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수저통 관리 방법.....

^^ 조회수 : 3,066
작성일 : 2020-05-05 13:56:48

수저통에 설겆이한  숟가락, 젓가락을 넣을때

손잡이 부분이 아래로 향하게 해서 넣었는데

친구가 와서 보더니 

꺼낼때 입닿는 부분이  손으로 잡게되어서  비위생 적이라고 하는데요


저는  입닿는 아래쪽을 잡고 꺼내니  별 문제 없다라고 했는데


그리고 만약 거꾸로 넣으면  밑에 작은 구멍이 3개 있지만

물이 고이게 되어서 물때 때문에  더  싫다고 했는데


여려분들은  어떻게  관리 하시나요???


IP : 175.196.xxx.147
1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저도
    '20.5.5 2:02 PM (121.168.xxx.142)

    님처럼 해요.바닥에 입닿는 부분이 닿는 거 싫어요.

    그리고 다 마르면 빼서 눕히는 수저통에 옮겨요 누워계시라고ㅎㅎ

  • 2. 저도
    '20.5.5 2:12 PM (183.106.xxx.143)

    저도 원글님처럼 보관합니다만...입 닿는 부분이 아래로 가면 더 지저분 할거 같아요

  • 3. oo
    '20.5.5 2:31 PM (211.226.xxx.56)

    전 친구분처럼 보관하는데요~

    대신 소독차원에서 생각날때마다 뜨건물을 부어줍니다..

  • 4. ㅇㅇ
    '20.5.5 2:38 PM (112.169.xxx.37)

    손잡이 부분이 수저통 바닥에 닿게 넣고
    꺼낼 때는 수저 입 닿는 부분을 잡는게 아니고 허리부분을 잡아요

  • 5.
    '20.5.5 2:38 PM (121.131.xxx.68)

    원글처럼하고 꺼낼때 당연히 입닿는 부분 아래로 잡아서 꺼내죠
    수저가 입 닿는데만 닿지 그 길이가 다 입속에 들어가나요?
    입닿는 부분을 아래로 하다니 고인물에 물때라도 묻을까봐 역겹네요
    아무리 매일 닦아도 물때가 얼마나 빨리 생기는데

  • 6. ....
    '20.5.5 3:16 PM (219.255.xxx.153)

    물때 싫어서 거꾸로 넣어요
    근데 과도는 칼부분을 아래로 넣으니 찝찝해요

  • 7. 친구가
    '20.5.5 3:18 PM (112.164.xxx.246)

    원글님 살림코치도 아니고 웬 참견인가...싶네요 ㅎㅎ

    지금 친정언니가 저희 집에 와있어서 감정이입되네요.
    울 언니는 수저는 손잡이를 아래로 해놓고
    젓가락은 또 손잡는 부분이 위로 오게 넣다가
    상차림할때 한번 헹구더라구요.

    저는 그것보다는 집게요.

    저는 큰 수저통에 집게, 국자 같은 주방소품만 따로 넣는데요.
    저는 집게 한쪽발만 통에 걸쳐놓는데
    남편은 집게 머리쪽을 아래로 하고 다리 두개가 위로 나오게 꽂다시피 넣어놔요.
    그러니 집게 다리 하나 잡아 꺼내면 다른 소도구들이 같이 딸려 나와요. 몇 번 말해줘도 까먹어요.

    다른 주부들이 가끔 하는 말처럼
    직장생활 어찌 하는지 궁금할 정도예요.

  • 8. .......
    '20.5.5 3:24 PM (218.235.xxx.64) - 삭제된댓글

    저도 원글님처럼 해요
    잡을 때 중간 부분 잡고 꺼내구요
    그리고 부엌에서 일하다 보면 손을 얼마나 많이 씻게 되는데
    그 손이 얼마나 더럽다고.

  • 9. 행복
    '20.5.5 3:25 PM (218.235.xxx.64) - 삭제된댓글

    저도 원글님처럼 해요
    잡을 때 중간 부분 잡고 꺼내구요
    그리고 부엌에서 일하다 보면 손을 얼마나 많이 씻게 되는데
    그 손이 뭐 그리 더럽다고 그러는지.

