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서울대 이준구 교수 페북 글.

조회수 : 3,305
작성일 : 2020-04-18 01:40:03
[ 진보가 우리 사회의 새로운 주류로 떠올랐다?]

등록일 : 2020년 4월 17일

이번 총선 결과를 보고 보수든 진보든 가릴 것 없이 모두가 놀라 자빠졌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보수는 그렇게 처참한 패배를 당할지 몰랐었기 때문에 경악했을 것이고, 진보는 진보대로 예상을 뛰어넘는 대약진이 그저 놀라울 따름이었을 테니까요.
솔직히 말씀 드리면, 나 역시 그런 결과가 나올지는 꿈에도 상상하지 못했습니다.

전문가가 아닌 내가 이번 선거 결과에 대해 어떤 권위 있는 해석을 제시할 수는 없습니다.
그럴 필요도 없다고 느끼는데, 수많은 전문가들이 이미 나름대로 설득력 있는 해석을 제시해 놓았기 때문입니다.
전문가들의 해석을 종합해 보면 우리 사회의 이념 지형이 조금씩 바뀌고 있다는 점이 두드러집니다.
어떤 진보신문의 탑 기사는 우리 사회에서 이제는 진보가 새로운 주류로 떠오른다는 제목을 달고 있더군요.

얼마 전까지만 해도 우리 사회의 분위기는 정말로 숨이 막힐 정도로 보수적인 게 사실이었습니다.
다른 나라들 보면 일반적으로 고학력자나 저소득층은 진보적 성향이 강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 사회에서는 이런 공식이 전혀 통하지 않는 분위기였습니다.
예컨대 MB정부의 (얼치기) 신자유주의적 정책에 대한 여론조사를 보면 저소득층이 압도적 지지를 보내고 있었습니다.

나는 이런 경향을 만들어낸 결정적인 이유가 보수언론의 프로파간다라고 보고 있습니다.
어떤 경제정책이 무슨 결과를 빚을지에 대한 전문지식이 없는 사람들은 언론의 보도를 그대로 맹신하는 경향이 있지 않습니까?
그들은 보수언론이 매일같이 쏟아내는 보수적 메시지에 그대로 포획될 수밖에 없는 거지요.
그러니 부자들을 위한 정책을 써도 저소득층은 아무것도 모른 채 지지하는 어처구니없는 일이 벌어지는 겁니다.

보수언론의 프로파간다에 일방적으로 휘둘리지는 않을 고학력층의 보수적 성향은 조금 다른 이야기입니다.
미국이 그 전형적인 예지만, 다른 나라들의 경우 진보적 세력의 주축은 바로 고학력자들입니다.
특히 대학 교수들 중에는 진보적 인사들의 비중이 현저하게 큽니다.
오죽하면 “Why are professors liberal?”이라는 제목을 단 책이나 논문이 나와 있겠습니까?

내가 몸 담고 있는 경제학계의 경우에도 유명 경제학자들 중 대표적인 진보 인사들이 상당히 많습니다.
내가 너무도 좋아하는 P. Krugman, J. Stiglitz, T. Piketty 교수 등이 그 대표적 예입니다.
내 지도교수이며 연방준비은행 부의장을 역임한 A. Blinder 교수도 그 중 하나이구요.

그런데 우리나라를 보면 대학교수들 중 보수적 성향을 갖는 사람들이 무척 많다고 느낍니다.
최근 우리 사회에 어떤 이슈가 있을 때마다 6천 여 명에 이르는 보수적 대학교수들이 집단적으로 성명을 내는 걸 보지 않습니까?
6천 명이라는 게 결코 적은 숫자가 아닌데, 그런 다수가 결집하는 걸 보면 교수 사회의 보수적 성향이 얼마나 강한지 능히 짐작할 수 있습니다.

여러분도 이 사실을 잘 알고 계시리라 믿지만, 특히 경제학계의 보수성향은 정말로 숨 막힐 지경입니다.
솔직히 말씀 드려 나는 경제학자들이 모인 자리에서는 정치나 사회에 대해 별로 말을 하지 않습니다.
말을 해보았자 아무 소용이 없다고 느끼기 때문인데, 이게 바로 우리 경제학계의 현주소입니다.

