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예체능관련 전공 확실히 전업이 많으실까요,

가니 조회수 : 3,568
작성일 : 2020-05-06 10:30:53

물론 지방대라 그런건지 거의 미대고 음대고 무용과고
결혼하니 80프로가 전업이거나 동네 옷가게 카페 차리는
친구들이 많아서요
아무래도 직장 생활이 어려운건지
직장다니는 친구들이 별로없어요
맞벌이 하고 싶은데 대기업 같은데 들어가기도 예체능은
어려운거 맞죠?
IP : 112.133.xxx.70
2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ㅡㅡㅡ
    '20.5.6 10:31 AM (70.106.xxx.240)

    거기서 잘했으면 최소한 그걸로 직업으로 연결됐겠죠
    제 아는 경우는 .. 집에 돈은 많고 여자애 공부는 못하고
    악기 하나 해서 보낸 경우에요 시집은 잘 갔죠.

  • 2. 공대나온
    '20.5.6 10:33 AM (223.62.xxx.234)

    사람이 예능학원 못하는거랑 마찬가지죠.
    분야가 다른 길을 갔으니 당연한 일입니다.

  • 3. ..
    '20.5.6 10:35 AM (116.39.xxx.74)

    미술, 음악, 무용으로 월급장이 할 일은 극히 소수고
    내가 학원 차리는거 아니면 수입을 창출하는 직업으로
    연결하기 어려운 전공이지요.

  • 4. 질문이
    '20.5.6 10:35 AM (223.62.xxx.176)

    이상해요.

    -맞벌이 하고 싶은데 대기업 같은데 들어가기도 예체능은 
    어려운거 맞죠?-
    대기업에서 예능,체육 전공자들을 채용하는 부서가 아예 없는데
    어떻게 들어가나요?^^

  • 5. ..
    '20.5.6 10:36 AM (125.178.xxx.196) - 삭제된댓글

    요즘은 어떤 분위기인지 모르겠네요.40대 50대들은 특출하지 않는한 다 전업이나 전공 못 살리고 살고 있을걸요

  • 6.
    '20.5.6 10:36 AM (203.234.xxx.113)

    예체능..많을수밖에없어요..
    사회에..나가면 안정된 일자리가 많지 않아요..
    강사같은게 많은데
    이런것도..
    해당 전공자 아닌 사람들도..배워서 강사하는 분들도 계시기때문에
    흔하게 발에 치어서..월급도..많지 않고
    애들이 줄어드는 추세라..개인레슨도..예전같지 않더군요

  • 7. ..
    '20.5.6 10:36 AM (123.111.xxx.65) - 삭제된댓글

    예체능은 본인 실력도 월등하고, 인맥도 있어야 직업으로 연결되잖아요.
    그냥 재능 있는 정도로는 백수죠.
    예체능 전공하면 회사에서 필요한 기술들도 따로 학원가서 배워야 하는데
    그 정도로 열의가 있는 사람도 많지 않고요.
    예술인이네 하는 선민의식도 백수의 길을 가는 데 큰 역할을 해요.

  • 8.
    '20.5.6 10:37 AM (112.133.xxx.70)

    죄송합니다.~~~.예체능 대기업 의류디자인쪽도
    한섬이나 제일모직 다니는 친구는 없어서요

  • 9. 거의
    '20.5.6 10:38 AM (182.226.xxx.242) - 삭제된댓글

    그렇겠죠?

    디자인 쪽은 그래도 취업이 좀 낫던데
    다른 쪽은 대기업에서 뽑을 이유가 없는 전공이잖아요.
    관련 부서가 있어야 채용을 하죠.

    근데 어차피 예체능 쪽은 회사 취업을 생각해서 가는 전공이 아니지 않나요?

  • 10. 지반
    '20.5.6 10:39 AM (223.62.xxx.165)

    지방대라면서요 지방대에서 대기업 가느건 다 드물잖아요

  • 11. ,,,
    '20.5.6 10:40 AM (220.87.xxx.173) - 삭제된댓글

    요즘은 모르겠고 저는 90년대 학번인데 제 주위 미대 출신들 IT기업 웹 관련 부서로 취업 제법 했었어요.

  • 12.
    '20.5.6 10:41 AM (180.224.xxx.210)

    안하는 거겠죠.

