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아무래도 올해 물수능될 것 같아요.

심난한고3맘 조회수 : 3,469
작성일 : 2020-04-21 14:21:19
교육과정 바뀐 첫 해, 사회적 사건사고 있을때 늘 물수능이었네요.
거기다 재수반수생 대거 유입.
서울대 카이스트도 일학기 통 싸강되면서 의대 문두드리는 최상위권 재수생도 대폭 늘어난다는데
그와중에 물수능까지 겹치면 현역들은 이 난국에 어떤 전략을 짜야할까요?
물수능의 최대 문제가 변별력 상실로 실력보단 실수싸움이 된다... 이거 맞죠?
IP : 119.149.xxx.18
2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고3맘
    '20.4.21 2:22 PM (124.50.xxx.238)

    제 생각에도 이번에 물수능같아요. ㅜㅜ 다 마찬가지겠지만 쉬운길이 없네요..

  • 2. ...
    '20.4.21 2:24 PM (211.211.xxx.29)

    물수능이죠. 그러니 극 상위권이 손해볼거 같아요

  • 3. 어차피
    '20.4.21 2:26 PM (203.142.xxx.241) - 삭제된댓글

    어차피 모든 학생이 같은 조건에 투입되기때문에(재수생들도 학원 못갔으니 마찬가지예요)
    그 해 그 해 사정은 같다고 봅니다

  • 4. ㅎㅎ
    '20.4.21 2:26 PM (222.112.xxx.150) - 삭제된댓글

    가을겨울에 코로나 더 세게 퍼진다는 전망도 있는 마당에 수능을 볼 수나 있을지 모르겠어요.
    미리 걱정하지 마시고 상황에 따라 가는 수밖에 없죠.

  • 5. 저도
    '20.4.21 2:28 PM (223.62.xxx.149)

    수능 볼수나 있을지 그게 더 걱정이긴 해요.. 최선을 다해보는거지만 수능 못보게 되고 밀려버리면 애들 정말 어쩌나요 ㅠ

  • 6. ㅇㅇ
    '20.4.21 2:29 PM (175.207.xxx.116)

    재수생들 학원 가요..
    기숙학원도 운영되고 있구요

  • 7. 재수생 차이
    '20.4.21 2:31 PM (119.149.xxx.18)

    재수생은 한번 배우기라도 했고, 교과서가 바뀌어도 내용이 축소 삭제되는 방식이라 타격이 적은데 현역은 학교에서 안 배우고(온라인수업은 ebs로 대체) 이것만 듣고 수능봐야하는거죠.
    그러니 배려한답시고 쉽게 내버리면 그것대로 또 피해... 아이구 참

  • 8. 못보게 되면
    '20.4.21 2:32 PM (119.149.xxx.18)

    진짜 그건 또 어쩌나요?
    어떻게 되겠지하는 맘이었는데 모고까지 취소되고보니 갑자기 밤에 잠이 안 오네요. 걱정때매

  • 9. ㅇㅇ
    '20.4.21 2:33 PM (220.87.xxx.173) - 삭제된댓글

    진짜 올해 고3 엄마들 걱정 많이 되시겠어요.ㅠㅠ

  • 10. .....
    '20.4.21 2:41 PM (1.227.xxx.251)

    연기된 3모도 자율이라는거 보니 올해 고3 안되겠구나 싶었어요
    모의 여러번 봐야 수능준비가 될텐데...
    그렇게 정시 늘리자해서 올핸 정시인원도 늘었잖아요
    고3은 내신으로 수시 올인해야할거에요

  • 11.
    '20.4.21 2:55 PM (175.223.xxx.83) - 삭제된댓글

    진짜 수능 못 보게 되는 상황이 생기면
    대학은 신입생 없이는 유지가 안 되기 때문에 수시 추가모집이라도 하게 될 겁니다.
    막학기 내신 시험 볼 수 있게 되면 무조건 최선 다하게 하세요.

  • 12. ...
    '20.4.21 3:02 PM (180.229.xxx.17)

    재수생이 학원을 못가긴요 기숙재수학원 코로나 초기에 아예 학원문닫고 선생 학생 밖으로 아예 안나가게 하면서 공부하고 있어요 하는 애들은 해요 안하는애들은 핑계대고 안하는거구요

  • 13. 이럴 때
    '20.4.21 3:06 PM (175.198.xxx.247)

    이렇게 재수생 반수생 늘때 물수능 만들면 진짜 난리날텐데요. 차라리 불수능이어야 현역이 덜 손해볼거에요.
    물수능이면 재수생일 경우 경험치까지 더해져서 실수확률이 낮지만, 현역 아이들은 긴장하면 물수능에서도 실수하고..
    불수능으로 다같이 어려운게 변별력면에서도 차라리 나아요. 물수능이면 진짜 정시판 혼돈의 카오스 될겁니다.

  • 14. 갑갑
    '20.4.21 3:09 PM (58.148.xxx.79)

    진짜 갑갑해요 ㅠㅠ

    고3이 학교도 안가고 , ㅠㅠ

  • 15. 반수생
    '20.4.21 3:43 PM (211.46.xxx.173)

    반수 결심했던 애들은 물론... 입학이 마음에 차지는 않아도 그냥 다니려고 했던 정시 입학생들도 나도 한 번 하면서 달려들 수 있는 상황이에요. 이번 현역으로 정시 노리는 학생들이 조금 불리해지는 상황이 될 듯.