미국에서 “Why are professors liberal?”이란 제목의 분석이 나온 것처럼, 우리 사회에서도 “왜 한국의 경제학자들은 보수적인가?”라는 분석이 나왔으면 좋겠다고 생각합니다.
사회학자들이 그런 연구를 하는 것 같은데, 정말로 나는 우리 경제학계에 40년 동안 몸 담아 오면서 늘 그와 같은 의문을 가슴에 품고 살아왔으니까요.
미국 유학을 했을 때 진보적인 경제학자의 지도를 받았으면서도 우리나라에 돌아오면 마치 보수의 아이콘처럼 행동하는 사람이 적지 않습니다.

내 개인적 경험을 말씀 드리자면, 그 동안 나는 경제학자라는 점 말고도 다른 여러 가지 점에서 늘 외로움을 느끼며 살아왔습니다.
여러분이 잘 아시듯, 내 연령대가 바로 외로울 수밖에 없는 처지지요.
이번 선거에서도 유일하게 2번을 압도적으로 지지한 바로 그 연령대에 속해 있으니까 말입니다.
그래서 동년배의 사람들과 함께 있으면 언제나 외톨이라는 느낌이 드는 겁니다.

거기다가 내 거주지는 서울 강남입니다.
개표 결과 서울은 온통 푸른 물결인데, 오직 섬처럼 핑크빛으로 물들어 있는 바로 그 지역이랍니다.
이웃들과 엘리베이터에서 만나면 반갑게 인사는 하지만, 가끔 세상 얘기 나오면 “아, 그러세요?”라고 얼버무려 버리고 마는 경우가 많습니다.
(난 투표장에 갈 때마다 내 표는 어차피 ‘사표’(死票)가 될 걸 뻔히 알면서 표를 던집니다.)

또 하나 재미있는 건 고등학교나 대학 동창들도 거의 모두 나와는 정치적 성향이 판이하게 다르다는 사실입니다.
동창들의 단톡방에 내 심기를 거스르는 글들을 퍼나르는 걸 보면서 탈퇴의 유혹을 느낄 때가 많습니다.
모나게 살면 안 된다는 생각에서 간신히 참긴 하지만, 기분이 좋을 리는 전혀 없지요.

당연한 말이지만, 내 가까운 지인 중에는 앞에서 말한 보수의 네 가지 조건(경제학 전공, 연령, 강남 거주, 동창관계)의 셋 혹은 넷을 가진 사람이 거의 전부입니다.
그러니까 나는 언제나 외톨이라는 느낌을 갖고 살아갈 수밖에 없는 거죠.
내가 저녁이나 술자리 약속을 거의 하지 않고 집으로 바로 들어가는 날이 많은 이유가 바로 거기에 있습니다.
또한 동년배 지인보다 학생들과 어울리기를 더 좋아하는 이유가 교수라는 직업 때문만도 아니구요.

이렇게 보수에 철저하게 둘러싸여 살아온 나에게 진보가 우리 사회의 새로운 세력으로 떠오른다는 말이 조금 생소하게 들리는 게 사실입니다.
그러나 이번 총선 결과가 우리 사회에 무언가 새로운 흐름이 일어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면, 한번 기대를 걸어봄직도 하지 않는가라는 생각도 해봅니다.

그런데 이 기대가 정말 현실이 될 수 있는지의 여부는 정부와 여당이 어떻게 하느냐에 결정적으로 달려 있습니다.
겸손한 자세로 이번 총선에서 국민이 보내준 열렬한 지지에 충실하게 보답한다면 이 땅에 진보가 확고히 자리를 잡을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국민의 기대를 저버린다면 진보가 새로운 주류가 되기는커녕 영원한 변방으로 내몰리고 말 것입니다.

지금은 정부와 여당 관계자들이 입을 모아 국민이 보내준 지지를 무거운 책임으로 받아들이겠다고 말합니다.
그러나 과거에 정치가들이 일단 권력을 잡은 다음에는 그런 약속을 헌신짝처럼 내던지는 일이 비일비재하게 일어났습니다.
제발 이번만은 약속을 제대로 지켜 나라도 살리고 진보도 살리는 성과를 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IP : 116.44.xxx.84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출처
    '20.4.18 1:40 AM (116.44.xxx.84)

    https://www.facebook.com/215013888568349/posts/2848973928505652/

  • 2. 민간인사찰
    '20.4.18 1:43 AM (219.254.xxx.109)

    근데 이렇게 어마어마한 의석수를 가진게 이번이 처음인데 다들 어깨에 짐이 한가득..잘하길 바란다.내가 감시하겠다 모드..이게 진보의 제일 문제 같아요.
    노무현대통령이 말하길.여러분들은 나를 지켜줘야해요.그랫는데
    어찌된게 하나같이 180석이다.잘해라...자~~~~~~~~~~ 알 해라 이런글이 쏟아지는게..


