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싱가포르, 후쿠시마산 식료품 수입금지 9년 만에 해제?"

방사능 올림픽 조회수 : 2,773
작성일 : 2020-03-01 09:19:40
싱가포르식품청(SFA)의 수입 금지 해제에 따라 후쿠시마시에서 나는 해산물 및 산딸기·야생 버섯 등은 물론 후쿠시마현 내 지역에서 나는 모든 식료품의 싱가포르 수입이 가능해졌다고 신문은 전했다.


https://news.v.daum.net/v/20200224154837549
IP : 125.134.xxx.38
1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phua
    '20.3.1 9:22 AM (1.230.xxx.96)

    싱가포르 미쳤네요, ㅠㅠㅠ

  • 2. 이젠
    '20.3.1 9:23 AM (118.139.xxx.63)

    그냥 대만, 싱가폴 등으로 여행을 안 가야겠어요.

  • 3. 노답왜구천지
    '20.3.1 9:23 AM (121.125.xxx.71)

    와우 필리핀, 싱폴 또 어디있죠? 후쿠시마 오픈한곳

  • 4. 싱가포르
    '20.3.1 9:27 AM (211.193.xxx.134)

    언론자유지수 세계 153위
    민주주의 지수 세계 75위


    출처 나무위키

  • 5. ㅇㅇㅇ
    '20.3.1 9:28 AM (73.22.xxx.51)

    태국도 후쿠시마 복숭아 백화점에서 비싸게 판다고 들었어요.
    태국에 있는 한국인 유투버가 태국에서 일식당 가지말라고 하더군요.

  • 6. 2월20일
    '20.3.1 9:31 AM (125.134.xxx.38)

    엠비씨 기사 중/

    최경숙 > 네, 지금 원래는 54개국에서 수입규제조치를 실시했는데 현재는 20개국에서 수입규제조치를 유지 중인데

    우리나라, 그 다음에 홍콩, 중국, 대만, 마카오, 미국에서 수입금지정책을 계속 유지하고 있고 처음에 실시했던 대로.

    나머지 15개국에서는 방사능 검사 증명서를 요구하거나 자국 내 검사를 강화하거나 이런 식의 후쿠시마산 일본산 식품에 대한 계속 검사를 강화하는 걸 유지 중입니다. 그러니까 그것에 대해선 계속 사실은 모든 나라가 방사능 오염에 대해서 신경 쓰고 있다는 것이거든요. 그것에 대해서 특별히 우리나라만 가지고 계속 시비를 거는데 이해할 수 없는 부분이 있습니다.

    ////// 홍콩, 중국, 대만, 마카오, 미국에서 수입금지정책을 계속 유지하고 있고 처음에 실시했던 대로.

    알바들이 자꾸 중국이랑 우리나라 외교 끊을려는 작전에 안휘말려야해요

    장기적으론 이것도 참 위험해요 IAEA는 벌써 후쿠시마 오염수 찬성하는쪽이구요 ㅡㅡ

    네 태국이 젤 먼저 벌써 수년전부터 후쿠시마산 복숭아 물꼬 터줬었어요

  • 7. 일본은
    '20.3.1 9:33 AM (222.120.xxx.44)

    끈질겨요. 자국민도 꺼려하는걸 ,돈 받고 남의 나라에 팔아먹네요.

  • 8.
    '20.3.1 9:34 AM (58.123.xxx.74)

    한국사는 왜구들 또 후쿠시마산 수입하라고
    목청 드높이겠군

  • 9.
    '20.3.1 9:36 AM (180.224.xxx.210)

    식자재는 어디에 들어가 있는 건지 모르잖아요.

    그래서 수입금지 말고는 어떻게 해도 피할 수 없는 건데 어쩔...

  • 10. ...
    '20.3.1 9:42 AM (121.173.xxx.158)

    제가 그래서 동남아산 식재료 찜찜해서 못사겠어요

  • 11. ...
    '20.3.1 9:42 AM (86.130.xxx.74)

    싱가포르에 일본제품 너무 많아요. 사람들이 심각성을 모르는듯 하더라고요

  • 12.
    '20.3.1 9:54 AM (73.22.xxx.51)

    유럽에서는 쌀을 더더욱 조심해야할 듯 해요.
    미국에서는 한국에서 먹는 것과 같은 short grain을 많이 경작하고 가격도 싸기 때문에
    굳이 후쿠시마 쌀을 수입하는 식당이 많지 않을 것 같지만
    유럽은 아예 쌀경작을 안하니까요.
    더구나 일식당이라면 한국쌀보다도 저렴한 후쿠시마산 쌀을 사용할 가능성이 더 높지않을까요.
    저흰 유럽가면 일식당에는 아예 안가는 걸로 하고 있어요.

