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초3. 덧니되기전에 교정시작하는게 좋을까요?

ㅡㅡ 조회수 : 2,323
작성일 : 2020-07-08 23:15:25
위턱이 좁아서 송곳니가 잇몸 위쪽에 불룩하게 자리잡고 있고. 아직 내려오진 않고 있는데.나올자리가 부족해요.
그래서 병원에서는 뒤쪽 어금니를 당겨주는 장치 걸면.
그리고 이런저런 상황이 발치는 안해도 되겠다는데요.
이런 경우는 빨리시작하는게 맞는거겠죠?
이런 경우도 유지장치 계속 착용하는건가요?
아이가 겁은 많은데.저는 덧니 될까봐 걱정이라서요.
IP : 112.150.xxx.194
1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아짐
    '20.7.8 11:19 PM (39.119.xxx.250) - 삭제된댓글

    저 여기서 정말 도움 많이 받기도하고
    아는거 답변해주기도 하는데요
    이런 경우는 교정전문의와 상의하세요
    어떨때보면 정말 말도 안되게
    본인 경험치만 늘어놓은 경우도 많고
    틀린 정보를 말하고 맞다고 댓글다는
    어이없는 경우도 봤어요
    교정만이 아니라 다른 주제에 대해서요...

  • 2. 초5
    '20.7.8 11:27 PM (119.204.xxx.215) - 삭제된댓글

    여름방학때 교정시작해서(클리피씨) 중1입학전 교정끝났어요. 저희애도 덧니교정. 턱좁음. 남자.
    의사샘이 적기에 와서 치아발치 안해도 된대서 좋았고 지금 대2인데 치열 이뻐요.
    초3이면 늦은거 아니니 상담해보심이.

  • 3. 초5
    '20.7.8 11:29 PM (119.204.xxx.215) - 삭제된댓글

    저희애는 갑자기 덧니 치열로 바뀌어서 ㅡ저닮음ㅡ놀라서 얼른갔어요. 제가 턱좁아 덧니된 유형

  • 4. 아.
    '20.7.8 11:34 PM (112.150.xxx.194)

    댓글 감사합니다. 1년반정도 걸린거네요?
    그런데.초5까지 송곳니가 안 나왔던건가요?
    지난주 상담받고 왔는데. 다 못 물어보고 왔네요.
    아이가 겁이 많은 아이라. 좀 있다 해야하는건가 싶고.그래서요.

  • 5. 아.
    '20.7.8 11:35 PM (112.150.xxx.194)

    송곳니가 나온뒤에 치열변화가 있었던거군요.

  • 6. -------
    '20.7.8 11:45 PM (121.133.xxx.99)

    교정은 꼭 여러병원 가보세요..특히 대학병원서 교정해야 하는지 시기는 언제일지 확인하시는게 좋습니다.
    동네병원 가면 무조건 하라고 해요..대학병원은 여러 의사들이 결정하고 객관적으로 보니까요
    교정 문의만 나오면 제가 계속 답글 다는데 저희 아이 둘다 그랬거든요
    동네 병원서는 빨리 안하면 큰일 날것 처럼..제가 보기에도 급해보였는데
    아이가 초등 저학년이었거나 겁이 많아...고민하다 대학병원 갔는데,,
    당장하지 않아도 되고 좀더 지켜봐도 되구요..특히 둘째는 대학가서 해도 된다고..덧니는 심하지만,,교열이 문제없어서...2년후 6학년때 또 그 대학병원 같은 의사에게 교정하러 왔다고 했더니..왜 하려 하느냐..ㅎㅎㅎ
    결국 중2에 시작해서 끝냈어요..고등떄는 공부하느라 힘들고 대학가서는 노느라 교정못할것 같아서요.

