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과탐 중 물리 선택
1. ㅎㅎ
'19.2.27 11:01 PM (175.113.xxx.187) - 삭제된댓글화학 생물도 배워보고 선택해도 늦지않아요.
일단은 국영수부터 단단하게 만들어놓고
나중에 나중에 해도 됩니다.
제 아이는 일반고인데, 물화생지 고루 해보고
아무리 말려도 제 고집대로 물리 하더라구요.
결과도 괜찮았어요. 소수의 천재 아니지만요.2. 학부모
'19.2.27 11:02 PM (122.35.xxx.174)오해가 있을까봐 첨언...
지금 딸은 물리 학원을 계속 3월에도 등록하고 싶어하고 저는 물리 선택 할 것 아니면 그건 시간낭비니 그 시간에 수학 공부하면 어떨까 제안하고 있어요. 물리 학원을 계속 보내야 하는지요. 물리는 여고내신과목도 아니고 수능에서 물리 선택이 불리할듯 하기도 해서요.3. ㅎㅎ
'19.2.27 11:02 PM (175.113.xxx.187)화학 생물도 배워보고 선택해도 늦지않아요.
일단은 국영수부터 단단하게 만들어놓고
나중에 나중에 심지어 고3 올라가면서 선택해도 됩니다.
제 아이는 일반고인데, 물화생지 고루 해보고
아무리 말려도 제 고집대로 물리 하더라구요.
결과도 괜찮았어요. 소수의 천재 아니지만요.4. ㅎㅎ
'19.2.27 11:03 PM (175.113.xxx.187)과고 영재고 아니면
지금부터 할 필요 없어요.5. ...
'19.2.27 11:04 PM (116.39.xxx.160) - 삭제된댓글올해 서울권 의대 학종으로 입학했어요
중3 겨울에 화학 물리 선행 하고 입학해서 내신에 도움 많이 되었어요
수능은 생명 지학 선택했고요
내신에서 물1 안들어가는 학교 본적이 없는데 이상하네요 이과면 고1 2 3에서 물1을 선택할수 밖에 없을텐데요 한번더 알아보시고 만약에 물리 없는 학교라면 학종으로 의대 힘을다고 보고요 물리 없는 학교면 심화과목 개설 안되어 있을테고요 학종에서는 타학교에 많이 밀릴거예요
교과나 정시로 준비해야 할듯요6. 교과과정
'19.2.27 11:14 PM (39.7.xxx.195)고1 통합과학
교과과정 바뀌었어요.
2000년생 입시는 또 과거로7. 학부모
'19.2.27 11:28 PM (122.35.xxx.174)여긴 지방 광역시에요.
이 도시의 경우엔 남자 고등학교는 물리 과목이 개설되어 있고,
여자 고등학교는 내신 과목으로 물리를 다루어 주는 곳이 드물더라구요.
그러다보니 116님 말씀처럼, 학종으로 의대 못가요.ㅠ 거의 교과나 정시로 가죠.8. ..
'19.2.27 11:44 PM (223.39.xxx.241)제가 쓴 글인줄.. 집근처 일반고 학교들 이번 고2 내신 물리반이 개설이 안되었다네요. 인원수미달로. 공학도요. 근처 과학학원에 한번 여쭤보셔요..
9. 물리학과
'19.2.27 11:45 PM (1.241.xxx.135)수능 물2 도맞았는데
그해 물2가 만점자가많아서 변환점수가 망했어오
설 물리 떨어졌어요
물리는 맞는아이들은 어렵지않고 재밌다고해요
맞지않는 아이는 해도 어렵다하는데 아이는 맞나보네요
혹 나중에 공대가려면 물리 필수고오10. 고딩맘
'19.2.27 11:55 PM (122.37.xxx.47)이미 입시 치른 대딩과 현고3 학생들하고 현고2 고1 입시는 많이 달라요.
특히 올해 입학하는 고1 부터는 통합교육으로 바뀌어 통합과학 통합사회를 수능과목으로
다보고 탐구과목을 1과목만 수능에서 봅니다.
특히 여고는 물1 선택하는 인원이 극소수라 개설되는 학교가 거의 없어요.
그래서 본인 아이 입시에 대해 알고 있다고 전부 알고 있다고 생각하심 안돼요.
저도 입시에 대해 다 아는게 아니니 정확한 정보라 자신있게 말씀 드리진 못하겠지만
입시 싸이트에 매일 상주하다시피 해서 얻은 정보로는
물리는 처음 진입이 어렵지 한번 상위권에 올려 놓으면 좀처럼 성적변동이 없는 과목이라
선호하는 학생들은 꿀과목이라고 해요.
오히려 화, 생이 2등급까지는 진입이 쉬운데 1등급하기가 아주 어렵다고 해요.
타임어택도 심해서 1등급 유지도 쉽지 않고요.
다만 수능과목을 내신에 없는 과목으로 하면 교과와 수능을 다잡아야 의대를 갈텐데
쉽지 않은 길이죠.
지학은 내신에 없어도 워낙 꿀과목이라고 소문나서 수능과목으로 가져가는 학생이 많은데
물리를 그렇게 하는 학생은 별로 없는것도 사실이에요.
결정은 학생이 해야겠지만요.11. 학부모
'19.2.28 12:01 AM (122.35.xxx.174)122님, 제가 알기론 통합과학은 현 고1 중3경우, 내신에 있을 뿐이지 통합과학이란 과목을 수능에서 보진 않는 걸로 알고 있었어요...다시 알아봐야 겠네요
12. T
'19.2.28 12:02 AM (14.40.xxx.224) - 삭제된댓글사교육 과학(정확히는 화학)강사입니다.
여고는 물리1이 개설되지 않는 학교가 꽤 있어요.
선택자가 너무너무 없거든요.
남녀 공학에서도 물리1선택자는 많지 않아요.
지금 고1이 된다면 수능에서 과학2 과목이 없어질 가능성이 매우매우매우매우매우 높구요.
학교에서 물리1이 개설되지 않는다면 물리1을 수능에서 선택하는 아이들은 정시와 내신 과목이 분리 되면서 학습 부담이 커지게 됩니다.
지금 고등 심화 과학을 나가면서 즐거운거 아닌가요?
그럼 화1도 함께 진행해보세요.
과학에 흥미를 느끼는 아이라면 화학도 충분히 즐거울겁니다.
의대 목표면 물1보다 화1이 도움될거고 물1 만큼은 아니지만 수학 좋아하는 아이라면 생1이나 지1보다는 화1이 만배쯤 즐겁게 수업할수 있을듯요.13. T
'19.2.28 12:10 AM (14.40.xxx.224) - 삭제된댓글원글님이 맞습니다.
다음주부터 고1이 되는 아이들은 통합사회, 통합과학은 고1 내신으로만 들어가고 수능과목으로는 들어가지 않습니다.
문이과 부분없이 사탐과탐을 선택해 듣게 되는데 수능은 사탐과탐 상관없이 택2면 되지만 대학이(특히 이과) 특정탐구 2과목을 지정할 가능성이 높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