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전우용님 페이스북.-1

공감 조회수 : 1,966
작성일 : 2020-04-16 17:26:34
이번 선거 결과에 대해 언론매체들이 정치학자나 정치 평론가들의 전문적 평가를 집중적으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다들 경청할 만한 이야기지만, 이 사건의 ‘역사적 의미’와 향후의 ‘역사적 과제’에 대해 이야기하는 사람이 거의 없어서, 개요를 담기에도 터무니없이 짧지만 SNS에 올리기에는 긴 글을 몇 꼭지로 나눠 올릴까 합니다. 물론 순전히 제 개인 의견일 뿐이라서 한국 역사학계 전체에서는 ‘특이 소견’일 수도 있습니다. 이 글 이후로는 당분간(아마도 꽤 오랫동안) 정치 관련 글은 쓰지 않으려 합니다.

1. 중도층과 밭갈기

저는 프로야구에 관심을 끊은 지 꽤 오래 됐습니다. 류현진, 추신수 말고 아는 선수 이름도 없고, 작년에 어느 팀이 우승했는지도 모릅니다. 야구 경기장에 안 가는 것은 물론, TV 중계도 안 봅니다. 당연히 누가 어느 팀을 응원하느냐고 물으면 “관심 없다”고 대답합니다. 하지만 그래도 마음속에 담아둔 팀은 있습니다. 40년 전 프로야구 개막 때부터 몇 년간 OB 베어스(현 두산 베어스)를 응원했었고, 그 관성 때문에 지금도 누가 집요하게 물으면 두산이라고 답합니다. 당시 OB 베어스를 응원한 이유는 고향 연고팀이라는 것밖에 없었습니다. 비록 다섯 살 때 떠난 고향이지만 지역 연고의식은 이렇게나 강력합니다. 저만 그런 게 아니라 현재 50대 이상 서울 사람들 태반은 자기가 ‘서울 사람’이자 ‘고향 사람’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런 ‘지역적 이중 정체성’은 1960년대 급속한 도시화가 낳은 산물입니다.

프로야구팀 응원보다 더 강력한 정체성 구성 요소가 정당 지지입니다. 일단 어떤 정당과 자기 사이에 주관적 ‘연계’를 맺은 사람은 거기에서 쉽게 벗어나지 못합니다. 자기가 응원하는 팀이 아무리 못해도, 홧김에 경기를 안 볼지언정 라이벌팀 응원으로 돌아서지는 않는 게 사람 심리입니다. 정당 지지도 이와 비슷합니다. 이른바 ‘중도층’으로 분류되는 사람들 중에는 정말 정치에 무관심한 사람도 있고, 마음속에 지지 정당이 있으나 누가 물으면 “관심 없다”고 대답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정치에 무관심한 사람은 아예 투표장에 안 가고, 속마음을 숨기는 ‘중도층’은 상황에 따라 가기도 하고 안 가기도 합니다. 이른바 ‘중도층’ 중 상당수는 ‘속마음을 숨기는 소극적 지지자’라고 보는 게 옳을 겁니다. 그래서 선거의 승패는 어느 정당에 ‘적극적 지지자’가 많으냐보다는 어느 정당이 ‘소극적 지지자’들을 투표장에 더 많이 끌어오느냐에 따라 결정됩니다. 상황에 따라 지지 정당을 바꾸는 이른바 ‘스윙 보터’는 생각보다 많지 않을 겁니다.

물론 ‘더 강한 연고’에 이끌려 지지 정당을 바꾸는 경우도 있습니다. 하지만 지지 정당도 개인의 ‘정체성’을 구성하는 중요 요소이기 때문에 쉽게 바뀌지 않습니다. 대다수 가정에서는 자식이 아버지 말도 안 듣고, 어머니가 자식 말도 안 듣는 게 보통입니다. 그런데 지난 4년 간 총선, 대선, 지선, 총선에서 민주당이 연거푸 승리했습니다. 현 정권이 이명박 박근혜 정권과 비교해 모든 면에서 ‘총체적 우위’를 입증한 것도 주요 이유지만, 민주 시민들이 자기 돈과 시간과 열정을 기울여 타인의 ‘정체성’을 바꾸려고 노력한 것이 더 큰 이유일 겁니다. 30년 전 ‘3당 합당’ 당시에는 요원한 일이라고 여겼던 일이, 불과 한 세대만에 성과를 거두고 있습니다. 이런 일상적인 노력이, 한국 민주주의를 떠받치는 힘의 원천입니다. 이번 선거는 더불어민주당의 승리라기보다 ‘밭갈이’한 시민들의 승리입니다. 코로나 팬데믹은 한국민으로 하여금 ‘후진국민’이라는 자의식에서 벗어날 수 있게 해 주었습니다. 그리고 민주시민들의 ‘밭갈이’가 계속되는 한, 한국 정치도 ‘선진국 정치’로 나아갈 수 있을 겁니다.
IP : 14.42.xxx.85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출처
    '20.4.16 5:27 PM (14.42.xxx.85)

