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명문대 나오신 분들은 초등때부터

ㅇㅇ 조회수 : 4,141
작성일 : 2020-04-28 16:15:06
공부 열심히 하셨나요?
아이들이 초등 저학년인데 마음 같아서는 바이올린, 피아노, 수영, 미술, 바깥놀이 같은것만 집중적으로 시키고 싶어요. 영어, 수학같은것은 딱 교과서 수준만 알게 하구요. 중학교부터 공부 시키면 너무 늦은걸까요?
IP : 49.164.xxx.174
2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20.4.28 4:17 PM (125.132.xxx.156)

    말씀하신 방법이 이상적일것 같아요

  • 2. 이건
    '20.4.28 4:18 PM (223.39.xxx.64)

    옛날 사람들과 비교하시면 안되죠

  • 3. ..
    '20.4.28 4:18 PM (175.213.xxx.27)

    시대가 바뀌어서 중학교부터 본격적으로하면 늦은감이 있죠. 목표가 명문대라면요. 요즘 상위권이 꽤 두툼해서 못 비집고 들어가요. 애가 수재급 영재급아니면 초저면 아이수준 알지 않나요.? 그때는 사교육 안시켜도 천재급으로 미친듯이 공부하는 애들 나와요.

  • 4. ㅇㅇ
    '20.4.28 4:19 PM (175.114.xxx.36) - 삭제된댓글

    저는 초딩때 기억은 놀았던것 밖에 없어요.
    중고등 선행없이 인서울 의대, 인서울 약대(차석 장학금 확보), sky 전자공학과 중 전자공을 갔어요. 한참 전자공이 높던 학번이라 그때는 그랬네요.
    지금은 또 다른거 같아서 우리와 비교하면 안될듯 해요.
    이거야말로 라떼는 말이야...인듯

  • 5.
    '20.4.28 4:19 PM (222.119.xxx.18)

    늦지요.
    보통 9세 이후부터는 언어 수학등에서 사고가 발달하는 때이니 기능적인 학습도 놀이하듯 익히게 하는게 중요합니다.
    단, 아이 기질에 맞게 잘 유도해야죠.

  • 6. ..
    '20.4.28 4:19 PM (1.225.xxx.185)

    옛날과는 요즘 비교가 안되어요
    영어는 어릴때부터 계속 하고
    수학은 초4 늦어도 초5부터는 제법 열심히

  • 7. 목표가
    '20.4.28 4:22 PM (119.71.xxx.162) - 삭제된댓글

    1.영재고 과학고 그런곳이면 일찍 시작해요. 필요한 스펙들이 있어서
    2.나머지는 초등땐 영어정도만 마니 시켜줘도 공부머리 있는애들은 뚫고 나가더라구요. 정시로 의대까지도 가요. 반대의 경우엔 늦게 주저앉아요. 그래도 공부해서 남주는거 아니니 너무 고집부리진 마세요.

  • 8. 저도
    '20.4.28 4:26 PM (211.245.xxx.178)

    애 공부 안시킨 편인데요. .
    그래도 초5부터는 시켰어요.
    수학, 영어 그때부터 시작했어요.
    우리애때는 영어도 그때 시작하면 좀 늦은편이었는데 지금은 더하지않을까요? 지금 우리애 이십대중반.

  • 9. ㅁㅁ
    '20.4.28 4:30 PM (110.70.xxx.206)

    아까 초5 수학 심화글도 봤는데 명문대 가는 아이들은 초등 고학년 수학 심화 문제집들 거의 틀리는것 없이 술술 잘 푸는 걸까요?

  • 10. 저는
    '20.4.28 4:30 PM (14.52.xxx.225)

    고2부터 바짝 공부해서 스카이 갔는데 학력고사 시절이라 가능했구요,
    제 아들의 경우 초등 땐 완전히 놀고 중등 땐 적당히 고등학교부터 열심히 시키려고 했는데
    애가 워낙 노는 걸 좋아해서 잘 안 되서 재수해서 의대 갔어요.

  • 11. ......
    '20.4.28 4:58 PM (223.38.xxx.223) - 삭제된댓글

    다르더만요. 확실히 어려서부터 두각을 드러냅니다. 이해속도가 달라요.

