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한 구멍에 세개의 전기구 꼽는 것이요

전기 잘 아시는 분 조회수 : 2,326
작성일 : 2020-05-03 22:05:12

벽에 전기 꼽는 구멍이 두개인데

에어콘을 어제 새로 설치했어요.

에어콘에 전깃줄이 두개인데

기사님 말씀이

굵은 전깃줄 하나는 단독으로 꼽아야 한다, 전기를 많이 쓴다..고 하시네요.


그래서

두개의 구멍중 한곳에 에어콘의 굵은 전깃줄을 연결하고나니

한개의 구멍에 멀티탭을 연결해서

TV, 에어콘의 또다른 전기코드, 청정기..이렇게 세개의 가전을 연결했어요

살짝 겁이 나는데

괜찮을까요?

에어콘 틀면서 TV보고, 청정기 돌리면요..

분명 여름에는 세개의 가전을 다 돌릴텐데

과부하 걸리지 않을지 걱정되어서요

두개의 구멍에 네개의 가전은 크게 걱정 안했는데

한개의 구멍에 세개의 가전을 연결하려니

걱정이 되어서요.


* 그나저나 저 벽에 전기꼽는 구멍을 뭐라고 부르나요?

쓰다보니 그것의 명칭을 제가 아예 모르고 있구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 ㅠㅠ


IP : 1.245.xxx.224
1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콘센트요.
    '20.5.3 10:08 PM (121.165.xxx.112)

    그런데 에어컨 설치하신 벽면에
    콘센트가 따로 없나요?
    보통 에어컨용으로 따로 있는데요.

  • 2. 그것은
    '20.5.3 10:08 PM (125.187.xxx.37)

    콘센트입니다.

  • 3. ..
    '20.5.3 10:16 PM (125.177.xxx.43)

    별도의 컨센트 써요
    전압 약한 집은 에어컨이랑 다른 전열기구 쓰면 두꺼비집 내려가요

  • 4. 단독으로는
    '20.5.3 10:17 PM (175.117.xxx.71)

    멀티탭을 이용해서 여러구를 꽂으라는게 아니고 콘센트 하나에 에어컨만 사용하라는 거예요.
    에어컨 전용 콘센트 보통 에어컨 자리 근처에 있는데 없다면
    그 콘센트는 에어컨만 사용하고 다른 가전제품은 사용하지 말라는 말입니다.

  • 5. T
    '20.5.3 10:23 PM (121.130.xxx.192) - 삭제된댓글

    흠.. 전기에너지는 전력이라고 하는 개념을 쓰는데 전류와 전압을 곱한 값입니다.
    가정용 전압은 우리나라는 220V로 고정되어 있으니 에어컨이 전기를 많이 먹는다는 개념은 전류가 많이 흐른다는 의미 입니다.
    그 콘센트에 또 다른 전기기구를 연결하면 병렬연결이 되면서 전류를 나눠 쓰는 것이 아닌 또 다른 전류가 흐르게 되는데 그러면 그 콘센트로는 정말 많은 전류가 흐르게 되겠죠.
    화재의 우려가 높습니다.
    차리리 다른 콘센트에서 길게 멀티탭을 연결 하시는게..

  • 6.
    '20.5.3 10:24 PM (1.245.xxx.224)

    아 그렇군요. 역시 여기다가 물어보길 잘 했네요.
    원래 에어컨 놓는 위치에도 콘센트가 있는데
    제가 원래자리가 아닌 맞은 편에 에어컨을 설치하는 바람에 저렇게 가전들이 몰리게 되었는데
    줄을 길게 빼더라도
    에어컨 원래 자리의 콘센트에서 전기를 끌어와서 분산시켜 써야겠네요.
    다들 감사드립니다.

  • 7. 저도
    '20.5.3 10:24 PM (223.62.xxx.21)

    얼마전 에어컨 살때 그 얘기들었어요.
    벽 콘센트에 단독으로 꽂아야하는 건 실외기용 플러그입니다.
    실내기(에어컨)용 플러그는 멀티탭 사용해도 별 문제 없구요.
    만약 실외기용과 실내기용을 한 곳에 꽂으려면 에어컨 전용 멀티탭을 사용하라더군요.

  • 8. 설명
    '20.5.3 10:29 PM (182.220.xxx.86) - 삭제된댓글

    벽에 컨센트 구멍이 한개이든 두개이든 전선은 한개예요.
    보통 에어컨. 인덕션 같이 전기 많이 쓰는 가전은 전선을 단독으로 쓰라고 합니다. 만약 여러개 연결하면 전기 과부하 되서 위험하거든요.
    어떤 에어컨이냐에 따라 달라요. 벽걸이 에어컨 평수 작은건 전기 적게 먹어서 다른거랑 전기 나눠써도 되구요. 스탠드형은 단독 쓰시는게 안전하구요.
    다른 구멍에 꽂은 멀티탭을 다른데로 옮기시든가. 에어컨 사용할땐 그걸 끄세요. 멀티탭 중에 온오프 스위치 달린거 사서 잘 조절해서 쓰세요.