    https://m.facebook.com/story.php?story_fbid=3716357481769847&id=10000186896182...

  • 2. 와우
    '20.4.16 5:40 PM (223.33.xxx.208)

    짝짝짝 좋은 글 기쁜 마음 감사합니다

  • 3. 야구는모르지만
    '20.4.16 6:37 PM (175.211.xxx.106)

    항상 공감하며 읽고 있습니다. 존경하는 몇없는 분중의 한사람.

  • 4.
    '20.4.16 10:05 PM (218.236.xxx.162)

    글 고맙게 잘 읽고있습니다
    앞으로도 자주 정치관련 글도 써주시면 좋겠는데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081187 내변산 오세요. 2 내변산 직소.. 2020/06/03 1,408
1081186 애들 학교 가니 조금 살 것 같아요 ㅠ 17 2020/06/03 4,487
1081185 생리증후군으로 우울증이 오네요 3 2020/06/03 1,463
1081184 일부 기숙형 특목자사고의 코로나를 핑계로 하는 편법 수업을 고발.. 21 불공평 2020/06/03 2,861
1081183 위안부 굿즈 무조건 굿? 정의연 나비효과 34 나비효과 2020/06/03 1,243
1081182 똥봉지를 잃어버렸어요..ㅜㅜ 7 ... 2020/06/03 3,731
1081181 빌라 테라스 누수문제 누수 2020/06/03 1,353
1081180 강사소득이 연 천만원이라면 배우자공제를 못받나요? 6 oo 2020/06/03 1,584
1081179 6월3일 코로나 확진자 49명(해외유입3명/지역발생46명) 1 ㅇㅇㅇ 2020/06/03 1,170
1081178 가족입니다)저 ㅁㅊ 아부지 7 ... 2020/06/03 3,518
1081177 급급질) 식빵 만드려는데 계란이 없어요 3 초보초보 2020/06/03 1,096
1081176 카드 돌려막기는 어떻게 하는건가요? 2 .. 2020/06/03 1,573
1081175 식기세척기 고온 아니어도 괜찮나요 11 사고싶다 2020/06/03 1,681
1081174 인천, 경기도는 계속 등교 안하죠? 9 걱정이네요 2020/06/03 2,110
1081173 생리시작했는데 유방검사 받아도 되나요? 2 @@ 2020/06/03 1,050
1081172 금값 더 오를까요? 6 금시세 2020/06/03 3,287
1081171 정치인 리뷰 이해찬 1편 20 전설 2020/06/03 858
1081170 아기 고양이 건강하게 먹이려면, 사료 말고 뭘 어떻게 먹일까요?.. 18 챌시 2020/06/03 1,916
1081169 증빙 없으면 그 자체가 착복이에요 예를 들께요 58 동백 2020/06/03 3,281
1081168 요가 10 년 꾸준히 하신 분 계시나요?? 24 효리 2020/06/03 5,690
1081167 국공립 유치원 급식... 43 ..... 2020/06/03 3,210
1081166 분당지역 정신과추천해주세요..제발 9 .. 2020/06/03 3,238
1081165 고양이가 이물질을 삼킨것 같아요. 6 분당 2020/06/03 1,526
1081164 채소 많이 먹으면 배에 가스 차나요? 7 2020/06/03 6,188
1081163 문재인대통령님전경호원님의 글을 읽는데 왜 눈물이 핑 도는지.. 2 왜 눈물이 2020/06/03 1,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