  • 12.
    '20.4.28 5:02 PM (61.84.xxx.150)

    95학번인데요 확실히 우리때와는 달라요
    초3부터는 수학에서 애들이 걸러지더라구요

  • 13. ....
    '20.4.28 5:02 PM (223.38.xxx.16)

    저는 수능세대인데 초고학년부터 학원다니기시작했고 중학교부터 공부잘했던것같아요.
    초등학교때까지는 예체능하고 놀았던것같아요
    근데 요즘 세대는 좀 다르지않나요?
    그 수상한 수시제도 때문에 초등학교때부터 커리어관리하던데요

  • 14. ㅇㅇㅇ
    '20.4.28 5:03 PM (121.170.xxx.205)

    sky 두 명 다녀요
    저랑 남편은 지방대 출신
    애들이 똥 쌀 때부터 공부시켰어요
    앉아서 책읽고 그러는 공부가 아니라 같이 종이접기하며 놀았죠
    같이 퍼즐 맞추고 레고. 장기. 바둑. 큐브.
    지하철타면 색종이 접기하며 보내고
    아주 어렸을 때부터 영어 음성도 노출시켰어요
    영어 공부는 저절로 됐고
    부모랑 같이 놀다보니까 집중력도 뛰어나서
    앉은자리에서 수학 문제집 한 권씩 풀었어요
    초등때요
    위의 예시문 보면 다 알겠다고 했어요
    중학교때 이후로 스스로 알아서 다 했어요
    저는 교육이란 똥 쌀때부터 10살까지 시키는 것이고
    그 이후는 옆에서 지켜보는 것이라고 생각해요
    결론은 어렸을 때 안시키면 커서 공부 안한다고 생각해요

  • 15. ...
    '20.4.28 5:24 PM (183.98.xxx.95)

    받아들이는게 달랐어요
    이과아이는 영재 선발됐으니까요
    늘 100점은 아니고 실수도 했지만 어려운 문제 곧잘 풀었고
    모르는건 답지보고 혼자 해결
    언어능력이 떨어진다고 생각해서 하기싫어하는 영어학원을 꾸준히 보냈어요
    수학으로 달리면 국영 할 여력이 안된다고 봤어요
    다 잘하는 아이도 있겠지만
    강남에서 고등때는 국영 학원 안 다녔어요
    그대신 수학했고 무난히 대학 잘 갔어요
    좋아했어요 수학 과학을

  • 16. 랜덤
    '20.4.28 5:25 PM (222.102.xxx.237)

    아들 초 6
    공부관련 학원 안보내고
    제가 집에서 수학만 한단원 정도 선행시키는 정도
    영어는 5학년부터 반년정도 봐줬더니 지금은
    혼자 인강 듣고 공부해요..물론 시켜야 하긴 하지만 ㅠㅠ
    그래도 반에서 학원 제일 많이 다니는 애가
    우리애보고 너 진짜 공부 잘한다 했답니다
    5학년 학년끝날때 받은 성취도도 특급칭찬 받았더라구요

  • 17. 제 지인
    '20.4.28 5:30 PM (222.102.xxx.237)

    부모 서울대 나왔는데
    큰딸이 지금 중3인데 공부 한번도
    봐준적 없고,엄마가 좀 자유로운 영혼의 소유자라..
    애 중2때 1년간 남편 해외연수로 스페인
    다녀와 중3때 복귀했는데 학원 하나 안다니면서
    경기도 학구열 높은곳 중학교에서 대번 1등 하더랍니다

  • 18. 아이마다
    '20.4.28 6:24 PM (125.177.xxx.106)

    다르나..음악 미술 체육도 적당히 하는게 좋은 거 같더라구요.
    큰 애는 공부 위주에 음악 체육을, 작은 아이는 음악 체육 위주에 공부를 했더니
    역시나 큰 애가 공부를 더 잘해요. 작은 애도 잘하긴 하는데..(둘 다 머리 좋아요)
    공부 체계는 어릴 적부터 더 꾸준히 쌓는게 나은 거같아요.

  • 19. 저희는
    '20.4.28 7:41 PM (211.208.xxx.47)

    저랑 남동생 둘 다 s대 나왔는데
    저는 초등학교부터 알아서 문제집 푸는 모범생이었고
    남동생은 고등학교 들어가면서 공부 불타오른 케이스. 심지어 초1 때 받아쓰기 0점 받고 맨날 놀더군요.

  • 20. 케바케
    '20.4.28 7:55 PM (1.222.xxx.13)

    공부재능 타고난 애들은 초등내내 놀기만 해도 중고등에 확 치고 올라가고 평범한 지능이면 어렸을때부터 공부습관 키워줘야 합니다. 공부재능은 주로 수학 잘하는 아이들이 거의 타고 나는거 같아요. 언어는 성실한 아이들이 잘해요.