    예체능도 일종의 기술직아닌가요?
    그래서 하려고 들면 차라리 어중간한 문과보다 나은 거 아닌가 싶은데...
    굳이 일할 필요를 못느껴서 그런 경우도 많지 않을까 싶어요.

    어려운 집안 형편에 그렇게 본인이 하고 싶어서 힘들게 국악 쪽 전공한 사람 아는데요.
    졸업하고는 집안 일으켰어요.

  • 13. 그래도
    '20.5.6 10:41 AM (223.62.xxx.54)

    원글님이 예를든 미술쪽은
    디자인이라는 분야가 있어서 가능하긴 하겠네요.
    그래도 워낙 소수가 뽑히는 특정회사의 디자이너는
    전업 얘기와 연결하기에는 좀 특수상황이네요.

  • 14. ㅇㅇ
    '20.5.6 10:45 AM (221.153.xxx.251)

    지방대라서죠 홍대나 서울대 디자인과 나온 친구들 제일모직이나 제일기획 다니는 친구들 있어요

  • 15. 지방대면
    '20.5.6 10:46 AM (223.38.xxx.174)

    다른 전공도 대기업 가긴 어렵구요.남자도 그렇겠구요.
    여성도 대기업 아닌 괜찮은 회사정도의 맞벌이 유지도 힘들겠죠.

  • 16. 우리나라
    '20.5.6 10:49 AM (223.39.xxx.174)

    맞벌이 자체가 별로 없어요. 맞벌이 비율 높이는건 40대이후에서 60대 여성분이라던데 남이야 맞벌이 하던가 말던가 싶네요

  • 17. 친구 딸
    '20.5.6 10:50 AM (183.106.xxx.229)

    국민대 미대 디자인 계열 다니는데 걱정하더군요.
    생각보다 정규직 거의 없고 계약직이고 페이도 낮은 편이라고 하네요. 부모들이 부자여서 스타트업 차리는 경우가 많다고 하네요.

  • 18. ..
    '20.5.6 10:55 AM (125.178.xxx.196)

    순수예술은 전시회 열고 공부하고 강사하고 그러는게 젤 잘 나가는거겠죠

  • 19.
    '20.5.6 10:56 AM (211.36.xxx.91)

    작가로서 활동하는 분들 많고요
    아이들 보육이나 미술강사 등으로 활동하고요
    뭐 돈이 있으면 개인 사업도 하고요..
    지방대라서 못하기보단 개인능력이죠.. 특히 예술쪽요

  • 20. ....
    '20.5.6 10:57 AM (222.99.xxx.169)

    나이가 좀 들어보니 오히려 예체능 전공한 여자들이 레슨도 하고 학원도 차리고 프리로 수업하러 다니고 하느라 완전 전업은 드물던데요.
    전문직이나 공무원, 좋은 대기업 정도 아니면 이나이까지 직장 쭉 문제없이 다니는 여자들이 드물구요.
    전 문과쪽 전공하고 나니 그때는 여기저기 취업은 했던것 같은데 다 경단녀예요. 나쁘지않은 학교 다녔지만 다시 취직할데도 없구요. 이제와 취직해도 알바정도 수준이네요.
    오히려 예체능은 마음만 있으면 전공살려 다시 시작할수 있는것 같아서 크게 돈은 못번다해도 부럽던데요

  • 21. ..
    '20.5.6 10:59 AM (175.119.xxx.68) - 삭제된댓글

    저희때는 공부 못하는 애들이 주로 갔었어요 대구에 있는 예고

  • 22. ㅇㅇ
    '20.5.6 11:41 AM (125.177.xxx.19) - 삭제된댓글

    예체능이 문제가 아니고 지방대여서 그런거 아닐까요
    아무래도 취업 시장에서 불리한 건 사실이니까요

  • 23.
    '20.5.6 11:59 AM (118.41.xxx.94)

    지방대 인서울할거없이 예체능;;;

  • 24.
    '20.5.6 12:07 PM (218.48.xxx.98)

    예체능이 직업을 가질려고 전공하겠어요?
    결국은 시집 잘가는 수단일뿐이죠.
    제 주변에 예체능으로 괜찮은 직업잡고 제대로 돈버는 사람 하나도 없어요.
    기꺼해야 레슨정도지..그것도 남편 별로인사람 만남 결혼후 애낳고도 계속 레슨하러 나가구...

