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김칫국물 어떻게 활용하세요?

궁금 조회수 : 2,030
작성일 : 2020-04-03 10:42:53
배추김치 파김치 무김치등
먹고 나면 아래 남아있는 국물이요.
특히 김장김치는 국물이 많이 남아서.
게다가 저희는 통깨랑 밤 채썰어서 듬뿍 넣어가지고
그냥 버리기가 항상 아까웠어요
그래서 친정엄마께 통깨 아까우니 뿌리지 말자 해도
모양도 맛도 안뿌리면 안됀다고..

그거 찌개에 넣어도 둥둥뜨고 영 보기싫던데
주관자가 아닌 입장에서 어쩔 수 없고요 ㅜㅜ

그래서 제가 활용해서 먹는 방법은
비빔국수 만들때 국물 넣는거
볶음밥 만들때 넣는거.
근데 이런건 그닥 많이 소비가 안돼는데

국물로 부침개 만드는거요
국물에다 오징어나 아님 채소 듬뿍 넣고
밀가루 넣어 반죽하면
다른 양념이나 간이 필요없어서
금방 소비가 되더라고요

IP : 117.111.xxx.198
1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김치찌개
    '20.4.3 10:48 AM (1.177.xxx.11)

    끓일때 물 대신 김치 국물만 붓고 돼지고기 넉넉하게 넣고 푹 끓이면 걸죽하고 진한 맛.
    김치 국물 제일 많이 소비하게 되지 않나요?
    아... 찌개는 깨때문에 싫다고 하셨구나...

  • 2. 저도 두었다가
    '20.4.3 10:52 AM (203.247.xxx.210)

    찌개나 생선조림에 사용합니다

  • 3. ....
    '20.4.3 10:53 AM (122.34.xxx.61)

    깨를 왜?????

  • 4. ㅇㅇㅇ
    '20.4.3 10:54 AM (211.247.xxx.140)

    저는 적당히 해먹다가 그래도 남으면 버려요.
    아까워도 할수 없지요.
    여기저기에다 마구잡이로 넣으면 김치국물맛뿐이라
    맛의 변화가 없어서요.
    대신 김장할때 참고로 해서 인제는 남아돌지 않네요..
    라면 끊일때 조금 놓으면 맛이 달라지나
    그것도 한두어번이어야지요.

  • 5.
    '20.4.3 10:56 AM (125.132.xxx.103) - 삭제된댓글

    흠~ 겉절이도 아니고 김장김치에 깨를?
    지저분해 보이는데.. 취향이니 어쩔수 없고.
    김치찌개나 김칫국에 국물 안 넣으면 맛이 안 살아요.
    희석해서 국수 말아 먹기도 하던데요.

  • 6. 국수
    '20.4.3 10:59 AM (180.228.xxx.41) - 삭제된댓글

    멸치넣고 김치국물 넣은 물에 간장조금넣고 팍팍 끓여서 국수 삻아먹으면 금세없어져요

  • 7. 원글
    '20.4.3 11:00 AM (121.137.xxx.231)

    그러게요. ㅎㅎ
    시골이라 다 농사지은 건데 김장김치에 넣는 통깨는 아깝기만 할뿐..
    근데 저희쪽 지역이 그런 통깨를 잘 뿌리더라고요. 예전부터..
    김치찌개 할때는 국물만 넣으려고 채에 걸러서 넣는데
    그래서 아까운 깨고 뭐고 다 버려요.
    김치찌개 할때는 어쩔 수 없고..

    부침개할때는 의외로 따로 간 안해도 되고 재료만 섞어서
    김치전 부치듯 하면되니 그대로 활용이 되고 소비도 되고 좋더라고요.^^;

  • 8. .........
    '20.4.3 11:02 AM (211.250.xxx.45)

    채소,해물 썰어넣어 부침개

    배추든 봄동이든 채소넣어 감자탕

  • 9. ㅎㅎ
    '20.4.3 11:08 AM (211.117.xxx.60) - 삭제된댓글

    김치에 왜 깨를...222
    확실히 음식은 취향이네요
    저는 김치나 음식에 깨 넣는 걸 싫어하거든요

    김치국물이 삼삼하고 맛이 있으면 김치찌개용이나 김치전할 때 넣어요

  • 10. ...
    '20.4.3 11:19 AM (122.38.xxx.110) - 삭제된댓글

    준비물.
    김치국물 과 생콩가루 필요에 따라 육수( 김치국물에 웬만한 양념은 다들어가 있어서 이건 취향)
    조리.
    물에 콩가루를 푼다 마치 미숫가루 처럼 약간 묽게
    끓인다 부르르 끓어 오를때 김치국물을 붓고 한바퀴만 저어준다
    몽글 몽글한 콩국 탄생
    모자란 간은 까나리액젓이나 소금 간

  • 11. ...
    '20.4.3 11:21 AM (122.38.xxx.110)

