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에어컨 제습기능 전기요금?
제습기능이 전기요금을 많이 잡아먹나요? 3식구에 방마다 시스템이 있는데 각 방마다 5시간씩 한달 제습 틀어놓으면 얼마정도 나올까요?
1. ..
'20.6.10 11:58 PM (122.32.xxx.66) - 삭제된댓글냉방이나 비슷할거에요.
저희도 장마철에는 제습을 내내 틀어요2. 제습기
'20.6.11 12:07 AM (58.231.xxx.192)사람있는곳 틀면 안되고 틀고 환기 해야 합니다. 전기료는 크게 많이 나오는거 아닌것 같아요
3. 행복한새댁
'20.6.11 12:11 AM (125.135.xxx.177)왜 사람 있는곳에서 틀면 안되죠? 궁금합니다..
제가 알기론 콤프레샤 쓰는건 똑같아서 전기세 냉방이랑 비슷하게 나오는 걸로 알아요.4. 사람몸에
'20.6.11 12:20 AM (223.39.xxx.68)수분까지 빨아들여서 몸에 안좋다네요
5. 행복한새댁
'20.6.11 12:24 AM (125.135.xxx.177)제 생각에는 그런것 같진 않아요.. 공기중 습도를 얼마나 빨아들여야 가능한 얘길까 싶어요.. 아마, 콤프레샤의 크기가 제습기보다 월등하게 크고 효과가 제습기에 비해 넘사벽이니깐 그런 추측을 하는데.. 피부가 건조해질만큼 제습이 강력할것 같으면 그 전에 끄면 됩니다ㅡㅡ
아님 물한잔으로 충분하구요.
신체에서 수분 증발은 공기를 통해서 이루어지는데 이 공기의 수분 밸러스가 깨진다고 인체에 즉각적인 피해가 가진 않아요.. 과도한 수분을 잡아주는 용도로만 쓰는거니깐요..6. 제습기
'20.6.11 12:27 AM (223.33.xxx.224)회사에서도 사람있는곳 틀지 말고 틀면 환기하라 합니다. 피해안간다는건 혼자 생각이고요
7. ㆍㆍ
'20.6.11 12:36 AM (125.128.xxx.183)요즘 제습기에 습도 조절 기능 다 있어요.
적정습도 50% 맞춰두면 자동조절 되죠.8. 기사님왈
'20.6.11 12:56 AM (122.32.xxx.66) - 삭제된댓글에어컨 제습이랑 제습기 제습이랑 다르다네요
9. .....
'20.6.11 7:44 AM (112.144.xxx.107)에어컨 제습 기능은 제습기랑 달라서 사람 있을 때 켜놔도 되고 환기 안 해도 돼요.
10. 입주후
'20.6.11 8:47 AM (14.34.xxx.79) - 삭제된댓글하자 점검기간에 리모컨 설정문제로 (한대에 어려대갸 동시에 반응)
as신청하고 기사분이 오셔서 이것저것 설명해주셨어요.
냉방이나 제습이나 전가료 차이가 없대요.
똑같은 비용을 들여서 시원하게 하는게 낫지
어차피 냉방을하면 제습이 되는데 굳이 제습을 할 필요는 없다 하시더군요.
실외기가 돌아가면 냉방이건 제습이건 전기요금의 차이는 없다네요.
그럼 왜 제습기능이 있냐고하니 전기요금은 똑같은데 차가운 바람의 차이라고..
냉방으로 온도를 빠르게 낮추고 자동으로 유지하는게 낫대요.
서서히 온도를 낮추면 실외기 돌아가는 시간이 더 길어지니 그만큼 전기요금도 상승.11. ᆢ
'20.6.11 9:27 AM (211.224.xxx.157)냉방보다 제습으로 틀면 더 시원해요. 습기를 냉방보다 더 많이 빨아들여 그런듯. 전기요금은 똑같다고 여러번 뉴스에 나왔었구요.
12. 미조술
'20.6.11 3:33 PM (218.157.xxx.204)제주도에 살고 있습니다
저는 사람이 있는곳에는 에어컨과 제습기 두개 다 틀지 않습니다
제습기는 방문을 닫고 틀어야 효과가 좋은데 기계에서 나오는 공기가 안좋아요 그래서 틀어놓고 나가서 들어오면 환기 꼭 시켜주고 문닫아요
에어컨 제습기는 감기걸려요 목이 심하게 건조해져서 다음날 혹은 다다음날 바로 감기 걸리더라구요(물론 사람마다 다를수 있어요)
그래서 저는 에어컨 제습보다는 차라히 냉방을 틀어요 어차피 전기료도 비슷하게 나오는데 굳이 제습을 틀 필요가 없게 느껴지는거죠13. 비추
'20.6.11 4:20 PM (124.51.xxx.231)에어컨 제습 기능 쓰지마세요..
차라리 약한 냉방을..
제습기 쓰고 다음해 에어컨 청소하다가 기절하는 줄 알았어요..
곰팡이가 엄청나게...ㅡㅡ;;
제습기 따로 돌리고 에어컨 킵니다.
냉방비는 거의 차이 안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