  • 9. ...
    '20.5.4 1:49 AM (114.203.xxx.114)

    원래 에어컨은 전력소모가 커서 벽에 꽂는게 원칙인데
    굳이 멀티탭을 사용하려면 고용량 멀티탭을 써야 한다네요. 말씀하신 굵은거요.
    가능하면 에어콘만 단독으로 쓰세요.

  • 10. 화재위험있어요.
    '20.5.4 8:02 AM (183.98.xxx.7) - 삭제된댓글

    에어컨은 벽에있는 콘센트에 딕접 꽂아 쓰는 게 젤 좋구요 만약 멀티탭써야한다면 고용량 멀티탭이라고 에어컨이나 오븐.인덕션같은 고용량 전용 멀티탭 나오니 그거 사서 써야해요. 저 예전에 일반 멀티탭에 에어컨 꽂아썼다가 퓨즈 나갔어요. 퍽하고 터지더라구요. 화재위험도 있으니 무조건 벽면 콘센트에 꽂거나 고용량전용멀티탭 사용하세요.

  • 11. 위험해요.
    '20.5.4 8:03 AM (183.98.xxx.7) - 삭제된댓글

    에어컨은 벽에있는 콘센트에 직접 꽂아 쓰는 게 젤 좋구요 만약 멀티탭써야한다면 고용량 멀티탭이라고 에어컨이나 오븐.인덕션같은 고용량 전용 멀티탭 나오니 그거 사서 써야해요. 저 예전에 일반 멀티탭에 에어컨 꽂아썼다가 퓨즈 나갔어요. 퍽하고 터지더라구요. 화재위험도 있으니 무조건 벽면 콘센트에 꽂거나 고용량전용멀티탭 사용하세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105220 소리나는 계산기 이거 보신적있어요??? 1 ........ 2020/08/15 1,520
1105219 "증거 없다"던 日 비밀 요새..2,600명 .. 1 뉴스 2020/08/15 1,924
1105218 2020서울 퀴어축제를 해야하나요? 12 점점 2020/08/15 2,370
1105217 EBS공감에 김완선이 나와요. 근데, 6 궁금 2020/08/15 5,231
1105216 전세계약서를 6개월로 쓰자는데요.. 6 ... 2020/08/15 2,807
1105215 박주민의원 번개모임 온라인으로 변경했대요 19 잘했어요 2020/08/15 1,780
1105214 비밀의숲 진짜 재미 있네요 14 드라마 2020/08/15 5,120
1105213 개학은 물건너 갔죠? 3 ㅠㅠ 2020/08/15 3,672
1105212 지방 대학병원 6 중환자실비용.. 2020/08/15 1,788
1105211 사랑의 콜센터 김범룡 4 ... 2020/08/15 3,059
1105210 여동생이라 생각하고 집 좀 골라주세요 12 .. 2020/08/15 2,592
1105209 DARPA 하이드로겔은 진짜로 존재한다. 1 실존음모 2020/08/15 812
1105208 문체부 차관 최윤희는 교체됐나요? 14 .. 2020/08/15 3,602
1105207 갑자기 계기도 없이 코로나 폭발 106 ㅇㅇ 2020/08/14 20,202
1105206 그럼 지금까지 마스크써서 걸린사람은 없는거죠? 10 2020/08/14 4,895
1105205 울고 싶어요 13 땜빵 2020/08/14 4,024
1105204 서종면 확진자 31명 28 양평군민 2020/08/14 7,486
1105203 음식먹으면 음식냄새가 입안에 오래 1 웃어봐용행복.. 2020/08/14 1,747
1105202 대왕곱등이 7 곱등이안연가.. 2020/08/14 1,524
1105201 박주민 급번개 공지 트윗. 24 2020/08/14 2,614
1105200 오늘 퇴근하는데 강남역... 오늘 2020/08/14 1,975
1105199 교회 안가면 죽나요? 18 화나요 2020/08/14 3,185
1105198 리코타치즈와 브라타치즈는 어떻게 다른건가요? 10 치알못 2020/08/14 9,305
1105197 의대, 한의대 다 졸업하면 대부분 한의사로 일을 합니다 9 신기한 건 2020/08/14 4,206
1105196 수능볼때 제2외국어 보는건가요? 9 2020/08/14 1,4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