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펌)학교에 대한 글인데 공감되는 부분이 많아요

... 조회수 : 1,938
작성일 : 2020-05-12 21:20:16
“왜 학교에 다니니.”

아이에게 물어본다면 어떤 대답이 돌아올까. ‘엄마가 가라고 하니까’ ‘꼭 다녀야 한다면서’ 같은 답을 하거나 아니면 뚱한 표정으로 쳐다볼 것이 분명하다. ‘미래를 위해서’ 같은 정답은 기대하기 어렵다. 그렇다. 대다수 아이들은 법으로 강제된 의무교육이라서 학교에 다닌다.

대학입시를 치르기까지 초중고교 12년 시간표는 배워야 할 과목과 내용, 수업시수 등이 빈틈없이 짜여 있다. 아이들은 그에 따라 똑같은 수학 문제를 풀거나 영어 단어를 외운다. 다른 선택지는 없다. 그런데 코로나19가 공교육에 균열을 일으키고 있다. 공교육 수요자인 학생과 학부모가 수업 및 등교를 선택하는 전례 없는 경험을 하게 된 것이다.

온라인 개학을 하고 원격 수업을 하는 동안 학생들은 재미있는 수업을 먼저 듣거나, 재미없는 수업을 1.5배속, 2배속으로 빠르게 돌려 들었다. 틀어만 두기도 한다. 공부에 의욕이 있다면 같은 내용을 다룬 인터넷 강의를 찾아 들었다. 반드시 이수해야 할 수업이 정해져 있어도 교실에 꼼짝없이 앉아 있는 것에 비하면 상당한 자율성을 갖는다. 온라인 수업을 학교 밖 강의와 비교할 수 있다는 점도 교육 수요자인 학생에게 힘을 실어준다.


여기에 더해 학생과 학부모는 등교 개학 이후 학교를 갈지, 말지를 선택할 수 있게 됐다. 가정학습을 하면 연간 2주 내외는 등교하지 않아도 출석으로 인정해 준다. 사실상 등교 선택권이 주어진 셈이다. 이태원발(發) 집단 감염으로 코로나19의 지역사회 확산 우려가 큰 상황에서 입시가 임박한 고3과 중3을 제외하고는 가정학습을 선택하는 비율이 꽤 높을 것이다. 애초에 학교에 왜 가야 하는지 몰랐던 학생들과 이들의 건강을 걱정하는 학부모의 이해가 일치할 가능성이 크다.

‘학교의 미래, 미래의 학교’의 저자 김재춘 영남대 교수(전 교육부 차관)는 “학교가 자생적인 경쟁력을 갖고 있나. 강제로 다니게 하고 그래야 상급 학교 진학 자격을 주므로 유지되는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200년 전 탄생한 근대 학교의 유효기간이 코로나19 사태로 더 짧아질 것 같다”고 했다.

등교가 미뤄진 두 달여 동안 학교는 온라인 개학을 했고 교사는 원격 수업을 제공했다. 누구도 총대를 메지 않으려던 미래 교육이 최소한 5년은 앞당겨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개인적으로는 수업·등교 선택권이 원격 수업만큼이나 학교를 바꿀 것이라 생각한다.

지난해 학업을 중단한 초중고교생은 5만2539명. 이미 탈(脫)학교 흐름이 거센데 코로나19로 ‘꼭 학교에 가야 하나’는 의문이 커지기 시작했다. 수업과 등교의 선택권을 경험한 학생들은 획일적인 공교육에 코로나 이전처럼 순응하기 어려울 것이다.


혁신이 두려운 교육 공급자도, 입시 경쟁으로 앞만 보던 수요자도 코로나19 사태로 깨달았다. 네모난 교실에 모여 책상 줄을 맞춰 앉아 똑같은 교과서를 배우는 것은 더 이상 지속 가능하지 않다는 사실을. 지식이라면 학교 밖에도 배울 곳이 널려 있다. 코로나 이후, 학교의 기능과 역할이 재정립되지 않는다면 학생들은 영영 학교로 돌아가지 않을지도 모른다.

우경임 논설위원 woohaha@donga.com
IP : 116.32.xxx.51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아자아자
    '20.5.12 9:31 PM (221.151.xxx.147)

    제맘이네요!!!좋은글감사
    학교도 경쟁해야할때..
    공교육도

  • 2. ..
    '20.5.12 9:34 PM (39.7.xxx.145)

    일견 맞는 말도 있지만 교수가 하는 소리 웃기네요 지는 무슨 경쟁력이 있다고. 뭐만 하면 교수들 나와서 잔소리 해대는거 웃기지도 않네요

  • 3. ...
    '20.5.12 9:41 PM (223.38.xxx.162)

    현역 영남대 교수?
    본인은 요즘 수업을 제대로 하고 있는지 저 사람 수업을 듣는 학생들은 평가를 어떻게 할 지 의문.
    무슨 유체이탈 화법도 아니고.