  • 10. 수저통에서
    '20.5.5 4:29 PM (218.153.xxx.49)

    꺼내서 물로 씻어서 식탁에 놓아요

  • 11. 하~
    '20.5.5 7:43 PM (124.53.xxx.142)

    저도 항상 그게 찜찜했는데
    남들은 어떨까 궁금 했지만 유난하단 말 들을까봐 오프에선 입 꾹,
    최근까지 수저통을 찿다가 못찿고 결국 당분간은 안사기로 했거든요.
    10년째 바닥이 무겁고 키가크고 지름이 작은 스텐 냄비에 딱 식구 수만큼만 넣어서..
    그 위로 큰 냄비뚜껑 얹어 대충 먼지 안들어가게 해놓는데 남들 오면 시선이 따악 꽂혀요.
    설거지 할때마다 휘익 수세미 둘러 휑궈주고요. 덕분에 좀 어수선한데 감수해야죠.
    날마다 쓰는 티스픈이나 과일포크 등은 서랍에서 그때그때 쓰고 넣고 반복요.

  • 12. O1O
    '20.5.5 9:45 PM (222.96.xxx.237)

    저도 원글님 처럼
    수저꺼낼때 손씻고 꺼내죠.
    거꾸로 하는게 오히려 비위생적이죠.
    자주 안씼는한 거기가 물과 먼지가 고여 더 더러워요.

  • 13. ㅇㅇ
    '20.5.5 10:43 PM (125.186.xxx.207)

    제발 적당히 살자구요
    남의집에와서 왜 이러쿵저러쿵 훈수를 둬서 신경쓰이게하는건지. 수저를 이리놓든 저리 놓든 주인 맘이고.
    그런다고 죽는거아니고. 더럽지만않게 살면되는건데. 설마 수저를 거꾸로 놨다고 비위생적으로 관리하겠어요? 그친구도 오지랖이 태평양이네요.지나 잘하지.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113462 에잉 맛없는 초록사과 6 사과 2020/09/02 1,488
1113461 정부 "공공의대, 시험·학점·면접으로 선발" 41 ... 2020/09/02 2,550
1113460 코로나 블루가 한계치 인듯 6 ㅇㅇ 2020/09/02 3,147
1113459 남편이 너무너무 싫고 혐오스러워서 어떻게 살죠? 18 ㅇㅇ 2020/09/02 7,992
1113458 천안 목사의 대자보...이런 목사도 있습니다. 13 ㅇㅇ 2020/09/02 2,449
1113457 전세 없는 이유 41 계산 2020/09/02 4,287
1113456 커피숍 힘들다는데 더 많은 커피숍 짓겠다? 7 노동 2020/09/02 2,004
1113455 악마를 보았따... 17 ... 2020/09/02 3,190
1113454 “민주 핵심지지층30%-미통 핵심지지층14%, 역전 개연성 낮아.. 10 ... 2020/09/02 1,380
1113453 건조기 한번 사용에도 수축이 많이 일어나나요, 5 건조기 2020/09/02 1,610
1113452 부동산 이런 경우 해결 방법이 있을까요? 5 ... 2020/09/02 1,047
1113451 코로나 바이러스 말입니다 9 코로나 2020/09/02 1,871
1113450 태풍이 지나가는 중인가봐요 4 마이삭 2020/09/02 2,602
1113449 쟤들이 뭔말을 하나 미리 맞춰봅시다 7 오늘은안지박.. 2020/09/02 546
1113448 불교방송 BTN 과 BBS 차이가 뭔가요? 2 궁금 2020/09/02 4,907
1113447 코로나 실시간 확진자수 현황보니 10 aa 2020/09/02 2,419
1113446 레이온원피스 세탁질문요 3 궁금이 2020/09/02 1,484
1113445 홍남기 "부동산 대책 한 달만에 시장 안정" 9 2020/09/02 1,201
1113444 미친태극기부대 13 .... 2020/09/02 1,192
1113443 쟤네들 문대통령 엄청 좋아하나봐요? 22 근데요~ 2020/09/02 1,773
1113442 오늘 코로나 비공식집계 현재 165 명 6 ㅇㅇ 2020/09/02 1,611
1113441 자한당과 적폐들은 이재명이 상대하기 편할듯해요 5 자한당 2020/09/02 612
1113440 아무리 발광 해도 소용 없는게 22 문통님은 2020/09/02 2,250
1113439 근데 태풍도 내일 오후면 끝인가요?? 3 ㅇㅇ 2020/09/02 2,887
1113438 시래기 삶아 보려고 하는데 어떻게 해야 되나요 4 시래기 2020/09/02 1,0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