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김칫국물 어떻게 활용하세요?

궁금 조회수 : 2,030
작성일 : 2020-04-03 10:42:53
배추김치 파김치 무김치등
먹고 나면 아래 남아있는 국물이요.
특히 김장김치는 국물이 많이 남아서.
게다가 저희는 통깨랑 밤 채썰어서 듬뿍 넣어가지고
그냥 버리기가 항상 아까웠어요
그래서 친정엄마께 통깨 아까우니 뿌리지 말자 해도
모양도 맛도 안뿌리면 안됀다고..

그거 찌개에 넣어도 둥둥뜨고 영 보기싫던데
주관자가 아닌 입장에서 어쩔 수 없고요 ㅜㅜ

그래서 제가 활용해서 먹는 방법은
비빔국수 만들때 국물 넣는거
볶음밥 만들때 넣는거.
근데 이런건 그닥 많이 소비가 안돼는데

국물로 부침개 만드는거요
국물에다 오징어나 아님 채소 듬뿍 넣고
밀가루 넣어 반죽하면
다른 양념이나 간이 필요없어서
금방 소비가 되더라고요

IP : 117.111.xxx.198
1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김치찌개
    '20.4.3 10:48 AM (1.177.xxx.11)

    끓일때 물 대신 김치 국물만 붓고 돼지고기 넉넉하게 넣고 푹 끓이면 걸죽하고 진한 맛.
    김치 국물 제일 많이 소비하게 되지 않나요?
    아... 찌개는 깨때문에 싫다고 하셨구나...

  • 2. 저도 두었다가
    '20.4.3 10:52 AM (203.247.xxx.210)

    찌개나 생선조림에 사용합니다

  • 3. ....
    '20.4.3 10:53 AM (122.34.xxx.61)

    깨를 왜?????

  • 4. ㅇㅇㅇ
    '20.4.3 10:54 AM (211.247.xxx.140)

    저는 적당히 해먹다가 그래도 남으면 버려요.
    아까워도 할수 없지요.
    여기저기에다 마구잡이로 넣으면 김치국물맛뿐이라
    맛의 변화가 없어서요.
    대신 김장할때 참고로 해서 인제는 남아돌지 않네요..
    라면 끊일때 조금 놓으면 맛이 달라지나
    그것도 한두어번이어야지요.

  • 5.
    '20.4.3 10:56 AM (125.132.xxx.103) - 삭제된댓글

    흠~ 겉절이도 아니고 김장김치에 깨를?
    지저분해 보이는데.. 취향이니 어쩔수 없고.
    김치찌개나 김칫국에 국물 안 넣으면 맛이 안 살아요.
    희석해서 국수 말아 먹기도 하던데요.

  • 6. 국수
    '20.4.3 10:59 AM (180.228.xxx.41) - 삭제된댓글

    멸치넣고 김치국물 넣은 물에 간장조금넣고 팍팍 끓여서 국수 삻아먹으면 금세없어져요

  • 7. 원글
    '20.4.3 11:00 AM (121.137.xxx.231)

    그러게요. ㅎㅎ
    시골이라 다 농사지은 건데 김장김치에 넣는 통깨는 아깝기만 할뿐..
    근데 저희쪽 지역이 그런 통깨를 잘 뿌리더라고요. 예전부터..
    김치찌개 할때는 국물만 넣으려고 채에 걸러서 넣는데
    그래서 아까운 깨고 뭐고 다 버려요.
    김치찌개 할때는 어쩔 수 없고..

    부침개할때는 의외로 따로 간 안해도 되고 재료만 섞어서
    김치전 부치듯 하면되니 그대로 활용이 되고 소비도 되고 좋더라고요.^^;

  • 8. .........
    '20.4.3 11:02 AM (211.250.xxx.45)

    채소,해물 썰어넣어 부침개

    배추든 봄동이든 채소넣어 감자탕

  • 9. ㅎㅎ
    '20.4.3 11:08 AM (211.117.xxx.60) - 삭제된댓글

    김치에 왜 깨를...222
    확실히 음식은 취향이네요
    저는 김치나 음식에 깨 넣는 걸 싫어하거든요

    김치국물이 삼삼하고 맛이 있으면 김치찌개용이나 김치전할 때 넣어요

  • 10. ...
    '20.4.3 11:19 AM (122.38.xxx.110) - 삭제된댓글

    준비물.
    김치국물 과 생콩가루 필요에 따라 육수( 김치국물에 웬만한 양념은 다들어가 있어서 이건 취향)
    조리.
    물에 콩가루를 푼다 마치 미숫가루 처럼 약간 묽게
    끓인다 부르르 끓어 오를때 김치국물을 붓고 한바퀴만 저어준다
    몽글 몽글한 콩국 탄생
    모자란 간은 까나리액젓이나 소금 간

  • 11. ...
    '20.4.3 11:21 AM (122.38.xxx.110)