  • 4. 어차피
    '20.5.12 9:57 PM (121.146.xxx.35)

    학교를 나가는 애들은 코로나 이전에도 있었구요 획일적인 공교육이라면 어디서든 같은 목적을 위해 공부를 하는건 과외건 학원이건 비슷하죠
    선택이니 학교로 오지 않아도 제도적인면에서는 다른 방법으로 졸업장을 따면 되는거니까 꼭 코로나로 인해서는 아니라고 봅니다 스스로 학교를 나가는 애들은 늘 있었으니까요
    코로나로 인해 학교를 가지 않고 집에만 있어도 좋다는 사람도 잇지만 학교를 가고 싶어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학교에서 획일적인 교육이라해도 사정상 공교육에 의지해야하는 학생도 있고 필요에 의해 만들어진 학교이니 필요가 없으면 서서히 없어지겠죠
    왜 만들어진건지 이유를 안다면 필요하면 다닐것이고 필요없으면 스스로가 다른 방법을 찾습니다
    혼자 집에서 혹은 학원을 다니며 알아서 잘 공부할 학생이 과연 얼마나 될련지요
    알아서 잘 하는 학생은 어딜가나 잘하기 때문에 학교를 떠나는 겁니다
    학교 교사의 수업의 질을 따지는데 왜 대학교 교수들의 온라인 수업질은 왜 따지지 않는지도 의문입니다
    비싼 등록금 낸만큼의 온라인 수업이 제대로 되는 학교가 더 많은지 그렇지 못한 곳이 더 많은지요
    대면수업이 아니면 온라인 수업은 수업도 아니라고 내내 노래만 틀어대는 교수애기도 들리는데 ...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098644 부부라면 의무적으로라도 잠자리 가져야 하나요? 22 부부 2020/07/26 9,447
1098643 015B 조형곤님이 돌아가셨다네요 5 ... 2020/07/26 3,588
1098642 샷시추천 (앞집보다 샤시 몇백 저렴히 하고 누수도 잡았어요) 17 서울 2020/07/26 4,550
1098641 엄마가 잔소리를 너무 많이 해요.. 3 에효 2020/07/26 1,663
1098640 동명사 2개 이상이 주어로 사용된 경우 도움 요청 2 영어문의 2020/07/26 1,020
1098639 리모델링하면 임시거주는 어떻게 알아보죠? 1 ff 2020/07/26 2,127
1098638 e북 리더기 좀 추천해 주시겠어요? 5 e북 2020/07/26 1,042
1098637 동창회에서 물건이나 보험 좀 안팔았으면 좋겠어요... 7 ... 2020/07/26 2,905
1098636 날씨가 너무 좋네요~~ 4 황홀 2020/07/26 1,522
1098635 광양시 금호동쪽에 청각장애진단 받을만한곳 아시는분? 2 보청기 2020/07/26 626
1098634 서세원 잘사는거보면 15 ㅁㄻ 2020/07/26 7,999
1098633 유통기한 1년 지난 시판 된장 색이 변했는데요 1 시판 된장 2020/07/26 3,717
1098632 코끼리에관한 사자성어 찾아주세요 10 모모 2020/07/26 1,542
1098631 아이방 벽지에 곰팡이가 생겼어요 10 .. 2020/07/26 2,024
1098630 오늘 서울 날씨 일년에 몇번 없을 대박날씨 3 ㅇㅇ 2020/07/26 3,153
1098629 대통령 민주당의원 싹다 세종으로. 29 좋네요 2020/07/26 2,160
1098628 조세저항 웃기고들 있네요... 21 ... 2020/07/26 3,296
1098627 미국사는데 부모 돌아가시면 (자가격리) 4 .. 2020/07/26 2,302
1098626 그리마, 일명 돈벌레 가장 확실한 퇴치법은? 5 돈벌레 2020/07/26 1,814
1098625 대학생들이 즐긴다는 술게임이 뭔지 아시는 분 계세요? 6 2020/07/26 2,560
1098624 40중반 박사과정 가는거 어떤가요? 11 박사 2020/07/26 3,622
1098623 장어 괜찮을까요? 3 늦은 배송 2020/07/26 1,559
1098622 장례식장 5 ㅁㅁ 2020/07/26 2,009
1098621 행정수도 여론조사에 민주당 자신감..통합당에선 이견 표출 13 국토 균형발.. 2020/07/26 2,032
1098620 기본요금 없는 요금제 있는 통신사 좀 알려주세요. 7 .. 2020/07/26 1,4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