  • 7. ㅍㅍㅍ
    '20.7.8 11:56 PM (49.196.xxx.138)

    제 아들도 했어요, 턱이 좁아요, 아빠가 갸름한 편이라..
    처음에는 부정교합이라 해서 갔고, 위에 송곳니 하나가 멀리 위쪽에서 나있는 거 많이 내려온 상태에요. 중 1인데 키도 크고 점점 체격이 커지고 하면서 연말에는 교정장치 빼려나 하고 있어요

  • 8.
    '20.7.9 12:22 AM (59.2.xxx.31)

    저희 아이도 턱이 좁아 초2학년에 했는데 치아 사이를 벌려주는 장치를 했어요 예비교정이라 하더군요 이백정도 들었고 끼웠다 뺐다 하는거라 힘들진 않았어요 예비교정만으로도 치열 바르게 되었고요. 그때 여기저기 교정 알아보니 아이들 취학전 건강검진 하듯이 교정치과 가서 상담해보라 하더군요 그래서 어릴때 하면 치아 안빼고도 해서 덜 고생한다고ㆍㆍ 주위 엄마들께 취학전 꼭 치과 가서 알아보라 애기해주네요

  • 9.
    '20.7.9 12:30 AM (112.150.xxx.194)

    전에 다니던 대학병원 선생님도 송곳니 자리 없으니까 교정해야하고. 뒤쪽 거는거 일찍 시작하면 발치 안할수도 있다. 교정은 따로 소개시켜주겠다. 그렇게 들었어서요.
    덧니는.. 이게 건강상 문제보다는 여자아이라 싫은 마음도 클거 같거든요.
    하긴. 저도 부정교합이었는데, 크면서 멀쩡해졌어요.
    치열도 고르고.
    근데, 아이는 그냥봐도 얼굴이 주먹만 한데.
    저나 남편이나 턱이 크진 않거든요.;;
    한두군데 더 가봐야할거 같은데, 동생도 데리고 요즘같은때 병원 다니기가 무서워요.ㅜㅜ

  • 10. 59님.
    '20.7.9 12:35 AM (112.150.xxx.194)

    치아 벌려주는 장치하고. 치아 고르게 자리잡았나요?
    그리고. 예비면 뭘 또 하는건가요?

  • 11. ㅍㅍ님.
    '20.7.9 12:36 AM (112.150.xxx.194)

    그렇죠. 요즘은 애들 턱이 그렇게 좁더라구요.;;

  • 12. 어자피
    '20.7.9 12:41 AM (120.142.xxx.209) - 삭제된댓글

    이 4개 빨강 의사가 초등학교에 빼라고 권할래 빼물거라 후회했어요
    상당기간 애가 덧니로 활짝 웃질 않았어요
    교정은 중 1때 해줌

  • 13. 어자피
    '20.7.9 12:42 AM (120.142.xxx.209)

    이 4개 뺄거 의사가 초등학교에 빼라고 권할래 빼 줄걸 후회했어요
    상당기간 애가 덧니로 활짝 웃질 않았어요
    교정은 중 1때 해줌

  • 14. 나는나
    '20.7.9 12:51 AM (39.118.xxx.220)

    저희애도 턱 좁아서 벌려주는 장치 했는데, 확실히 치아들이 자리는 잘 잡아요. 남편의 송곳니가 덧니라 닮았는데 자리를 넓혀주니 아래로 내려와서 자리 잘 잡더라구요. 안으로 들어왔던 앞니도 바깥으로 나갔구요.
    1차 교정은 1년 안되서 끝났고, 영구치 다 나서 이제 2차 교정 시작합니다. 앞니 4개 좀 비뚤어진 것만 배열하기로 했어요.

  • 15. 그렇죠.
    '20.7.9 1:26 AM (112.150.xxx.194)

    저희애도 지금도 앞니 모양이 좀 안예쁘고, 얼굴에 비해 크기도 해서 그런지. 웃을때 입모양을 자꾸 오무려요.;;

  • 16. 39님.
    '20.7.9 1:29 AM (112.150.xxx.194)

    아. 영구치 자리잡고. 다시 다듬는?교정도 하나봐요.
    그럼 그것까지 끝나면. 유지장치도 계속 하는건가요?


