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의사분들 계실까요? 조직검사에 대해 궁금한게 있어요

777 조회수 : 1,370
작성일 : 2020-04-03 10:19:23
가족이 동네 2차병원에서 암 조직검사를 받고 음성판정을 받았습니다.
그 병원의 의사분을 못 믿는다기보단 제가 불안이 커서 다른 병원도 가보고 싶은 상황이구요.

1. 조직검사와 그 해석 자체는 2차병원이나 대학병원이나 결과의 차이가 없을까요?

2. 2차병원에서는 조직을 떼어다가 다른 곳에 검사를 의뢰하는 방식인 거 같은데, 그 의뢰하는 곳들이 믿을만한가요?

3. 어떤 분이 말하시길 어차피 불안해서 다시 대학병원을 간다고 한들 조직검사를 새로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의 조직을 떼어낸 검체을 가지고 의사가 다시 확인하는 수준이라 의미가 없다는데 이 말이 맞나요?

차라리 제 일이었으면 맘 편하게 음성이라 좋아했을텐데, 가장 사랑하는 사람의 일이다보니 기쁜 한편으로는 마음에 걱정이 사라지지 않습니다. 도움의 말씀을 청합니다.
IP : 117.111.xxx.94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20.4.3 10:22 AM (211.36.xxx.27) - 삭제된댓글

    의사아님.
    보통 1.2차 검사결과 혹은 소견서로 3차 병원 가는데 거기서 다시 검사 하는 경우 많아요. 너무 명확한 거 아니고서는 다시 찍어보자 다시 해보자 그래요. 검사결과를 가지고 가지 마시고. 3차 병원 가서 다시 검사해보세요.
    저흰 3차 병원만 4군데 갔어요. 처음 결과 나온 기록지 갖고 다른 곳도 갔는데 2군데서는 다시 검사했어요.

  • 2. ㅇㅇ네네
    '20.4.3 10:25 AM (121.141.xxx.138)

    저도 조직검사할 때 1차병원(유방외과)에서 조직검사 했었고, 조직슬라이드 받아서 상급병원에 제출했어요. 슬라이드랑 영상cd랑. 상급병원에서 조직검사는 다시 안했고 초음파는 다시 찍었어요. 조직검사가 잘 된걸 가져가면 다시 안하는거고 애매하면 또 하는거 아닐까요?

  • 3. 병리의사
    '20.4.3 10:30 AM (61.79.xxx.165)

    현직에 있는 사람으로 간단하게 답합니다

    1. 차이가 있을 수는 있으나 대부분은 없습니다

    2. 2차병원에서 의뢰하는 곳에서도 병리전문의가 판독하므로 믿을만 합니다.

    3. 대부분 2차병원에서 조직검사한 병리슬라이드를 가져가서 대학병원의 병리전문의에게 다시 판독만 받는 경우가 많지만 원한다면 다시 조직검사를 할 수도 있습니다

    어떤 조직인지, 판독하는 전문의의 경험과 지식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기도 하지만
    대부분 많이 생검하는 위, 대장, 유방 등은 대부분 전문의가 경험이 많아 틀릴 확률이 적습니다.

    병변의 모양이 애매하다 정도의 코멘트가 있다면 큰 기관에서의 재검사나 재판독의뢰도 고려해볼 수 있겠으나 별다른 코멘트 없이 그냥 음성이라고 한다면 걱정할 필요는 없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 4. ...
    '20.4.3 10:31 AM (189.121.xxx.3)

    결과가 다른 경우가 있다고 합니다
    같은 조직검사 슬라이드를 제출했는데도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097221 이게 딱 제 마음이네요 1 누리심쿵 2020/07/21 816
1097220 Their government-sponsored insuranc.. cometr.. 2020/07/21 658
1097219 이렇게먹을려고요 식단 2020/07/21 821
1097218 주변에서 제주도 많이 가나요?? 11 휴가 2020/07/21 3,198
1097217 술이 많이 취한 상태 9 궁금 2020/07/21 2,196
1097216 고등학생 헌혈 봉사점수관련 4 궁금 2020/07/21 1,356
1097215 매콤한 김치 뭐가 있을까요 1 . . . 2020/07/21 765
1097214 국 좋아라하는 남푠때문에 국 끓이려는데 8 ㅈㄷㄴ 2020/07/21 3,757
1097213 남자 33살나이면 아저씨 들을 나이 아닌거죠? 10 마녀 2020/07/21 3,279
1097212 박주민이 당대표감이 아니라는 이유가 18 ... 2020/07/21 1,941
1097211 청주부터 곡소리 시작됐나 봐요 24 ㅇㅇ 2020/07/21 25,369
1097210 샤워필터 가격이 80%나 올랐네요 3 HUGO 2020/07/21 2,910
1097209 낼아침에 먹을 된장찌개 그냥 둬도 되나요? 9 모모 2020/07/21 1,533
1097208 유치원 단짝친구 관계 오래 가나요? 13 궁금이 2020/07/21 3,272
1097207 마트에 양갈비 팔던데 이거 어떻게 요리해요? 6 질문 2020/07/21 1,333
1097206 슈링크 질문이요. 4 ... 2020/07/21 2,040
1097205 지금 어떤 펀드 들어가면 좋을까요 1 ㅇㅇ 2020/07/21 1,264
1097204 에버랜드와 한국 민속촌 가려 하는데 9 ... 2020/07/21 1,565
1097203 내년에 마흔인데 우울해요 19 ㄴㅇㄹ 2020/07/21 6,208
1097202 30대 남자들이 적극적이지 않는이유가 뭘까요? 28 샤샤 2020/07/21 10,677
1097201 이혼 6 이혼 2020/07/21 3,371
1097200 주식으로 올해 5억 벌고 손 털어요 124 ff 2020/07/21 36,526
1097199 20대 이하들이 마음고생이든 몸고생하는게 제일 마음이 쓰이지 않.. 2 .. 2020/07/21 1,297
1097198 예상연금수령액이 6개월전하고 많이 차이나네요? 3 최저시급알바.. 2020/07/21 2,152
1097197 보험 부담보 관련 아시는 분. 2 부담보 2020/07/21 1,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