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사진 앨범들

일요일 조회수 : 799
작성일 : 2020-06-14 00:31:30
옛날 앨범들 다 어떻게 하셨어요?
저랑 남편 어릴 때 부터 대학까지 그리고 연애 후 결혼 앨범에 신혼시기까지 사진까지 거기에 졸업앨범들 까지 정말 산더미 같네요 ㅜㅜ
애들 키우면서 디카가 나와서 그나마 다행이지 안 그랬으면 방 한칸 쌓였을 거에요
다들 옛날 사진 앨범들 어떻게 하셨나요?
IP : 221.143.xxx.17
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퇴집
    '20.6.14 3:46 AM (222.110.xxx.57)

    저흰 그렇게 많지 않아서 그냥 가지고있어요.
    앨범 12권쯤 되는데 일년에 몇번 꺼내봐요

  • 2. 00
    '20.7.27 2:13 AM (1.231.xxx.64) - 삭제된댓글

    3.6. 전세 무한연장법 논란[편집]
    세입자가 맘만 먹으면 집주인이 나가라 해도 못 나가게 하고, 전월세상한제[12]와 전월세신고제를 도입하도록 하는 주택임대차보호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발의했다. 박 의원은 주임법 개정안을 20대 국회에서도 발의했지만 통과되지 못했고, 21대 국회에서 내용을 약간 수정해 다시 발의했다. 특히 이번 국회에서 여당이 176석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여당이 맘만 먹으면 쉽게 통과시킬 수 있다.

    주임법 개정안이 통과되면 임차인이 전세 입주한 후 평생 거주하는 것도 가능하며, 임차인이 중대 과실을 저지르지 않는 한 임대인은 평생 집을 되찾지도 못한다. 따라서 이 법은 명백히 집주인의 재산권을 침해하는 법[13]으로 위헌 논란이 일 수밖에 없으며, 민법에서 가장 기본적인 원칙인 '계약 자유의 원칙'과 '물권법정주의'(사용의 권능이 영구배제된 소유권의 탄생)에도 어긋난다. 게다가 해당 법안이 통과될 경우, 부동산 시장을 왜곡시켜 전세 가격이 폭등하거나[14] 전세 매물이 나오지 않아 오히려 서민들에게 피해가 갈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 권대중 명지대 교수도 "여당이 지금 추진하는 인위적이고도 강력한 법안들은 시장에 예측하지 못한 부작용을 불러올 수 있다"고 우려했다. #

    이에 대해 박 의원은 "상승 위험은 있지만, 엄청난 비율은 아니다"[15]라고 해명했지만, 부동산 전문가 출신인 김현아 의원[16]은 "전셋값은 '집주인과 전세 갱신'이라는 요소만으로 결정되는 단순한 구조가 아니다"라면서, "현재 서울 수도권 전셋값 상승의 원인은 인기있는 신축 공급은 막은 상황에서 도심 등으로 수요가 몰리기 때문이다. 전세 무기한 연장이 되면, 앞으로 인기있는 지역은 새로 들어갈 수 없는 주거의 양극화가 고착화될 것"이라고 반박했다. # 이인철 참조은경제연구소 소장도 "입지가 좋은, 환경이 좋은 강남이나 목동과 같은 데[17]는 세입자가 한 번 들어가면 안 나올 거 아니에요"라고 우려했다. #

    해외 사례를 보면, 독일이나 60~70년대 영국은 임대차를 기간을 정하지 않은 계약으로 보고, 해고처럼 정당한 사유가 있는 경우만 계약 해지가 가능하도록 했고, 미국 뉴욕이나 일본은 임대차를 1~2년의 단기간 계약으로 하되, 정당한 사유 없이 임대인이 임차인의 계약 연장을 거부하지 못하게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제도가 임차인에게 항상 이득이 되는 것은 아닌데, 독일의 경우, 집값과 임대료가 폭등하는 부작용이 나타나 베를린시 의회가 주택 임대료를 5년간 동결하는 법안을 통과시켰다. 그리고 독일 기민당은 이 법안에 대해 헌법재판소에 위헌 소송을 예고했다. #

    임차인들의 주거 안정을 법안의 취지로 들고 있지만, 이런 식으로 거래 행위에 개입하는 것은 경제학적으로 봤을 떄 부작용만 낳는다. 현재 전월세를 살고 있는 사람들만 이익을 볼 뿐이고, 장기적으로는 전월세 시세가 올라가 서민들이 피해를 보며. 궁극적으로는 주택 공급이 줄어들어 집값이 올라간다. 도무지 좋은 구석이 하나도 없는 제도이며, 그래서 미국 경제학자들이 진보/보수 안 가리고, 무려 90% 이상이 임대규제법에 반대하는 것이다. 유명한 진보 경제학자인 폴 크루그먼 조차도 임대규제법에 대해서는 비판한다.