  • 13. ...
    '20.3.1 10:03 AM (110.70.xxx.141)

    유럽에서 소비되는 쌀은 보통 이탈리아나 포르투갈 생산 또는 동남아 수입인데 그것도 못 믿겠어요.

  • 14. 아베와
    '20.3.1 10:30 AM (59.4.xxx.58)

    싱가포르 사이에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요.

  • 15. ㅇㅇㅇ
    '20.3.1 12:38 PM (222.97.xxx.75) - 삭제된댓글

    저는 싱가폴이
    후쿠시마 쌀 수입하고 있다고알고있어서
    작년에 갔을때 밥은 안먹었어요
    먹어도 안남미 만 먹고요

  • 16. 2014-2015
    '20.3.1 3:12 PM (14.34.xxx.79) - 삭제된댓글

    싱가포르에 있었는데 2014년말쯤 후쿠시마산 쌀 수입하기로 했다고 기사가 나왔고,
    그때 동남아 대부분 국가들이 다 후쿠시마 식재로 부분 개방했을거예요.
    그래서 쌀을 살때 호주산이나 뉴질랜드산 쌀만 골라서 샀었어요.
    일본계 백화점과 마트가 군데군데 많아서 일본산은 피해서 장을 보곤 했었는데
    싱가포르 사람들은 딱히 신경을 쓰지 않더라구요.
    한국 교민들만 관련 정보를 공유하면서 조심하는 분위기였어요.
    외식할때는 쌀 종류중에서 가늘고 길쭉하고 향이 나는 안남미를 사용하는
    볶음밥류를 먹고 초밥이나 일식처럼 한국식 쌀 종자를 사용하는건 안막었어요.
    그 당시에도 마트에 가면 후쿠시마산 일본 식재료 엄청 많았었어요.
    이젠 아예 전면 개방하겠다는걸 보니 모든 농수산물도 다 못믿겠네요.
    싱가포르가 농업,어업등 1차산업이 없다보니 모든걸 다 수입해야만 하는데
    이미 태국등을 통해서 후쿠시마산 2차 가공품을 수입했을테고...
    그냥 후쿠시마 그 자체가 되겠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074083 제빵 기구(머핀틀 식빵틀 etc...)안심하고 쓸만한거 사고싶은.. 5 ㅇㅇ 2020/05/14 1,225
1074082 정시 늘어나면 - 강남 최상위권은 확실히 유리할까요? 18 수능 2020/05/14 2,661
1074081 '어린이 괴질' 전세계 확산..영국 100명·뉴욕 102명 뉴스 2020/05/14 1,413
1074080 인천 학원강사 동선 숨긴 이유가 뭔가요? 21 2020/05/14 5,702
1074079 미스터 트롯 김희재 18 트로트 2020/05/14 4,152
1074078 재난 긴급생활비 신청한지 2주 넘었는데ᆢ 17 서울시 2020/05/14 2,826
1074077 하..카톡 톡딜 가르쳐주신분 ㅠㅠ 21 ... 2020/05/14 5,119
1074076 운전자보험 추천해주세요. 1 ... 2020/05/14 1,174
1074075 재개발예정 친정집 3 ... 2020/05/14 1,870
1074074 어제 신규 확진자 29명 10 ... 2020/05/14 2,736
1074073 82에 시민단체들 많군요 64 .. 2020/05/14 1,852
1074072 사돈 병문안 3 또나 2020/05/14 2,411
1074071 장나라 드라마 너무 자주 나오네요. 28 .... 2020/05/14 4,588
1074070 2주 다이어트 후기 (-1kg) 2 뽀로롱 2020/05/14 2,243
1074069 서울시 재난지원금 사용처 2 나마야 2020/05/14 970
1074068 어제 홈쇼핑에서 세라젬 방송하는거 보고 신청했는데요 5 세라젬 2020/05/14 2,668
1074067 마스크 안 쓰면 지하철 못 타게 하자 분노한 시민.jpg 20 와우 2020/05/14 5,683
1074066 프라이드 그린 토마토같은 영화 추천해주세요 20 안방극장 2020/05/14 2,232
1074065 안녕하세요. 암일 확률이 30라고 하내요 14 안녕하세요 2020/05/14 3,713
1074064 반려동물 떠나 보내신분~ 그후에 또 키우셨나요? 17 고민 2020/05/14 1,734
1074063 에이즈가 치료약은 있어도 백신은 없는거 맞죠? ㅇㅇ 2020/05/14 1,087
1074062 미성년자 자녀 통장에 입금 많이 해도 될까요? 2 2020/05/14 2,505
1074061 아이 생일 외식에 자긴 안간다는 남편 15 질문 2020/05/14 4,866
1074060 일원동 학군 어떤가요? 8 .. 2020/05/14 5,142
1074059 아스퍼거 성향의 남편과 자폐 스펙트럼에 있던 제 딸에 대한 글... 6 타요 2020/05/14 5,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