    교수가 쓴 의도가 뭔말인지는 알겠으나..결론은 맘에 안듬.

  • 3. ...
    '20.4.18 1:53 AM (211.202.xxx.242)

    우리가 미통닭 지지자도 아니고..
    감시와 지지는 함께 가야죠
    잘한 건 칭찬 잘못한 건 혼쭐을 내줘야죠
    내부에서부터 정의롭지 못하면
    지지는 한순간에 물거품이 될 수 있어요
    민주당 안에서의 적폐를 경계하고 솎아냅시다

  • 4. O1O
    '20.4.18 3:01 AM (222.96.xxx.237)

    감사히 잘 읽었습니다.
    저는 트위터 이분의 글귀가 가슴에 와 닿았 습니다.

    金氷三 @PresidentVSKim

    선거가 혁명처럼 한 순간에 세상을 바꿀 수야 없겠지만, 역사의 흐름에서 볼 때 오늘을 기점으로 변곡이 일어나는 것 정도는 확실히 느낄 수 있재. 내일은 분명 어제와는 다른 날이 되지 싶다.

  • 5. ...
    '20.4.18 7:59 AM (58.235.xxx.246)

    더 쓸어버리길 원했었는데 아니어서 어제까지 우울했는데
    교수님의 글을 보고 우울한 기분이 싹 날아가네요
    힘내서 앞으로 나가야죠.
    전반적인 사회 분위기가 바뀌어 가고 있군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065890 민주, ‘일하는 국회법’ 추진 전망…"일할 사람을 국회.. 19 일하는국회 2020/04/19 2,202
1065889 그릇을 팔아야 하는데 어디에다 내놓아야 할까요? 14 평화시장 2020/04/19 3,560
1065888 감자탕 너무 비싸요.. 24 엄마 2020/04/19 6,985
1065887 감자도지사님께서 아스파라거스 파신데요 38 아스파라거스.. 2020/04/19 6,192
1065886 차명진이 앞으로도 민주당 살릴거같아요. 7 ㅇㅇ 2020/04/19 3,254
1065885 퀸침대에 킹매트리스 문제 생길까요? 2 ... 2020/04/19 1,117
1065884 무코타에 버금가는 제품 있나요? 트리트먼트 추천부탁! 9 헤어 2020/04/19 3,132
1065883 전국민 지급 또 말바꾸는 미통당 ( feat.쳐키) 17 기레기아웃 2020/04/19 3,662
1065882 인덕션 aeg쓰시는 분! Lock어떻게 해제하나요?ㅜ 3 ... 2020/04/19 3,710
1065881 이스라엘 국방부 트윗 7 너무잘함 2020/04/19 3,152
1065880 9시40분 KBS1 저널리즘 J ㅡ 교묘 혹은 뻔뻔 ㆍㆍ총.. 2 본방사수 .. 2020/04/19 1,541
1065879 내일 종편 재승인 결과 발표 전에 방통위에 전화해주세요. 2 종편재승인 .. 2020/04/19 1,586
1065878 독일 유력지 빌트 중국 최대 히트수출품은 코로나 .세계 경제 보.. 14 adg 2020/04/19 3,311
1065877 이낙연 아들이 27 ㅇㅇ 2020/04/19 22,834
1065876 염색약은 남은것 어쩌나요? 7 2020/04/19 9,769
1065875 日 마스크 색깔도 지정 - 흰색만 써라 21 융통성1도없.. 2020/04/19 4,639
1065874 평촌 골프 레슨 추천 부탁드려요 골프 2020/04/19 1,027
1065873 무뚝뚝한 부부사이가 3 2020/04/19 3,419
1065872 바이레도 바디로션 5 4555 2020/04/19 2,077
1065871 공감능력 떨어지는 남편들 많나요 10 Oo 2020/04/19 4,535
1065870 마마보이와 착한아들 차이점이 뭔가요 14 . . . 2020/04/19 5,399
1065869 브라 어디서 사세요? 6 중년여인 2020/04/19 3,144
1065868 예전에 크레용 모양의 초콜릿도 팔았었죠 15 ㅇㅇ 2020/04/19 1,754
1065867 미역줄기가 너무 달아요 7 음식초보 2020/04/19 1,315
1065866 민주당 집권 20년각이라며 미통당 지지자들도 좌절하게 만든 어제.. 10 퍼옴퍼옴퍼옴.. 2020/04/19 2,1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