  • 21. 케바케
    '20.4.28 7:58 PM (1.222.xxx.13)

    내 아이가 하나를 알려주면 열을 아는 뛰어난 이해력을 가지지 않았다면 성실한 공부습관 키워주세요. 평범한 지능의 아이면 초등때 놀다가 중고등때 치고 올라가는거 힘들어요.

  • 22. magicshop
    '20.4.28 8:55 PM (114.108.xxx.128) - 삭제된댓글

    저는 스카이 중 한곳 영어영문학과, 국제대학원나왔는데요.
    영어자체를 초등학교 6학년때 처음 배웠고 영어학원을 처음 갔고요^^;; 좋아하긴 했어요. 서울 아닌 수도권 여중여고나왔고요. 공부는 고1때부터 잘하긴 했어요. 중학교때는 반에서 5등정도였구요. 고등학교 들어가면서 공부에 흥미가 생겼고 문이과 나뉘면서 잘하게된 거같아요.
    근데 이것도 옛날얘기고 지금은 미리미리 다 시켜야한다고 하더라구요.

  • 23. 작년에
    '20.4.28 11:44 PM (106.101.xxx.138) - 삭제된댓글

    스카이 간 아이있어요.
    딱 원글님 말씀처럼 컸는데요
    공부할 그릇은 되는아이인데 공부하는게 너무나 습관이 안돼있어서 고등때 공부시키기(?)어려웠어요.
    중등때부터 공부하기 시작하더니 급 성적 쭉 올랐으나
    워낙 공부를 안하고 컸던 아이라 대한민국 고등학생이 평균적으로 해야하는 공부양에 대해 전혀 동의를 못하더라구요 ㅜㅜ
    힘들었어요 대학보내기.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111632 일기 1 또다시 2020/08/29 593
1111631 진료거부사태의 가장 큰 원인은 수도권 집중 17 이런 2020/08/29 2,339
1111630 중증 환자가 쏟아지면 8 만약 2020/08/29 2,150
1111629 댓글감사합니다 내용은 펑할께요 30 궁금하다 2020/08/29 3,966
1111628 코로나는 온도에 전혀 상관없나요? 5 소망 2020/08/29 1,968
1111627 진짜 동의대, 경상대 출신들이 의전졸업했어요? 16 향단이 2020/08/29 4,747
1111626 척추압박골절 3 사고 2020/08/29 1,214
1111625 법정에서 나온 "최성해 윤석열과 밥 먹었다" 23 코코란 2020/08/29 2,820
1111624 어몽어스라는 게임 아세요? 1 ... 2020/08/29 1,347
1111623 미통당, 개독, 일본의 궁극적인 목표는 8 아하 2020/08/29 1,215
1111622 시대가 어느땐데 공무원만 2 딱 좋아요 2020/08/29 2,325
1111621 대구 코로나 드디어 터지기 시작인가 14 ... 2020/08/29 5,248
1111620 요즘 실내 에어컨 온도 몇도에 맞춰놓으세요? 17 ㅇㅇ 2020/08/29 4,746
1111619 코로나균이 냉장고에서는 몇시간 살까요? 5 걱정 2020/08/29 3,521
1111618 무릎뒷쪽으로 작은 멍울이 너무 많아요 10 셀룰라이트?.. 2020/08/29 2,907
1111617 병원갔다가ㅜ 6 레인보우 2020/08/29 3,119
1111616 현재 우리나라 /판사/ 검사/ 의사/ 목사/의 공통적 특징 13 ㅇㅇ 2020/08/29 1,505
1111615 끓는물 부었더니 찝찝함이 훅 가셔요~~ 10 개운 2020/08/29 7,339
1111614 유명목사님(이찬수 유기성 목사님..)은 왜 포괄적 차별금지법을 .. 22 마미 2020/08/29 3,384
1111613 5일동안 회사생활 하고 토일은 하루종일 퍼짐 5 힘들어 2020/08/29 3,201
1111612 코로나 감염자 접촉관계로 검사받는 범위? 4 궁금 2020/08/29 1,559
1111611 아~ 윤과장 나오니까 마음아프네요 12 비밀의숲 2020/08/29 4,701
1111610 이참에 의사들 바꿔야할 것들 말해 볼까요? 44 .. 2020/08/29 2,590
1111609 Ebs2보세요 지금 5 ........ 2020/08/29 3,926
1111608 개독과 수꼴들이 대한민국을 바이러스로 공격 3 fourst.. 2020/08/29 8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