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영어 선생님 계시면 답변 부탁드립니다.

영어선생님께 부탁 조회수 : 1,256
작성일 : 2020-06-14 10:56:39
가정법 과거를 보면 
were to를 쓴 가정법에 대해서도 설명이 나옵니다.
실현 가능성이 전혀 없는 일에 대한 가정으로 were to를 쓴다고 '가정법 과거'의 부분으로 설명이 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이게 다른 데서는 설명이 가정법 미래라고 되어 있네요(인터넷과 자습서에는 가정법 미래 구문으로 되어 있습니다.)

If I were to die tomorrow, what would you do?

If the boss was/were to come in now, we'd be in real trouble.

If you were to move your chair a bit, we could all sit down.

요 3문장 가정법 문법 설명 부탁드립니다. 가정법 과거? 가정법 미래?
아이가 학원을 안 다니니 여쭤볼데가 없네요.

한수 지도 부탁드립니다.
IP : 121.88.xxx.219
1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20.6.14 11:09 AM (125.177.xxx.88)

    https://m.blog.naver.com/7tepung/221472400949
    같은 얘기예요
    가정법 미래 중에서 실현가능성이 없을 때 쓰는 표현이죠

  • 2. london
    '20.6.14 11:18 AM (110.15.xxx.179)

    가정법 미래? 가정법 과거? 이렇게 이름을 어렵게 붙여놔서 그런대요. 헷갈리게..
    가정법 과거는요. 과거에 내가 이렇게 하지 못했으니, 이렇게 했더라면 좋았을것을.. 하고 얘기하는거에요. Had p.p 나 should have done. 같은 완료형이 들어가 있고, 과거에 그렇게 못했으니 더더 과거의 시제로 꾸며주는거에요. 과거에 못한거는 과거 완료형(대과거)로 통탄하죠. 그렇게 할걸.

    지금 예로 드신 세가지는 가정법 현재 혹은 미래 라고 불리워질거에요. 갖다붙이기 나름인데
    가까운 미래(는 거의 현재)와 미래의 일을 가정할때 사용하죠. 하지만 거의 가능성이 없는 경우에요. Were to는 가능성이 없을때 사용해요. 상상력이 동원되어야 할경우에요.
    나머지 could would 같은 조동사 뒤에 동사원형으로 표현하는 경우는 가능성이 조금이라도 있거나 의지가 조금이라도 있거나 하는 상황이에요.

    가정법 과거인지 현재인지 미래인지는 앞뒤 문장을 해석해서 어느 시점의 일을 가정하는지를 뜻하는 것입니다.
    그 시점의 일보다 한단계 과거로 표현하는게 가정법이고요. 그래서 가정법 현재의 동사는 과거형으로 나타냅니다.

  • 3. 원글
    '20.6.14 11:45 AM (61.32.xxx.203)

    그럼 가정법 과거가 아닌거네요.
    학교에서는 가정법 과거라고 설명을 하였다고 합니다.

  • 4. ...
    '20.6.14 11:51 AM (125.177.xxx.135) - 삭제된댓글

    런던님 설명은 가정법 과거완료에 대한 설명입니다

    가정법 과거 맞아요

  • 5. ...
    '20.6.14 12:00 PM (125.177.xxx.135) - 삭제된댓글

    london님 설명에 오류가 많네요

    가정법 과거는요. 과거에 내가 이렇게 하지 못했으니, 이렇게 했더라면 좋았을것을.. 하고 얘기하는거에요. Had p.p 나 should have done. 같은 완료형이 들어가 있고, 과거에 그렇게 못했으니 더더 과거의 시제로 꾸며주는거에요. --> 이건 가정법 과거가 아니라 가정법 과거완료에 대한 설명입니다

    지금 예로 드신 세가지는 가정법 현재 혹은 미래 라고 불리워질거에요. 갖다붙이기 나름인데
    --> 이건 가정법 과거 혹은 가정법 미래라고 합니다

    가정법 과거인지 현재인지 미래인지는 앞뒤 문장을 해석해서 어느 시점의 일을 가정하는지를 뜻하는 것입니다.
    그 시점의 일보다 한단계 과거로 표현하는게 가정법이고요. 그래서 가정법 현재의 동사는 과거형으로 나타냅니다.
    --> 직설법 현재의 동사를 과거형으로 쓰고 이걸 가정법 과거라고 합니다

