9억쯤 되야 좀 높다 수준.

평범한 부부직장인들에게 이러니
수많은 빌딩들 수많은 잘나가는 요식업 식당들. 수많은 병원. 수많은 중소기업으로
사업주들은 15억 이상은 되야 살만한 집 이러겠죠.

...그냥 갈수록 빈익빈부익부 더 심해질듯합니다.
연봉은 매년 잘 오르고 요즘 직장인들은 투자에도 눈에 불을 켰죠.
IP : 58.79.xxx.3
2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20.7.12 10:11 AM (1.225.xxx.224)

    근데 그런연봉자도 많지만 아닌 사람도 많으니

  • 2. ㅇㅇ
    '20.7.12 10:11 AM (1.222.xxx.41)

    연봉 오르는 사람들은 다른 나라보다 일찍 퇴직하고 있고
    연봉 받을 사람 수는 다른 나라보다 빠른 속도로 줄어들고 있고

  • 3. ㅇㅇ
    '20.7.12 10:12 AM (220.76.xxx.78) - 삭제된댓글

    부부 경력많은 정규직 맞벌이면 2억.. 맞아요

    그게 자본주의..

  • 4. ...
    '20.7.12 10:13 AM (116.121.xxx.161)

    님 3년전 연봉과 지금 연봉 비교해보세요.
    3년동안 연봉 몇프로 올랐나요?
    집값이 연봉 오른 비율 만큼 물가 상승분만큼만 올랐으면 아무도 뭐라 안해요.
    단기간 너무 과하게 올라서 이난리가 난거에요

  • 5. 연봉이
    '20.7.12 10:14 AM (211.193.xxx.134)

    오르면 집값이 오릅니까?

    생각이 참 단순하시네요

  • 6.
    '20.7.12 10:14 AM (1.225.xxx.224)

    2억 정도면 부부나이가 좀 되고 그쯤이면 사교육비도 장난 아니에요. 곧 퇴직도 생각해야 하고 ᆢ

  • 7. ..
    '20.7.12 10:15 AM (123.111.xxx.65) - 삭제된댓글

    정치인들이 툭 하면 북한에서 쳐들어온다고 국민들 놀리는 거랑 똑같아요.
    집값 폭락한다는 소리는 거의 매년 나옴.

  • 8. 막대사탕
    '20.7.12 10:15 AM (1.237.xxx.47)

    뭐든지 완만하게 올라야죠
    자고나면 억 억 하는데
    누가봐도 비정상적이니까요

  • 9. ...
    '20.7.12 10:16 AM (58.79.xxx.3)

    연봉이 오르는데 분명한 투자처가 없어요. 연봉오르는 직장인들 지방에 있는 사업주들도 전부다 마찬가지구요. 그리고 인서울인서울 아직도 그러니 지방에서도 유지들은 다 서울에 집한채쯤은 애들몫으로 가지고 있으려하죠. 인서울 기득권 더 없애야 지방 유지들이 서울에 구매 안합니다. 지방에 의사들도 지금은 다 서울에 집한채 없으면 미래대비 안하는 사람이죠. 애들 대학갈건데

  • 10. .....
    '20.7.12 10:17 AM (175.223.xxx.220)

    정부가 가만히 있었는데 오르면 투기꾼 잘못이지만
    정부가 투기심리인지 투자심리인지
    부추겼으면 그건 정부잘못.

  • 11. ..
    '20.7.12 10:18 AM (221.167.xxx.247) - 삭제된댓글

    30대에 집을 사기는 해야 할거에요. 40대되면 30대때보다 쓸 데도 많아지고 마음가짐도 예전같진 않아요. 좀 더 조심스러워져요.

  • 12. 가격상승
    '20.7.12 10:18 AM (221.147.xxx.61)

    내재가치와 투기수요로 인한 가격거품이 있어요.
    내재가치에 거품이 얹혀져서 집값이 정해지죠.
    모든 투자자산이 그래요.

    항상 내재가치만 있다면 재테크가 존재할 수 없어요.
    재테크란 가끔 얹혀지는 투기수요로 인한 가격거품을
    따먹는 거니까요.

    가격거품이 생겨서 가격이 오른 후에는..
    내재가치도 같이 올라와서 그 갭을 메우던가
    아니면 거품이 꺼져서 갭을 메우게 되죠.

    집값의 내재가치라면 전세가를 말할수있는데
    많이 오른 동네들은 대부분 전세가가 매매가의 절반수준입니다.