    준비물.
    김치국물 과 생콩가루 필요에 따라 육수( 김치국물에 웬만한 양념은 다들어가 있어서 이건 취향)
    조리.
    물에 콩가루를 푼다 마치 미숫가루 처럼 약간 묽게
    끓인다 부르르 끓어 오를때 김치국물을 붓고 한바퀴만 저어준다
    몽글 몽글한 콩국 탄생
    모자란 간은 까나리액젓이나 소금 간

    집에 유통기한도 거의 무한정인 콩가루 몇스픈만 있으면 급할때 5분도 안걸려 국 한그릇이 탄생
    어른은 시원하고 칼칼 고소한 맛에 먹고
    아기들은 김치 국물 양을 줄이고 소금간을 해서 고소하고 몽글몽글한 맛에 먹고

  • 12. ..
    '20.4.3 11:22 AM (125.177.xxx.43)

    찌개 말고는 딱히

  • 13. 깨, 밤을 왜
    '20.4.3 11:44 AM (125.184.xxx.67)

    넣죠? 백김치도 아닌데..

    걍 버려요.

  • 14. 저희
    '20.4.3 12:20 PM (119.194.xxx.158)

    저희 시댁도 김장김치에 깨 듬뿍 넣습니다. 나름 문화충격이었어요.

  • 15. 체에 걸러서...
    '20.4.3 12:21 PM (49.1.xxx.190)

    진짜? 국물만 써요,
    간마늘...같은 건더기 양념들 다 걸러내고
    거른 김칫국에다..
    멸치육수, 가쓰오부시 국물, 국시장국, 사이다....등 섞어서
    국수 나 밥 말아 먹어요.
    고명은 별도...

  • 16. phua
    '20.4.3 12:47 PM (1.230.xxx.96)

    알배추 넣고 돼지고기 넣고 김치찌개 만듭니다.
    씨~~원한 맛이 나는 김치찌개가 됍니다^^

  • 17. 부침개
    '20.4.3 1:13 PM (59.10.xxx.251)

    저도 부침개 만들때 김치국물로 반죽해요. 제일 빨리 없앨 수 있고 김치 없어도 김치부침개맛도 나고 좋아요.

  • 18.
    '20.4.3 3:02 PM (14.52.xxx.3)

    이렇게 배워가네요.
    주부 10년차 지금까지 김치 다 먹으면 양념 아깝다는 생각 못하고 다 버렸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095347 부동산커페에 돌고 있는 실검 챌린지 4 .. 2020/07/16 1,340
1095346 펌 임신한 상태로 법원에 선 학생과 판사의 고뇌 9 2020/07/16 2,174
1095345 이젠 이재명이 대통령이 되었으면 좋겠어요. 63 .... 2020/07/16 4,086
1095344 지역발생 14명 ,해외유입이 47명 1 코로나 2020/07/16 814
1095343 이해 할 수 없는 초등학교 온라인 수업 9 somewh.. 2020/07/16 1,989
1095342 헬렌카민스키 비슷한 스타일 다른브랜드 있을까요? 7 tororo.. 2020/07/16 2,078
1095341 라돈관련 4 222 2020/07/16 1,073
1095340 파우더 팩트 추천 좀 해주세요~ 2 추천해주세요.. 2020/07/16 2,015
1095339 속보] 코로나19 - 61명 늘어 1만3,612명…해외유입 47.. 10 .. 2020/07/16 2,516
1095338 고등 과목 중요도 궁금합니다 1 고등맘 2020/07/16 1,132
1095337 이재명 욕 파일 들어보신분 계신가요? 24 ... 2020/07/16 2,574
1095336 4살아이 증상 도와주세요 9 76 2020/07/16 1,778
1095335 작은 사무실, 사장이 하루종일 같이 있으면 어때요? 3 나는사장 2020/07/16 1,592
1095334 심상정요. 정의당에서 쫓겨나는거 아녜요? 29 ㅇㅇ 2020/07/16 3,710
1095333 여자 혼자 차박 가능할까요 20 지나다 2020/07/16 8,291
1095332 좀전에 강아지 산책때 16 .. 2020/07/16 1,746
1095331 신규확진자 해외유입이 47명.. 5 ... 2020/07/16 1,437
1095330 저녁 양치질만 하면 우르륵 다 토하는 아이 15 ㅡㅡㅡㅡ 2020/07/16 2,593
1095329 추미애 법무장관 페이스북.jpg 9 간결하나사리.. 2020/07/16 1,875
1095328 82는이재명을왜그리싫어하는거에요~? 83 2020/07/16 2,984
1095327 이여름 콩국수가 살려주네요. 6 마음 2020/07/16 1,612
1095326 이재명을 왜 자꾸 차기 대선 주자라고 하나요 12 ... 2020/07/16 1,408
1095325 이마를 깔까요 덮을까요? 1 이마빡 2020/07/16 1,289
1095324 이동형 "박원순 고소인, 숨어서 뭐하는 짓인가".. 41 동감 2020/07/16 3,995
1095323 종아리에 쥐난후 통증치료? 5 ㅇㅇ 2020/07/16 3,0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