    (댓글 주신분들, 늦은시간에 모두들 감사합니다~)

  • 17. 첫댓글쓴사람
    '20.7.9 7:33 AM (119.204.xxx.215) - 삭제된댓글

    교정마치면서 치아안쪽에 철사붙이고(이건 1~2년뒤 뗌.넘 오래하면 잇몸이 상하는것 같았음)
    잘때만 끼고 자는 유지장치는 지금도 계속해요.(지금은 1주일에 두세번 끼고잠)
    대1인 작년엔 사랑니까지 나오면서 아래 어금니 2개 다 발치했는데 치열에 이상없더라구요.
    남자애인데도 꼼꼼히 챙겨 하고 자요.
    근데 유지장치 잘하는게 중요한건 같아요. 치열 흐트러진 사람들 많이 봄 .
    제경우는 동네치과에서 했는데(서울대 치대) 덧니교정이라 여러군데 안가고 바로했는데 운이 좋아
    결과가 좋았던것 같아요. 복합이면 힘드셔도 여러군데 가보세요.

  • 18. 나는나
    '20.7.9 8:44 AM (39.118.xxx.220)

    윗턱 넓혀주는건 치아 갈기 전에 한 거예요.

  • 19. 아 네.
    '20.7.9 10:14 AM (112.150.xxx.194)

    감사합니다. 지금 생각으로는, 이게 한번 시작하면 유지장치까지해서 앞으로 쭈욱 이어지는건데, 애가 좀 힘들겠구나, 가뜩이나 겁많고 예민한데.ㅜㅜ 최대한 늦춰서 해야하나. 걱정이 되네요. 치과가서 정확히 얘기를 더 들어봐야겠지만요.
    처음만 힘들고, 적응되면 음식섭취나 그 외에 불편한점은 없으려나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093743 무상급식/따릉이/제로페이/한강... 16 모르겠어요 2020/07/11 1,727
1093742 삼시세끼 마지막편 8 2020/07/11 4,784
1093741 무말랭이 무쳤는데 맛있다고 잘먹네요. 12 ... 2020/07/11 3,085
1093740 공산주의냐 소리 들었던 공적마스크..그 후 9억장 풀렸다 16 .... 2020/07/11 2,845
1093739 전 국민의 알바화, 전 국민의 일베화, 전 국민의 토왜화 23 .... 2020/07/11 1,137
1093738 고2 문과 선택과목 뭐하셨나요 7 답답 2020/07/11 1,586
1093737 관리자님 진심 궁금한데 예전에 제가 너무... 6 그런데 2020/07/11 1,170
1093736 쌀 2컵이면 죽 몇 그릇 나올까요?? 7 요리초보 2020/07/11 1,779
1093735 서울대병원에 가도 조문은 못하는거죠? 4 .... 2020/07/11 1,569
1093734 죄가 없으면 왜 죽냐 라는 무식한 인간들 25 누리심쿵 2020/07/11 3,941
1093733 강추 : 정준희의 해시태그16 ㅡ 뭐라도 걸리기만 해봐라! .. 4 정신차리자 2020/07/11 1,374
1093732 오늘 날씨가... 6 .... 2020/07/11 1,440
1093731 자녀가 부모의 이혼을 원할때.. 7 고민 2020/07/11 3,420
1093730 극우 유튜버, 파티했다고 14 ... 2020/07/11 1,760
1093729 김현미 "양도세 강화로 물량 나올것…젊은 세대에 죄송&.. 22 .. 2020/07/11 3,077
1093728 BBC 박원순 사망 때도 오보 속출… '무책임한 보도'가 위험한.. 4 기레기아웃 2020/07/11 1,208
1093727 현관문 방충망 설치 하신 82님들 4 ... 2020/07/11 1,794
1093726 제리 내들러 미 하원 법사위원장 종전 촉구 결의안 서명 6 light7.. 2020/07/11 646
1093725 네가 악플러들이다 12 2020/07/11 760
1093724 일본것들 용서가 안되네요 악마들 21 ㅇㅇ 2020/07/11 2,597
1093723 김어준 총수 모친상에 보낸 근조화환 사진 76 세브란스시청.. 2020/07/11 7,668
1093722 82에서 왜 부동산글이 없어졌냐고? 36 내참 2020/07/11 2,326
1093721 그와중에 유서쓴펜 일제붓펜 ㅡㅡ;; 애마는 렉서스 참나 38 2020/07/11 4,696
1093720 젤 재밌는 가족영화는 나홀로집에인가요~~ 17 궁금해요 2020/07/11 1,319
1093719 고인 모독 멈추시죠 15 그만좀 2020/07/11 1,5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