    보통 전세가가 80%정도면 집값 바닥이고 50%면 상투라고 하는데요..

    2013년 바닥때의 전세가가 75-80% 정도였을거에요.

    이번에도 전세가 50%에서 상투를 치고 내려갈련지 궁금하네요.

  • 13. ...
    '20.7.12 10:23 AM (223.38.xxx.129)

    연봉 1억에 중고등 자녀 있으면 저축 못하고 사는게 현실입니다.

  • 14. ..
    '20.7.12 10:25 AM (116.37.xxx.65)

    여기서 내 주변엔 연봉합산 2억 없어! 하시는 분들..
    자기 주변에 없다고 없지 않아요.
    그런 사람들이 사고 싶어하는 집
    (교통학군기반시설 좋은 아파트) 이 부족해요
    그래서 오른다구요 계속.. 그런 사람들 까놓고 말해 빌라
    다세대 안 살고 싶어요. 그런 집은 소득 낮은 사람들이 살겠죠. 이미 집값은 서열화되어 있어요.
    자꾸 집값이 동등해야 하고 폭락해요 하시는 분들은
    답 없구요 계속 정신승리하세요

  • 15. ....
    '20.7.12 10:26 AM (223.62.xxx.212) - 삭제된댓글

    저도 부부 합산 2억 넘은지 10년쯤 됐어요. 곧 3억 될 것 같아요.
    딩크라 사교육비 없구요.
    제 주위 동료, 후배들도 주로 대기업 부부, 대기업 전문직 부부들이라 연봉 합산 2억 이상이 수두룩해요.
    저는 평균적으로 3달에 2,000만원 이상 저축한 거 같아요. 연말, 연초에 급여인상분과 인센티브 나오면 100% 저축했구요. 그래서 2015년 바끄네때 신축으로 갈아타면서 대출 10원도 안받았구요.
    제 주변만 놓고 보면 저보다 좋은 집 사는 사람도 많지만 대출 하나도 없이 좋은 아파트 구입한 경우가 많아요. 의외로 영끌이 드뭅니다.
    그래서 82에서 대출 못갚아 집값 폭락 어쩌구 하는 글 볼 때마다 좀 위화감이 느껴져요.

  • 16. .....
    '20.7.12 10:31 AM (58.79.xxx.3)

    그런 사람들이 사고 싶어하는 집
    (교통학군기반시설 좋은 아파트) 이 부족해요 2222

    동감.
    저도 갈아타고 싶어도 적절한 금액대 갈아탈 아파트 없이 껑충뛰어야해서 그냥 눌러앉는데. 저희아파트는 그덕분에 가만히 있어도 오르더라구요. 남들눈에도 그럴테니.

    서울 재개발 많이 해서 신축 많이 늘렸어야해요. 그런데 재개발때문에 아예 서울에서 밀려날 소시민들. 오래된빌라 세입자들. 다세대주택 세입자들 생각하면 쉽게 못쓸 카드긴 했죠.

  • 17. ..
    '20.7.12 10:34 AM (180.70.xxx.189)

    별....각자 버는대로 살면되는거지 뭔 다세대 세입자 걱정을...
    경제력 있는 사람들 사는곳은 님같은 사람들
    들어오는거 싫어서 절대 가격 낮추지 않을테니 당연 폭락은 없죠

  • 18. ㅇㅇ
    '20.7.12 10:40 AM (59.10.xxx.178)

    연봉은 그닥 오르는거 모르겠지만
    장바구니 물가 보면 허거덕 올랐죠
    제 월급 빼고 다 오른다고.... ㅠㅠ
    집은 제가 살고 싶은 곳은 오르겠죠
    실거주 한채 빼고 팔라면 어디 남기겠어요
    양극화 더 가팔라 지겠죠
    다주택자들이 경기도에 집들먼저 정리하고
    서울 요지 킵하겠죠

  • 19. ㅁㅁㅁㅁ
    '20.7.12 10:43 AM (119.70.xxx.213)

    맞아요 돌아가는 상황을 보아하니 다주택으로 차익을얻긴 쉽지 않아세
    그냥 월세로 은행이자보다 좀 나은 수익에 만족하는 사람이나 다주택할랑가
    전세는 더욱더 줄어서
    집살만큼 넉넉지 않은 사람들은 월세나 간신히 살수 있을거 같아요
    전세살지만 집살 능력이 있는 사람들한테나 현재 부동산 정책이 플러스지
    그렇지못한 사람들은 오히려 월세로 주거비용 지금보다 훨씬 높아질거같아요

