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식사하는 자리 그릇 겹치지 않나요?

... 조회수 : 7,840
작성일 : 2020-05-07 20:22:37
두그릇 먹었습니다~ 하고 그릇 겹치면 밥 먹을때 겹치는거 아니래요 숟가락 엎어져 있으면 잔소리 하구요 저녁식사 면이나 빵 준비하면 일하고 온 사람 빵 주는거 아니래요

진짠가요? 울엄마지만 괜히 지어낸거 같아요
IP : 211.193.xxx.94
2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20.5.7 8:24 PM (175.213.xxx.27)

    들어본 말이긴 해요. ㅎㅎ

  • 2. ㅡㅡ
    '20.5.7 8:24 PM (1.236.xxx.20) - 삭제된댓글

    맞는말인데요

  • 3.
    '20.5.7 8:25 PM (175.127.xxx.153)

    엄마 시대는 그랬겠죠

  • 4.
    '20.5.7 8:26 PM (175.127.xxx.153)

    밥그릇 들고 먹으면 거지 동냥하는것처럼 떠돌아다니며 산다는 소리도 들어봤어요

  • 5.
    '20.5.7 8:27 PM (121.146.xxx.140)

    다 맞아요

  • 6. ㅇㅇ
    '20.5.7 8:30 PM (119.198.xxx.247)

    밥에다 숟가락 꽂는건 귀신밥이라 안되는건 알겠는데 숟가락 엎으면 왜 안되는지
    어릴때 할머니집 밥이질어서 숟가락이 끈적여서 엎어상에 올리면 이유는 말안해주고 혼남

  • 7.
    '20.5.7 8:32 PM (121.131.xxx.68)

    다 식사예절 맞습니다
    그냥 예절이니 따지지말고 지키세요
    왜냐고 따지면 지킬 예절 하나도 없어요

  • 8. ....
    '20.5.7 8:36 PM (211.193.xxx.94)

    바늘에 실 꿰서 드렸더니 매듭 짓는거 아니라며 제 매듭을 가위로 자르심

    전국의 어머니들 다 이렇다구요?

  • 9. ..
    '20.5.7 8:38 PM (222.237.xxx.88)

    190@년에 태어나신 울 할머니가 생전에
    저런거 다 뭐라고 하신거보면 옛날에는 하면 안되는거였나봐요.

  • 10. ...
    '20.5.7 8:39 PM (1.233.xxx.68) - 삭제된댓글

    엄마들 다 저렇게 하시죠.
    더한것도 많을텐데...

  • 11. ..
    '20.5.7 8:45 PM (125.177.xxx.43)

    빵은...옛날 얘기죠

  • 12. ..
    '20.5.7 8:56 PM (14.63.xxx.199)

    식사예절이라기보다는 미신에
    가까운 부분이 더 많은거 아닌가요?

  • 13. ㅇㅇ
    '20.5.7 8:57 PM (211.233.xxx.105)

    귀바늘 귀 꿰어 매듭짓고 주면 연이 거기서 끝이라고 우리 엄마도 매듭짓지말고 달라고 하셨어요.ㅋ

  • 14. 오잉
    '20.5.7 9:03 PM (211.109.xxx.226)

    다 첨들어보는 이야기예요.

  • 15. .....
    '20.5.7 9:04 PM (218.235.xxx.64) - 삭제된댓글

    제 딸은 숟가락 그냥 두는것 보다 엎어 두는게
    식탁에 닿는 면적이 적어서 숟가락도 식탁도 서로가 윈윈하는 거라며
    엎어 둡니다. 그런걸로 잔소리 하지 않았지만
    대신 수저 받침대를 준비했어요.
    아마 밖에서 밥 먹을 때는 엎어 두지 않을까 해요.

  • 16. 오잉
    '20.5.7 9:07 PM (211.109.xxx.226)

    저도 윗님 딸이랑 같아요.

  • 17. ...
    '20.5.7 9:15 PM (121.167.xxx.120)

    저희 엄마는 그릇 겹치는거는 남의 첩이 된다고 못하게 하셨어요.
    실제는 그릇이 깨질수도 있어서라고 생각 해요.
    일하고 온 사람 빵이나 면 주는것 아니라는건 쌀밥(예전엔 고봉밥)보다
    덜 배부르고 면. 빵은 밥보다 영양이 덜하다고 생각해서일거예요.