  • 25.
    '20.5.6 12:09 PM (218.48.xxx.98)

    저기 위에 국민대 미대 말씀하신분..
    제 사촌동생도 국민대 디자인계열인데 얘도 엄청 걱정해요.
    선배들중 젤루 취직 잘한게 한샘 디자인실이라고...얘는 지금 휴학까지 했네요

  • 26. 지금은모르겠고
    '20.5.6 12:32 PM (175.118.xxx.47) - 삭제된댓글

    옛날엔 잘사는집딸들 아님 예능 못했어요 체는 모르겠구요
    저희 작은엄마 두분다 지방대미대출신인데 집은잘살고
    작은아버지 두분다 사시출신 인데 집한채씩 들고 시집와서
    평생전업이네요

  • 27. ㅡㅡ
    '20.5.6 2:23 PM (14.0.xxx.107)

    일할 필요가 없어서 안하는 경우가 많은거 같아요
    다들 결혼 잘해서 친정시댁 돈쓰고 사는 경우가 대부분

  • 28. ..
    '20.5.6 4:37 PM (125.186.xxx.181)

    다 그런건 아니지만 감각이나 손재주있는 경우는 확실히 많아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097399 하트시그널.. 끝이 너무 불쾌하네요. 22 ,,,, 2020/07/22 5,691
1097398 이재명 기본주택...너무 좋은 아이디어인데요. 49 ... 2020/07/22 3,429
1097397 질문요~ IBK투자증권에 입금하려는데 상대계좌 목록에 없어서요 1 계좌 2020/07/22 637
1097396 제사음식 조언 부탁 드려요~ 15 여쭤요 2020/07/22 1,702
1097395 김조원 보면 씁쓸하네요. 6 2020/07/22 1,742
1097394 이사 일주일 전에 연락와서 들어오지 말라네요 10 .. 2020/07/22 3,569
1097393 주식 계좌 개설 어디가서 하면 될까요? 4 00 2020/07/22 1,794
1097392 시판 스테이크소스가 많은데 어찌 활용하면 좋을까요? 1 독수리오남매.. 2020/07/22 826
1097391 이동재가 (자기) 피의 사실 유출하지 말라 했어요????.jpg.. 9 왜그래아마추.. 2020/07/22 1,308
1097390 [여론조사] 청와대·국회 세종시 이전 "찬성".. 11 행정수도 이.. 2020/07/22 1,053
1097389 용인, 수원분들 이사관련 조언 좀 주세요~~~^^ 12 ㅡㅡ 2020/07/22 1,617
1097388 어떻게 민주주의는 무너지는가? ㅡ문재인정권과 비슷 24 점점 2020/07/22 1,447
1097387 mbc가 더 문제 15 .. 2020/07/22 1,621
1097386 맥줏집 하던 이인영 아들, 입찰 없이 서울시 용역 따내 31 좋겠다 2020/07/22 3,511
1097385 아내의 맛 오랜만에 보는데 함소원은 이사했나요? 1 ?? 2020/07/22 2,978
1097384 here / here out 차이 알려주세요. 3 ?? 2020/07/22 931
1097383 8/17 임시공휴일이라.. 4 ㅇㅇ 2020/07/22 1,382
1097382 아파서 조퇴하는 고1때문에 모임 못가는것 이해 못하는 친구 56 햇살이 2020/07/22 6,166
1097381 모기에 30방 정도 물렸어요.ㅜㅜ 17 .. 2020/07/22 3,384
1097380 아래.. 초등학교 다닐때 우산 안 가져온 엄마들이요... 22 엄마.. 2020/07/22 3,738
1097379 카톡 보이스피싱 6 놀랐어요. 2020/07/22 1,354
1097378 줄넘기 2일차 4 정말정말 2020/07/22 1,199
1097377 문재인. 공수처로도 모자라나. 얼마나 썩었길래.. 38 점점 2020/07/22 2,151
1097376 우면동, 내곡동 아파트 추천 부탁드려요. 집 찾기 2020/07/22 1,648
1097375 요즘 여성들이 공부를 더 잘하는 이유가 뭐에요? 18 ... 2020/07/22 3,9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