    이 법의 제안 이유 조차 악마의 편집식으로 제시한 것이 들어났다. 법안의 발의 취지에 2008년부터 2014년까지의 주택의 자가 점유율이 점점 하락한다고 설명해 놓았는데, 2014년 이후부터 자가 점유율이 올라간 통계는 쏙 빼놓고 내려간 것만 제시해 선동을 하는 것이다. #, #, # 더 갈 것도 없이 한국갤럽에서 정기적으로 조사하는 부동산 관련 여론조사에서 자가 점유율이 59%를 찍었다. # 심지어 20대 자가 보유율도 점점 증가하는 추세에, 30대의 자가 점유율이 52%를 넘어버렸다는 것이다. 20대만 홀로 8%에 불과한데, 이는 되리어 청년층에게 피해가 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논란이 되자 사과 대신 해당 부분만 슬쩍 고쳐놓았지만, 고친 부분 조차 말장난으로 사실을 호도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았다. 2008년부터 2014년까지 주택 자가점유율이 2.8%p 줄어든 것은 '지속적 하락세'라고 표현한 반면, 2016년부터 2018년까지 4.4%p 상승한 것은 '미세하게 상승하고 있다'면서 '여전히 임차가구는 40% 이상이다'라고 표현해 억지로 끼워맞춘 것이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085210 초코렛 많이 먹으면 당뇨 생기나요?? 12 궁금이 2020/06/14 4,109
1085209 식이 다이어트 2일 하고 망했어요. 3 ..... 2020/06/14 2,012
1085208 부동산 대책이 이상한건 맞지않나요? 39 ㅇㅇ 2020/06/14 3,819
1085207 카톡이모티콘 이쁜거 어디서 파나요 2 2020/06/14 1,448
1085206 팔통증과 유방질환이 관련있을까요? 5 .. 2020/06/14 1,699
1085205 패디, 붙이는 거 괜찮나요? 15 여름 2020/06/14 2,834
1085204 범여권 173명 의원, '한반도 종전선언' 결의안 발의 8 ../.. 2020/06/14 1,279
1085203 신분증을 잃어버렸는데 괜찮을까요 7 여름 2020/06/14 1,248
1085202 mb 때 집값 잡았다는 사람들 보세요. 46 무식 2020/06/14 2,825
1085201 다들 부모님께 매일 전화 드리나요? 33 피곤하다 2020/06/14 4,243
1085200 스태퍼와 바이크중 어느게 운동하기 좋을까요? 3 .. 2020/06/14 1,024
1085199 모기퇴치기 괜찮나요? 1 .. 2020/06/14 1,221
1085198 외부 조명, 투광기에 벌레 퇴치 어떻게 하는지요? ........ 2020/06/14 771
1085197 알프람정 처방 7 항문외과 2020/06/14 2,546
1085196 젊어서는 어떻게 살까 고민하다가 4 ㅇㅇ 2020/06/14 2,642
1085195 오이지 김냉에 보관할때요.... 4 오늘 2020/06/14 1,388
1085194 아침에 사주 글 올렸던 사람인데 운영자가 지웠네요;; 당황 32 마리 2020/06/14 5,458
1085193 환갑 챙기시나요? 19 oo 2020/06/14 4,337
1085192 동묘 길냥이 단체 고소장 서명하신 분들만 글 봐주세요 메일이 왔.. 13 유후 2020/06/14 1,195
1085191 가끔 가는 시골동네 길고양이 문의 7 나무 2020/06/14 816
1085190 학원에서 학원친구어플 깔라는데 3 해바라기 2020/06/14 1,393
1085189 수도권 코로나요.. 20 .. 2020/06/14 5,340
1085188 발바닥 피부속이 곪은듯해요 7 발바닥이 2020/06/14 2,932
1085187 매실 인터넷으로 어디서 사면 좋을까요 2 2020/06/14 901
1085186 죄송한데 변호사님정보좀 (성폭력.추행관련분야) 6 .... 2020/06/14 1,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