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전우용님 페이스북.-1

공감 조회수 : 1,966
작성일 : 2020-04-16 17:26:34
이번 선거 결과에 대해 언론매체들이 정치학자나 정치 평론가들의 전문적 평가를 집중적으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다들 경청할 만한 이야기지만, 이 사건의 ‘역사적 의미’와 향후의 ‘역사적 과제’에 대해 이야기하는 사람이 거의 없어서, 개요를 담기에도 터무니없이 짧지만 SNS에 올리기에는 긴 글을 몇 꼭지로 나눠 올릴까 합니다. 물론 순전히 제 개인 의견일 뿐이라서 한국 역사학계 전체에서는 ‘특이 소견’일 수도 있습니다. 이 글 이후로는 당분간(아마도 꽤 오랫동안) 정치 관련 글은 쓰지 않으려 합니다.

1. 중도층과 밭갈기

저는 프로야구에 관심을 끊은 지 꽤 오래 됐습니다. 류현진, 추신수 말고 아는 선수 이름도 없고, 작년에 어느 팀이 우승했는지도 모릅니다. 야구 경기장에 안 가는 것은 물론, TV 중계도 안 봅니다. 당연히 누가 어느 팀을 응원하느냐고 물으면 “관심 없다”고 대답합니다. 하지만 그래도 마음속에 담아둔 팀은 있습니다. 40년 전 프로야구 개막 때부터 몇 년간 OB 베어스(현 두산 베어스)를 응원했었고, 그 관성 때문에 지금도 누가 집요하게 물으면 두산이라고 답합니다. 당시 OB 베어스를 응원한 이유는 고향 연고팀이라는 것밖에 없었습니다. 비록 다섯 살 때 떠난 고향이지만 지역 연고의식은 이렇게나 강력합니다. 저만 그런 게 아니라 현재 50대 이상 서울 사람들 태반은 자기가 ‘서울 사람’이자 ‘고향 사람’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런 ‘지역적 이중 정체성’은 1960년대 급속한 도시화가 낳은 산물입니다.

프로야구팀 응원보다 더 강력한 정체성 구성 요소가 정당 지지입니다. 일단 어떤 정당과 자기 사이에 주관적 ‘연계’를 맺은 사람은 거기에서 쉽게 벗어나지 못합니다. 자기가 응원하는 팀이 아무리 못해도, 홧김에 경기를 안 볼지언정 라이벌팀 응원으로 돌아서지는 않는 게 사람 심리입니다. 정당 지지도 이와 비슷합니다. 이른바 ‘중도층’으로 분류되는 사람들 중에는 정말 정치에 무관심한 사람도 있고, 마음속에 지지 정당이 있으나 누가 물으면 “관심 없다”고 대답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정치에 무관심한 사람은 아예 투표장에 안 가고, 속마음을 숨기는 ‘중도층’은 상황에 따라 가기도 하고 안 가기도 합니다. 이른바 ‘중도층’ 중 상당수는 ‘속마음을 숨기는 소극적 지지자’라고 보는 게 옳을 겁니다. 그래서 선거의 승패는 어느 정당에 ‘적극적 지지자’가 많으냐보다는 어느 정당이 ‘소극적 지지자’들을 투표장에 더 많이 끌어오느냐에 따라 결정됩니다. 상황에 따라 지지 정당을 바꾸는 이른바 ‘스윙 보터’는 생각보다 많지 않을 겁니다.

물론 ‘더 강한 연고’에 이끌려 지지 정당을 바꾸는 경우도 있습니다. 하지만 지지 정당도 개인의 ‘정체성’을 구성하는 중요 요소이기 때문에 쉽게 바뀌지 않습니다. 대다수 가정에서는 자식이 아버지 말도 안 듣고, 어머니가 자식 말도 안 듣는 게 보통입니다. 그런데 지난 4년 간 총선, 대선, 지선, 총선에서 민주당이 연거푸 승리했습니다. 현 정권이 이명박 박근혜 정권과 비교해 모든 면에서 ‘총체적 우위’를 입증한 것도 주요 이유지만, 민주 시민들이 자기 돈과 시간과 열정을 기울여 타인의 ‘정체성’을 바꾸려고 노력한 것이 더 큰 이유일 겁니다. 30년 전 ‘3당 합당’ 당시에는 요원한 일이라고 여겼던 일이, 불과 한 세대만에 성과를 거두고 있습니다. 이런 일상적인 노력이, 한국 민주주의를 떠받치는 힘의 원천입니다. 이번 선거는 더불어민주당의 승리라기보다 ‘밭갈이’한 시민들의 승리입니다. 코로나 팬데믹은 한국민으로 하여금 ‘후진국민’이라는 자의식에서 벗어날 수 있게 해 주었습니다. 그리고 민주시민들의 ‘밭갈이’가 계속되는 한, 한국 정치도 ‘선진국 정치’로 나아갈 수 있을 겁니다.
IP : 14.42.xxx.85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출처
    '20.4.16 5:27 PM (14.42.xxx.85)