    원글님이 예로 든 문장은 과거라고 볼 수 있으니 학교에서 가정법 과거로 배웠으면 그렇게 공부하면 돼요
    가정법 과거라는 게 직설법 현재의 반대 상황을 가정하는 거고
    예로 든 문장이 지금 상황의 반대를 가정하는 거니까요

  • 6. ...
    '20.6.14 12:00 PM (125.177.xxx.135)

    london님 설명에 오류가 많네요

    가정법 과거는요. 과거에 내가 이렇게 하지 못했으니, 이렇게 했더라면 좋았을것을.. 하고 얘기하는거에요. Had p.p 나 should have done. 같은 완료형이 들어가 있고, 과거에 그렇게 못했으니 더더 과거의 시제로 꾸며주는거에요.
    --> 이건 가정법 과거가 아니라 가정법 과거완료에 대한 설명입니다

    지금 예로 드신 세가지는 가정법 현재 혹은 미래 라고 불리워질거에요. 갖다붙이기 나름인데
    --> 이건 가정법 과거 혹은 가정법 미래라고 합니다

    가정법 과거인지 현재인지 미래인지는 앞뒤 문장을 해석해서 어느 시점의 일을 가정하는지를 뜻하는 것입니다.
    그 시점의 일보다 한단계 과거로 표현하는게 가정법이고요. 그래서 가정법 현재의 동사는 과거형으로 나타냅니다.
    --> 직설법 현재의 동사를 과거형으로 쓰고 이걸 가정법 과거라고 합니다

    원글님이 예로 든 문장은 과거라고 볼 수 있으니 학교에서 가정법 과거로 배웠으면 그렇게 공부하면 돼요
    가정법 과거라는 게 직설법 현재의 반대 상황을 가정하는 거고
    예로 든 문장이 지금 상황의 반대를 가정하는 거니까요

  • 7. 미래죠
    '20.6.14 1:21 PM (1.235.xxx.101)

    너 내일 죽는다면 뭐 할래?

    여기에 어디 과거의 느낌이 있어요?

  • 8. ...
    '20.6.14 1:28 PM (125.177.xxx.135)

    가정법 과거는 현재 사실의 반대라니까요
    동사의 과거형을 써서 가정법 과거라고 부르는 거지 과거의 느낌이 있어 과거라고 부르는 게 아닙니다

  • 9.
    '20.6.14 1:43 PM (1.235.xxx.101)

    가정법 헛갈리네요...

  • 10. 정리하면
    '20.6.14 1:44 PM (117.111.xxx.1) - 삭제된댓글

    현대 사실을 반대로 가정하는것, 그렇게 될 가능성 0%는 가정법 과거입니다.

    내일 해가 서쪽에서 뜬다면.. 그런거죠.

    근데 해는 내일도 뜨잖아요. 오늘 안뜨는걸 반대로 가정하면 가정법 과거인데

    내일 해가 또 뜨잖아요? 그것에 대한 가정은 가정법 미래인거죠.

    were to, should가 일어날 수 없는 일에 대한 가정에 쓴다고 하죠. 그거라고 보셔요.

  • 11. 3개예문은
    '20.6.14 1:50 PM (117.111.xxx.1)

    현재의 사실을 가정한게 아니지요?

    현재의 일은 아니기 때문에 된다 안된다 알수없고..따라서 반대의 사실을 말할수는 없어요. 그래서 가정법 과거는 아니에요.

    그런데, 그럴 가능성은 0%에요. 그렇게 생각할때도 were to, should를 써요.

    현재의 사실에 대한게 아니라 말하는 사람의 생각이지만, 거의 사실이나 다름없는 거죠.

    그럴때 were to, should를 쓴다.

    그걸 가정법 미래라고 이름 붙인거고요.

    "미래"는 시제는 아닙니다. 말하는 사람의 생각이 들어간것입니다. 왜냐면 미래는 정말로 그런 동작을 하거나 한게 아니라..할 것이다..라고 말하는 사람이 생각하는 거니까요.

    그러나

  • 12.
    '20.6.14 2:02 PM (1.235.xxx.101)

    미래군요!

  • 13. fnemo
    '20.6.14 3:42 PM (122.43.xxx.63) - 삭제된댓글

    가정법 과거(과거 동사 씀)
    ㅡ의미는 현재 (사실의 반대)와
    미래(미래 사실은 알 수 없으므로 실현 가능성 희박한 미래)

    가정법 과거완료(과거완료 동사 씀)
    ㅡ 의미는 과거 사실 반대

    가정법은 실제 시제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사실이 아니라는 뜻으로 한 시제 뒤로 미뤄 쓰는 것이기 때문에 요즘 추세는 가정법 현재 미래는 잘 안가르칩니다.