  • 16. 올해
    '20.4.21 3:43 PM (223.62.xxx.149)

    수학은 작년처럼 어려울것 같아요 최상위 상위 가려내려면 그 방법밖에 없지 않나요

  • 17.
    '20.4.21 3:44 PM (223.62.xxx.149)

    그래도 고3 애들도 지금 수시는 잠깐 쉬고 정시에 매진하고 있으니 반드시 재수생에게만 유리한건 아니겠죠 올한해 정시 피튀기겠어요

  • 18. 물수능
    '20.4.21 4:42 PM (122.32.xxx.66) - 삭제된댓글

    이 되면 강심장이어야합니다.
    긴장하는 아이들이 많이 피봐요. 경험자...
    물수능이 되면 동점자 속출하니 대학마다 동점자 처리방안 잘 보시고요. 사탐과탐 선택과목이 대학을 가를 수 있어요.
    물수능이라고 해도 거저 풀 수 있는 시험이 되지는 않을거라고 봐요.

  • 19. 수능최저
    '20.4.21 4:46 PM (119.149.xxx.18)

    수시생도 최저 맞추기 어려워지겠죠?
    하나 틀리면 2등급 될지도 모르니
    너무 어려운 n제니 수학 고난도 문제로 머리싸맬 필요도 없는거죠? 기출 충실히 보면서 기본기 중심으로 공부하라 해야될까요?

  • 20. 경험
    '20.4.21 6:55 PM (122.32.xxx.66) - 삭제된댓글

    경험해 보니 물수능 불수능 생각하지 말고 내가 아는것 다 맞는데 초점을 두는게 좋더라고요.
    울 집은 절대적으로 잘 하는 과목에서 긴장으로 틀려버렸어요.
    이런 것만 없어도 좀 더 수월해질거에요.
    개인적 생각으로 고난도 아랫단계 눈감고 풀어도 잘 풀 정도가 되면 윗단계만 매진하는데 아랫단계 가끔 틀리는 경우 고난도에만 매달리는건 위험해 보여요. 실수가 여기서 나올 수 있어서요. 한쪽만 하지 마시고 쉬운것 어려운것 잘 배분해서 수능 준비하시고 준비한 것만큼 좋은 결과 얻으시길 바랍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067035 핀란드 대통령 '한국, 코로나 전략 공유로 국제사회서 목소리 커.. 3 ㅇㅇㅇ 2020/04/22 2,484
1067034 생활비 아끼는 법 공유해봐요 46 .. 2020/04/22 16,916
1067033 한겨울이야 한겨울ㅜㅠ 4 너무 춥네요.. 2020/04/22 2,580
1067032 전원일기 노마엄마 8 ㅇㅇ 2020/04/22 11,371
1067031 돈 벌기 쉽네요. 3일만에 20억.... 1 ㅇㅇ 2020/04/22 5,998
1067030 정성호·전해철, 민주당 원내대표 출사표 39 ㅇㅇ 2020/04/22 2,279
1067029 핸펀이라 오타가.. 2 솔직히 2020/04/22 414
1067028 상주하는 기자님들! '공교육의 민낯 확인' 기획기사 부탁드려요 12 기사거리제공.. 2020/04/22 1,679
1067027 두릅 사왔는데 절반은 가시 너무 많고 갈색이에요 1 ㅇㅇ 2020/04/22 2,052
1067026 文 "세금 써서라도 기간산업 지킨다..3차추경·한국판뉴.. 8 김성휘기자 2020/04/22 1,381
1067025 이제 n번방.. 4 anne 2020/04/22 1,397
1067024 EM 활성액 섞은 주방세제가 눈에 들어갔는데요 2 위험 2020/04/22 1,851
1067023 sbs는 왜 신입사원을 그렇게 뽑나요? 7 시청자 2020/04/22 2,840
1067022 30~40대 이상이 일반 원룸에서 사는 경우 흔한가요 18 ㅇㅇ 2020/04/22 11,067
1067021 "대통령의 7시간 조사, 박근혜 청와대 조직적 방해 정.. 5 ㄱㄴㄷ 2020/04/22 1,778
1067020 편도결석 수술은 어떻게 하는건가요? 7 2020/04/22 3,261
1067019 백옥 생크림 화장품이 다단계였나요? 1 .. 2020/04/22 1,038
1067018 사유리...는 무슨 비자일까요? 7 궁금 2020/04/22 6,674
1067017 문프 오더 떨어짐 일단 70%지급후 3차 추경으로 논의하자고 하.. 36 ㅇㅇ 2020/04/22 4,341
1067016 이런 죽음..... 24 ..... 2020/04/22 5,363
1067015 이름 없는 자동차 보험회사에 가입해도 괜찮을까요 10 ㅇㅇ 2020/04/22 1,030
1067014 집 산다면 몇년도 금액을 참고할까요? 9 무주택자 2020/04/22 1,892
1067013 달지않은 그래놀라 6 ㅡㅡ 2020/04/22 1,964
1067012 스위스에서 10월에 백신 출시한데요 10 ㄱㄱㄱ 2020/04/22 5,153
1067011 전지현 광고이미지 지겹네요 28 ㅂㄹ 2020/04/22 6,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