    준비물.
    김치국물 과 생콩가루 필요에 따라 육수( 김치국물에 웬만한 양념은 다들어가 있어서 이건 취향)
    조리.
    물에 콩가루를 푼다 마치 미숫가루 처럼 약간 묽게
    끓인다 부르르 끓어 오를때 김치국물을 붓고 한바퀴만 저어준다
    몽글 몽글한 콩국 탄생
    모자란 간은 까나리액젓이나 소금 간

    집에 유통기한도 거의 무한정인 콩가루 몇스픈만 있으면 급할때 5분도 안걸려 국 한그릇이 탄생
    어른은 시원하고 칼칼 고소한 맛에 먹고
    아기들은 김치 국물 양을 줄이고 소금간을 해서 고소하고 몽글몽글한 맛에 먹고

  • 12. ..
    '20.4.3 11:22 AM (125.177.xxx.43)

    찌개 말고는 딱히

  • 13. 깨, 밤을 왜
    '20.4.3 11:44 AM (125.184.xxx.67)

    넣죠? 백김치도 아닌데..

    걍 버려요.

  • 14. 저희
    '20.4.3 12:20 PM (119.194.xxx.158)

    저희 시댁도 김장김치에 깨 듬뿍 넣습니다. 나름 문화충격이었어요.

  • 15. 체에 걸러서...
    '20.4.3 12:21 PM (49.1.xxx.190)

    진짜? 국물만 써요,
    간마늘...같은 건더기 양념들 다 걸러내고
    거른 김칫국에다..
    멸치육수, 가쓰오부시 국물, 국시장국, 사이다....등 섞어서
    국수 나 밥 말아 먹어요.
    고명은 별도...

  • 16. phua
    '20.4.3 12:47 PM (1.230.xxx.96)

    알배추 넣고 돼지고기 넣고 김치찌개 만듭니다.
    씨~~원한 맛이 나는 김치찌개가 됍니다^^

  • 17. 부침개
    '20.4.3 1:13 PM (59.10.xxx.251)

    저도 부침개 만들때 김치국물로 반죽해요. 제일 빨리 없앨 수 있고 김치 없어도 김치부침개맛도 나고 좋아요.

  • 18.
    '20.4.3 3:02 PM (14.52.xxx.3)

    이렇게 배워가네요.
    주부 10년차 지금까지 김치 다 먹으면 양념 아깝다는 생각 못하고 다 버렸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096491 82님들 조언대로 카레했더니 맛있어요! (feat. 닭가슴살 압.. 6 ... 2020/07/19 4,413
1096490 위,담낭,췌장에 이상 없는데 체한 증상 있는 건.... 7 건강 2020/07/19 2,641
1096489 남편과 사이가 안좋아요 8 ... 2020/07/19 5,489
1096488 성북구 실상사 근처 2 부동산 2020/07/19 2,212
1096487 서울에 이비인후과 잘 보는데 없을까요? 8 감사합니다 2020/07/19 1,553
1096486 콩나물 키우기 3 //// 2020/07/19 1,213
1096485 주말이 이렇게 가네요 4 세월낭비 2020/07/19 1,945
1096484 글내립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30 다시 여름 2020/07/19 5,981
1096483 2학기 통으로 휴교할 지도... 10 팬더믹 노노.. 2020/07/19 6,394
1096482 김명수 대법원장 및 대법관 6인에 대한 탄핵 및 사퇴 청원 11 청원 2020/07/19 1,852
1096481 미투운동 창시자 타라나버크. 6 ㅂㄴ 2020/07/19 1,512
1096480 이정재 얼굴이 좀 달라진건가요? 6 ㅇㅇㅇ 2020/07/19 4,446
1096479 베르사유 잼잇네요 4 넷플릭스 2020/07/19 2,624
1096478 우아한 친구들에서 두 번 다 살인자가 같나요? 우아한 2020/07/19 2,880
1096477 Tvn 은 표절전문 방송인데요. 5 토왜아웃 2020/07/19 1,992
1096476 클린트 이스트우드 그랜토리노 정말 수작이네요.. 8 영화추천 2020/07/19 1,734
1096475 주부는 너무 힘드네요. 20 어맛 2020/07/19 7,085
1096474 전세, 월세 뭐가 다른가요? 2 2020/07/19 1,256
1096473 웹툰추천해주세요 한번보고나니 빠져드네요ㅎ 9 웹툰 2020/07/19 2,042
1096472 나도 모르게 주치의가 바꼈어요. 4 .. 2020/07/19 1,775
1096471 깔끔한 사람은 우산도 항상 깔끔하게 정리하네요. 12 .. 2020/07/19 5,813
1096470 소파없이 사시는분 계신가요?? 14 ㅇㅇ 2020/07/19 3,540
1096469 재래시장 매니아남편, 쇼핑 후 저한테 짐 맡기고 걷겠대요 26 짐꾼 2020/07/19 5,424
1096468 중등국어 평가 vs 기출문제집요 3 중등맘 2020/07/19 1,138
1096467 옅은 갈색 상의는 무슨 색이랑 어울리나요? 16 햇살처럼 2020/07/19 3,8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