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독일 언론 "한반도 지진 가능성"

... 조회수 : 3,059
작성일 : 2020-05-22 08:30:24
https://news.v.daum.net/v/20200521220606740

한반도에서 최근 소규모 지진이 잇따르면서 전문가들이 대형 지진 발생 가능성을 경고하고 있다고 20일(현지시간) 독일 매체가 보도했다.

독일 공영방송 도이치벨레(DW)는 이날 "한반도는 그동안 지진 활동이 활발한 지역은 아니었지만, 지진학자들은 잇따르는 소규모 지진이 앞으로 더 큰 지진의 징조라고 경고하고 있다"고 전했다.

DW는 "한반도는 전통적으로 '불의 고리'라고 불리는 환태평양 조산대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여겨졌다"면서도 "하지만 전문가들은 지각판의 이동으로 인해 한국에 '뉴 노멀'(new normal·새 기준)이 오는 것은 아닌지를 살펴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기상청에 따르면 지난 13일 전북 완주군에서는 규모 2.8 지진이 발생했다. 완주군에서 규모 2.0 이상 지진이 일어난 것은 2014년 12월 이후 처음이다. 이보다 이틀 전에는 북한 강원도 평강 지역에서 규모 3.8 지진이 일어났다. 평강 지진은 서울과 경기도 지역에서도 진동을 느낄 수 있었다.

올해에만 지난 13일까지 한반도에 규모 2.0 이상의 지진이 총 27회 발생했다.

DW는 "전문가들은 4월 26일 이후 전남 지역에서만 400여 차례 미세한 지진이 이어진 것에 더 깊은 우려를 보이고 있다"면서 "이 지역은 데이터를 수집하기 시작한 1978년 이후 지진 활동이 보고되지 않았던 곳"이라고 지적했다.

홍태경 연세대학교 지구시스템과학과 교수는 DW와 인터뷰에서 "전남 지역에서 매우 이례적인 활동이 짧은 시간 내에 잇따라 발생함에 따라 유심히 지켜보고 있다"며 "과거와 비교해 깊은 지역에서 일어나는 것도 특이하다"고 말했다. 보통 한반도에서의 지진은 지하 10km에서 주로 발생했으나 최근 20km 깊은 곳에서 진행되고 있다는 것이다.

홍 교수는 "동일본 대지진이 일어나면서 한반도 동부가 약 5㎝, 서부는 약 2㎝ 동쪽으로 움직였는데 이는 한반도 지각이 약 3㎝ 정도 늘어났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요시아키 히사다 일본 코가쿠인대 교수는 "별다른 지진 활동이 없던 한반도에서 최근 지진 증가는 우려스럽다"며 "잦은 지진은 경고 신호로 매우 주의 깊게 관찰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IP : 124.50.xxx.16
1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ㅇㅇ
    '20.5.22 8:42 AM (120.142.xxx.123)

    잘 나가는걸 경계하는 세력이 인공지진을 만드는것 아님? ㅋㅋㅋ

  • 2. 잦은 지진은
    '20.5.22 8:44 AM (172.241.xxx.133)

    관측기구가 좋아지고 여기저기 많이 설치하면서 기록이 늘어나것 뿐입니다.

    가능성은 있겠지만, 그 확률은 일본 도꾜나 미국 la에 어마어마한 대지진이 일어날 확률과 비교해서 만분의 1도 안됩니다.

    마치 80 넘은 노인 앞에서, 20살 먹은 청년이 나이 먹으니 아침에 등이 쑤신다고 하는 겪이지요.

  • 3. ㅇㅅㅇ
    '20.5.22 8:48 AM (124.50.xxx.16) - 삭제된댓글

    관측기구가 좋아져서 지진을 많이 잡아낸건 맞지만 어쨌든
    지진이 많아진건 사실이잖아요.

  • 4. ㅇㅅㅇ
    '20.5.22 8:50 AM (124.50.xxx.16)

    관측기구가 좋아져서 지진을 많이 잡아낸건 맞지만 어쨌든
    지진이 많아진건 사실이잖아요.
    저번 포항 3.5 지진에도 엄청 큰 피해와 트라우마 고통이 있었죠.
    우리나라는 지진에 대한 경험없어서 3.5든 2.0이든 규모상관없이
    큰 지진피해와 트라우마가 있을텐데요

  • 5. 암튼요
    '20.5.22 8:56 AM (1.225.xxx.142) - 삭제된댓글

    적극적으로 대비는 해야겠어요

  • 6. 달팽이
    '20.5.22 8:57 AM (128.134.xxx.7)

    2017 포항지진은 5.4에요.

  • 7. 포항지진
    '20.5.22 9:01 AM (175.123.xxx.211)

    이명박이 뭐한다고 엄청 구멍 뚦어놔서 ...