    https://m.facebook.com/story.php?story_fbid=3716357481769847&id=10000186896182...

  • 2. 와우
    '20.4.16 5:40 PM (223.33.xxx.208)

    짝짝짝 좋은 글 기쁜 마음 감사합니다

  • 3. 야구는모르지만
    '20.4.16 6:37 PM (175.211.xxx.106)

    항상 공감하며 읽고 있습니다. 존경하는 몇없는 분중의 한사람.

  • 4.
    '20.4.16 10:05 PM (218.236.xxx.162)

    글 고맙게 잘 읽고있습니다
    앞으로도 자주 정치관련 글도 써주시면 좋겠는데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079877 이시간 펜텀싱어3 13 나무 2020/05/29 2,590
1079876 외동딸의 특징이 있나요? 19 강아쥐 2020/05/29 18,230
1079875 술마시고 비타민씨도 간에 치명적인가요??ㅜㅜ 4 .. 2020/05/29 12,678
1079874 급 / 한국에서 학교에서 마스크 쓰나요? 9 질문 2020/05/29 1,801
1079873 곧 다시 여론조사 나오겠죠, 사퇴여론 70프로 그대로인지,확줄.. 8 ㅇㅇ 2020/05/29 1,301
1079872 앞으로 조선일보 기레기와 검찰이 또 어떤... 5 흥미진진 2020/05/29 582
1079871 두달만에 10KG 뺐어요. 64 다이어터 2020/05/29 31,933
1079870 와우 ~ 죄수H 씨 13명의 검사 고발할 예정 12 한총리사건 2020/05/29 2,068
1079869 스마트폰 소형 기종 좀 가르쳐주세요 7 폰 폰 2020/05/29 653
1079868 속보 부산 내성고 3 코로나 확진 8 Sad 2020/05/29 4,717
1079867 김어준의 다스뵈이다 117회 시작했어요 34 ... 2020/05/29 1,206
1079866 어제 윤복이 에피소드요 13 ㅇㅇㅇ 2020/05/29 5,353
1079865 아파트 게스트 하우스 5 여름 2020/05/29 4,409
1079864 아이허브 결제 안전한가요? 3 . . 2020/05/29 1,262
1079863 보험 잘 아시는분 도와주세요. 부모님 보험 뭐로 넣으면 좋을까요.. 3 ... 2020/05/29 778
1079862 어릴 때 애 낳은 친구들이 덜 늙는건가 싶어요 14 ... 2020/05/29 5,693
1079861 정의연은 할머니들 보살피겠다고 2019년 6억을 받았습니다. 19 ..... 2020/05/29 1,560
1079860 할머니들은 결국 고국이 지켜주지 못한거네요 12 ㅇㅇ 2020/05/29 984
1079859 혈압 집에서 사서 쟀는데 2 140? 2020/05/29 1,620
1079858 2주정도 상온에 둔 새우젓 먹어도 될까요? 4 아까운 새우.. 2020/05/29 1,811
1079857 윤미향씨 일 겪으며 느낀건 조선일보를 참 잘 믿네요. 16 과거구독자 2020/05/29 1,887
1079856 곽상도사퇴하라! 8 ㄱㄴㄷ 2020/05/29 897
1079855 검찰조사후에 그만둘 수도 있나요? 1 ㅇㅇ 2020/05/29 514
1079854 매실주 담갔다가 건진 매실요. 1 ... 2020/05/29 1,493
1079853 체크카드 결재시 통잔잔고 없으면 신용도 떨어지나요? 2 궁금이 2020/05/29 1,5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