    Were to 나 should 는 확실성이 제로에 가까울 경우를 강조하는 표현으로 이해하고 넘어가는 편이 좋을 것 같습니다.

  • 14. ..
    '20.6.14 9:23 PM (172.74.xxx.143) - 삭제된댓글

    If you were to move your chair a bit, we could all sit down. (formal )--
    If you moved your chair a bit,~~(informal)

    둘 다 같은의미이고 동사를 과거를 써서 가정법 과거(과거 동사 씀)
    현재 (사실의 반대)

  • 15. ..
    '20.6.14 9:27 PM (172.74.xxx.143) - 삭제된댓글

    If you were to move your chair a bit, we could all sit down. (formal )--
    If you moved your chair a bit,~~(informal)
    Were we to move your chair
    모두 다 같은의미이고 동사를 과거를 써서 가정법 과거(과거 동사 씀)
    현재 (사실의 반대)

  • 16. ..
    '20.6.14 9:37 PM (172.74.xxx.143)

    If you were to move your chair a bit, we could all sit down. (formal )--
    If you moved your chair a bit,~~(informal)
    Were we to move your chair( Inversion 가능)-강조할 때
    모두 다 같은의미이고 동사를 과거를 써서 가정법 과거(과거 동사 씀)
    현재 (사실의 반대)

    참고로 난 영어선생 아님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085224 경주 콘도 추천 4 aaaa 2020/06/14 1,732
1085223 엄정화씨 집사부일체에 나와서 목소리 떨리는데 참 예뻐보여요. 16 ... 2020/06/14 15,575
1085222 혹시 색소폰 안에 끼워쓰는 전구?아세요? 4 향기 2020/06/14 736
1085221 어느덧 나이가 오십. 12 ㅁㅁ 2020/06/14 5,591
1085220 오늘만 사는 부동산 좀비들~ 32 ... 2020/06/14 3,910
1085219 미션 임파서블 5 주절주절 2020/06/14 1,127
1085218 요즘 드라마시청률 5 2020/06/14 1,799
1085217 삼청동(현대미술관 서울 근처) 음식점과 까페 추천드려요 5 감사 2020/06/14 1,700
1085216 위생관념없는 남편 ㅡ버릴까요? 20 깊은 박침 2020/06/14 5,176
1085215 과외비깍으려는 집은 절대 하지 말라네요 14 ㅇㅇ 2020/06/14 5,838
1085214 트위터 ‘정부 정책,사실은 이렇습니다’에서 잘못된 뉴스 알려주네.. 7 .... 2020/06/14 713
1085213 밀가루가 나쁜거에요 수입밀이라서 나쁜거에요 22 밀가루 2020/06/14 5,256
1085212 스탠드에어컨 셀프분해했어요. 아아아아 2020/06/14 1,219
1085211 강남신세계에 마카롱 정말 맛있는 매장 있나요? 4 마카롱 2020/06/14 1,763
1085210 초코렛 많이 먹으면 당뇨 생기나요?? 12 궁금이 2020/06/14 4,109
1085209 식이 다이어트 2일 하고 망했어요. 3 ..... 2020/06/14 2,012
1085208 부동산 대책이 이상한건 맞지않나요? 39 ㅇㅇ 2020/06/14 3,818
1085207 카톡이모티콘 이쁜거 어디서 파나요 2 2020/06/14 1,448
1085206 팔통증과 유방질환이 관련있을까요? 5 .. 2020/06/14 1,699
1085205 패디, 붙이는 거 괜찮나요? 15 여름 2020/06/14 2,834
1085204 범여권 173명 의원, '한반도 종전선언' 결의안 발의 8 ../.. 2020/06/14 1,279
1085203 신분증을 잃어버렸는데 괜찮을까요 7 여름 2020/06/14 1,248
1085202 mb 때 집값 잡았다는 사람들 보세요. 46 무식 2020/06/14 2,825
1085201 다들 부모님께 매일 전화 드리나요? 33 피곤하다 2020/06/14 4,243
1085200 스태퍼와 바이크중 어느게 운동하기 좋을까요? 3 .. 2020/06/14 1,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