  • 8. 예언서에도
    '20.5.22 9:01 AM (59.8.xxx.220)

    큰 지진 있다고 했던거 같고, tv에 나왔던 점술가도 그런 예언 했던거 본적 있어요
    그런거 믿진 않지만 상황이 그렇게 되어 가는거 같으니 떠올리게되긴 하네요
    한방에 훅 가버리는게 지진 같은 자연재해니까요
    자연 앞에 인간은 미물도 아님을 깨닫게 합니다
    어떻게 될지 모르는 인간사 마음을 넓게 쓰고 행복하게 살다 가는게 대비책이라면 대비책 아닐까요
    개인이 할수 있는거란게 없어서요

  • 9. ㅇㅅㅇ
    '20.5.22 9:02 AM (124.50.xxx.16)

    예 2017년 11월 포항 첫 지진 5.4 고
    한달 후 다시 지진 났을땐 3.5
    https://news.v.daum.net/v/20171225163559769

  • 10. ㅇㅇ
    '20.5.22 9:10 AM (106.101.xxx.52)

    마지막줄에 왜구등장이네요 섬숭이는 니네지진이나 걱정해라 우려는 개뿔 지진나길 바라는거겠지

  • 11. 포항지진은인재
    '20.5.22 9:13 AM (125.184.xxx.90) - 삭제된댓글

    포항지진은 지진대 때문이 아니라 인재였어요. 지하에서 뭘 끌어내는 기술이 외국에서도 지진을 일으켰는데 그걸 포항에 도입해서 지진이 일어난거였어요..
    저런 지진대 지진이랑 다른거였어요.

  • 12. 포항지진은인재
    '20.5.22 9:14 AM (125.184.xxx.90) - 삭제된댓글

    https://m.pressian.com/m/pages/articles/233380?no=233380

  • 13. 우리나라도
    '20.5.22 9:59 AM (125.184.xxx.67)

    이제 지진 대비해야 할 때인가 봐요.

  • 14. 지진이
    '20.5.22 10:01 AM (211.179.xxx.129)

    대비한다고 뭐 뾰족한 방법이 있겠나요.
    원전이나 특별히 신경써야죠.
    그리고 몇년전 지진 심했을때 일본 권위자가 나와서
    일년 안에 큰 지진 날 확율이 높다고 하길레 엄청 겁먹었는데 아무일 없었죠. 지진을 예측하는 것은 쉽지 않은거란 걸
    알겠더군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114378 종로5가 활용하기- 팁 알려주세요 - 전 뱅뱅바지가 일상복으로 .. 2 ... 2020/09/05 2,171
1114377 댓글이 4 ??? 2020/09/05 582
1114376 합의문의 ‘코로나 안정화’ 는 다음달 10월 중 21 점점 2020/09/05 2,646
1114375 스마트폰 인터넷으로 사보려고 하는데 2 어떻게 2020/09/05 879
1114374 손 세정제 바른 채 촛불 켜다 '펑'..미 여성 전신 중화상 5 뉴스 2020/09/05 2,610
1114373 정부재난지원금 이번엔 더 어려운 분들만 받아도 될것같아요. 23 .. 2020/09/05 2,188
1114372 양념을 미리해놓는건어떤가요? 6 양념 2020/09/05 1,341
1114371 국가장학금 질문요 4 2020/09/05 1,239
1114370 코렐이링 도자기 그릇 어떻게 버리죠? 7 .. 2020/09/05 5,917
1114369 내가 의료보험료를 얼마를 내는데. 2만원 타령 어이없어서 36 .... 2020/09/05 3,472
1114368 "박근혜 정부 더 낫다는 서민 교수, 기억상실인가&q.. 22 뉴스 2020/09/05 2,686
1114367 샷시교체시 부엌 터닝 도어 6 ... 2020/09/05 1,655
1114366 배두* 발음 25 .... 2020/09/05 4,561
1114365 1일1식 다이어트에 효과가 있나요? 6 2020/09/05 3,010
1114364 맛집 찾아다니며 먹는게 취미인 분들 7 2020/09/05 2,995
1114363 소설가 김영하가 젊은 시절 갔다는 점집 도령 어디인가요? 11 ... 2020/09/05 6,950
1114362 70대 아버지 취미생활로 뭐가 좋을까요? 18 ㅡㅡ 2020/09/05 7,695
1114361 민경욱 : 난 왜 햇반 안주는데? 8 ㅇㅇㅇ 2020/09/05 4,032
1114360 컬러푸드 많이 드시나요? 2 2020/09/05 1,100
1114359 요즘 애들 엄마가 전업주부면 창피해하나요? 28 2020/09/05 8,443
1114358 효소단식 해 보고 싶어요.어떨까요? 9 단식 2020/09/05 1,563
1114357 의사들주장대로 했더니. . 14 ㄱㅂㄴ 2020/09/05 2,710
1114356 규제에 놀랐나?..시세보다 수억 원 낮은 가격에 처분된 아파트들.. 3 뉴스 2020/09/05 2,581
1114355 다이슨(Dyson) 말고 밀레(Miele) 선 없는 청소기 써 .. 7 궁금 2020/09/05 2,550
1114354 직장 다니는아들이 오랜만에 집에온다고 4 소나무 2020/09/05 3,2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