  • 18. 참많죠
    '20.5.7 9:49 PM (59.12.xxx.119)

    사기 그릇 잘못 포갰다간 끼어서 안빠지는 경우도 있으니
    그런 얘기가 나온 것 같긴한데
    엄마, 할머니들 하시는 말씀 중엔 별게 다 있긴 해요.

    젓가락 길게 잡으면 멀리 시집 간다더라
    현관에 거울 있으면 오던 복도 달아난다더라
    다리 떨지마라 복 나간다
    여자애 입히던 바지 남자애 물려입히는 거 아니다
    새로 들어갈 집에 밥솥부터 들여라
    머리 북쪽으로 두고 자는 거 아니다......어우

  • 19. 어느 정도는
    '20.5.7 10:08 PM (125.132.xxx.178)

    어느 정도는 근거있는 것도 있죠.

    그릇을 겹치지않는 건 윗님 말씀대로 겹친 그릇이 끼어서 안빠질때 무리하게 힘주다 깨져서 다칠 수가 있으니까요... 밤에 손발톱 자르면 안된다는 거랑 맥락이 같다고 봐요...예전엔 지금처럼 조명이 밝지않았으니 밤에 자르다가 큰일치루지요...그땐 가위나 칼로 잘랐을테니까요.

    그런데 말도 안되는 것도 많으니 적당히 걸러서...

  • 20. ...
    '20.5.7 10:31 PM (220.75.xxx.108)

    밤에 휘파람 불면 뱀나온다 생각나네요.
    다리 떨면 복나간다도 있었고요.
    다 그렇고 그런 종류의 금기들같아요.

  • 21.
    '20.5.7 11:51 PM (221.149.xxx.183)

    실 길게 하고 바느질 하는거 보더니 멀리 시집갈 거라고 ㅜㅜ. 지척에 살아요 ㅋ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114832 독립합니다. 가전 가구 인테리어 조언 좀 17 ㅇㅇ 2020/09/06 2,511
1114831 혹시 누스킨 갈바닉 사용하시는분 계실까요? 10 누스킨 2020/09/06 2,350
1114830 다들 샌드위치 하나 먹음 배 부르신거죠? 13 2020/09/06 3,337
1114829 아들아이가 편도염으로 너무 아파하는데 15 &&.. 2020/09/06 2,348
1114828 남아는 어릴때부터 시크한가요? 11 허허 2020/09/06 2,053
1114827 태풍요 1 2020/09/06 819
1114826 오윤아 뉴트럴 김밥 맛있나요? 2 편의점에서 .. 2020/09/06 3,004
1114825 스타벅스가 집근처에 생기면 뭐가 좋아요? 14 ... 2020/09/06 4,645
1114824 개털때문에도 죽을수있나요~? 18 세상에 2020/09/06 4,185
1114823 지방살다 서울가려니 너무 힘드네요 21 .. 2020/09/06 5,596
1114822 외국 선주사 감독관이란 직업 잘 아시는 분... 4 ㅇㅇ 2020/09/06 1,639
1114821 [도움요청] 청바지 수선 윗실 장력 문제로 씨름 중... 1 재생 2020/09/06 840
1114820 진실된사람은 너무 흑과백이 분명해서 관계가 어려운듯 12 ㅇㅇ 2020/09/06 3,028
1114819 오믈렛하면 그 안에 밥이 들어간걸 말하나요? 7 ㅁㅁ 2020/09/06 1,429
1114818 삼성 액티브워시 세탁기 사용법 질문이요 2 웃음의 여왕.. 2020/09/06 4,656
1114817 전공의가 교수 폭행 2 에휴 2020/09/06 2,218
1114816 목 세로주름이 근육인줄 알았어요ㅠ 2 .. 2020/09/06 2,353
1114815 가정용 사다리 구입할까요? 5 2020/09/06 1,141
1114814 글 찾아요. 굽신 2020/09/06 543
1114813 백신이 지금까지 한국말인줄 알았답니다. 16 백신 2020/09/06 4,264
1114812 우리 모두 정신 차려야 해요. 62 .. 2020/09/06 6,294
1114811 스페인 창문블라인드 2 스페인 2020/09/06 1,545
1114810 추미애아들 수사하는 동부지검장에도 '친여 인사' 임명 10 ... 2020/09/06 923
1114809 열무김치에 배즙 넣음 맛있을까요? 6 2020/09/06 1,587
1114808 날씨가 서늘해지니 여행가고싶어져요 2 절로 여행생.. 2020/09/06 1,3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