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개인연금, 보험 잘 아시는 분 조언 필요해요.
둘다 원래 종신형으로 되어있어 그대로 받을 경우 매달 30만원 남짓 나오는것 같던데 연금개시일 전까지 지급종류를 다시 선택하라고 하네요. 지급형태가 10가지나 돼서 뭐가 유리한지 읽어봐도 모르겠네요. 추리면 세종류로 확정기간플러스, 종신조기집중형,종신플러스 인데 이게 5년부터 30년까지로 또 나눠져 있어요. 물론 콜센터 전화해봐도 되는데 회사에 유리한거 권하지 않을까 싶기도 하고 그래서 혹시 고객입장에서 어떤게 유리한지 조언을 구합니다.
모아놓은 큰돈은 없지만 맞벌이라 노후엔 소소하게 살 정도는 될것 같고, 다만 졸업을 앞둔 대학생 아들만 둘인데 몇년 후 결혼자금 조금이라도 대주려면 지금부터 현금을 모아야하는 처지긴해요.
1. ㅇㅇ
'20.5.27 7:17 AM (175.207.xxx.116)얼마전에 개인 연금 지급을 미뤘다가 한꺼번에
받으니까 세금 폭탄 맞는다는 글 봤어요2. ...
'20.5.27 7:34 AM (58.228.xxx.89) - 삭제된댓글종신으로 푼돈 받는 게 싫으면 한 5년에 몰아서 받거나 국민연금 나올 때까지(7~10년간) 몰아서 받는 건 어때요?
사실 연말정산때 공제받은 세제적격연금이 아니라면 10년 이상 유지한 장기보험의 경우 비과세 상품이라 세금폭탄은 이슈가 아닐 것 같은데요.
저도 개인연금 신탁, 펀드, 보험... 다 가지고 있고 액수가 많은데다 퇴직연금까지 있어서 이 문제를 좀 고민해봤는데...(전문가는 아니어요 ㅠㅠ) 저는 국민연금 나오기 전에 싹 다 받을 생각이어요. 종신형 선택 안하구요..연금이 국민연금과 만나는 순간 종합과세 등등 골치 아파진다고 해서...
일단 삼성생명 콜센터에서 상담해보세요. 세금문제 같은 건 거기서 제일 잘 알겠죠.
82분들은 금융회사는 뿔달린 악마라 생각하시겠지만 거기서 일하는 사람들도 빨간 피 흐르는 보통사람이고, 그 업계 사람들이 제일 전문가겠죠.3. 빙그레
'20.5.27 8:18 AM (39.118.xxx.198)연금 지급 형태는 각가정에 맞게 하는게 좋고요.
다만 90년대에 들은것중 이율이 확정된 상품은 지금보면 7%이상으로 고이율이니 되도록 늦게 받는 형태로 하면 조금이나마 더 받을수 있어요.
이런연금은 중간에 해지하거나 한꺼번에 받으면 세금이 많이 나오니 정기적으로 받아서 예금으로 따로 모으시는게 좋아요.4. 빙그레
'20.5.27 8:19 AM (39.118.xxx.198)대다수가 원래의 지급 방식이 소비자에게 유리하게 되어있긴해요.
5. 다른 연금 없으면
'20.5.27 8:52 AM (182.221.xxx.183)그냥 매월 30씩 보험 두 개니까 60만원 죽을때까지 수령하는 걸로 두세요. 개인연금 월 100이내면 비과세거든요.
6. ..
'20.5.27 8:57 AM (223.62.xxx.185) - 삭제된댓글우린 부부 종신형으로 받으려구요.
7. ㅇㅇ
'20.5.27 9:40 AM (110.12.xxx.167)하나 정도는 종신형이 좋을거 같아요
하나는 분할 이렇게요
일시불로 타려고 하니까 세금이 너무 많이 나와서
5년 분할로 탔어요8. 현직설계사
'20.5.27 1:49 PM (183.104.xxx.41)연금을 지금 굳이 수령안하셔도 되세요. 현재 수입이 있으시고 일을 하시고 계시면 뒤로 더 미루셔도 됩니다. 보험회사는 연금을 더 빨리 타게 하는게 좋기때문에 권하죠. 돈을 더 묵혀두면 둘수록 이자가 쌓이니까요. 그리고 연금으로 전환보다는 생활자금형이 선택가능하다면 그걸로 선택하세요. 종신보험을 연금으로 수령할경우 종신은 소멸합니다. 생활자금형으로 선택할경우 종신보험에서 빼서 쓰는거라고 보시면 되기때문에 종신은 살아있어요. 매년 받을수록 돈이 줄어들뿐이죠.
9. ㅇㅇ
'20.5.27 4:13 PM (211.114.xxx.68)친절하게 답변해주신 분들 모두 감사합니다. 많은 도움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