  • 20.
    '20.7.12 10:53 AM (222.109.xxx.155)

    저금리 시대
    정기예금 이자가 년 0.9%
    갈곳 모르는 돈이 부동산,주식으로 몰릴 수 밖에요

  • 21. --
    '20.7.12 11:02 AM (1.237.xxx.233)

    대기업 다니는데요
    물가상승률을 연봉이 절대 못따라가거든요
    체감 물가가 너무 비싸서 한달 700받아도 늘 떨면서 소비하게 되요

  • 22. ..
    '20.7.12 11:10 AM (125.176.xxx.90) - 삭제된댓글

    소득대로 집을 사야지
    소득은 안되는데 눈만 높아서
    소득 높은 사람이 사는 아파트 못 사니
    빚을 내서 사니 아파트가격 오르고
    빚도 못내면 세금 올리라고 악다구니를 쓰고

  • 23. ..
    '20.7.12 11:21 AM (211.54.xxx.209) - 삭제된댓글

    정부정책을 보니 전세는 결국 없어지겠고,
    사람들이 살고 싶어하는 동네의 신축은 점점 올라서
    양극화가 극도로 심화될 것 같아요.
    집을 가졌나 안가졌나, 어디에 가졌나에 따라서
    계급이 분화되는 과정을 실시간으로 목격 중이네요.

  • 24. 수도권과밀화
    '20.7.12 1:01 PM (175.123.xxx.37)

    전국민의 1/2이 수도권에 사는데 서울 집값이 어떻게 내리나요??? 산이고 녹지고 궁궐이고 문화유산이고 다 때려부수고 그 위에 고층 아파트만 미친듯이 지어도 서울 집값 못내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095125 어머세상에 눈썹에도흰털이 나네요ㅜ 14 마른여자 2020/07/15 4,729
1095124 성적 안나오는 학생들 공통점이 4 .... 2020/07/15 2,143
1095123 시판 김치 추천 좀... 20 김치 2020/07/15 2,865
1095122 감탄 브라요 6 나마야 2020/07/15 2,333
1095121 82쿡님들도 환공포증 있으세요 .??? 22 /// 2020/07/15 2,448
1095120 감정기복 심한 상사때문에 미치겠어요 ㅠㅠ 1 ㅠㅠㅠㅠㅠㅠ.. 2020/07/15 1,281
1095119 박원순 시장 타계에 만세부른 전광훈 일당 13 수준 2020/07/15 1,752
1095118 불안을 잠재우는 법.. 7 ... 2020/07/15 2,287
1095117 아주 악독한 사람 아니면 정색하고 싫은 표정 하나만으로도 성추.. 16 .... 2020/07/15 1,997
1095116 안 오르는 집에 사는 이의 정신승리랄까요. 9 .. 2020/07/15 2,082
1095115 정의당에 그 의원 3 ... 2020/07/15 1,021
1095114 연대, 조국 아들 대학원 입시서류 무단 폐기  20 촛불 2020/07/15 2,481
1095113 대통령 뉴딜..발표하자마자 관련주 폭락 52 .. 2020/07/15 4,760
1095112 아파서 직장 쉬는데 생활비가 많이 나가네요 9 ... 2020/07/15 3,244
1095111 더위에 몸이 적응되어서 요즘은 밤에 좀 춥네요 7 ㅇㅇ 2020/07/15 1,340
1095110 비대면으로 앱을 통한 예금은 증서?는 전혀 없는건지요? 4 주희 2020/07/15 1,093
1095109 요즘 제가 효과 본 탈모예방 방법 5 피마자 2020/07/15 3,732
1095108 6월 실업자 122만, 21년 만에 최대…장기화되는 고용절벽 .. 5 하... 2020/07/15 993
1095107 물질이 많다고 행복해지는건 아닌것 같아요 20 ... 2020/07/15 3,947
1095106 성추행 고소 당일 서울시 내부 보고 19 오비이락 2020/07/15 4,078
1095105 템플스테이 운영하네요 2 템플스테이 2020/07/15 2,266
1095104 같은 재료, 같은 맛인데 안 먹는 심리는 도대체 뭔가요? ㅎㅎ 4 내 원 참 2020/07/15 1,301
1095103 비싼 디자이너 옷 샀는데 홈쇼핑라인에... 9 속상해요 2020/07/15 4,441
1095102 남편 양치할 때 헛구역질 7 . 2020/07/15 2,393
1095101 주액청약종합저축을 들어볼까 하는데요 3 ... 2020/07/15 1,3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