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4세 아이를 두고 있는 엄마예요.
82에 여쭤보는게 제일 정확할 것 같아서요.
다름이 아니라 자녀분들 유아기때 한글나라? 같은 한글 학습지를
일찍 시작했던 아이들은 늦게 시작한 아이들보다 똑똑하다고 생각하시나요?
현재4세 아이를 두고 있는 엄마예요.
82에 여쭤보는게 제일 정확할 것 같아서요.
다름이 아니라 자녀분들 유아기때 한글나라? 같은 한글 학습지를
일찍 시작했던 아이들은 늦게 시작한 아이들보다 똑똑하다고 생각하시나요?
백퍼 아니라고 대답해요.
절대 아니죠.
200프로 아니죠
2살때 낱말카드 직접 만들어서
카드놀이하면서 한글 뗏어요.
유아기때 장삿속에 넘어가면
교육비 감당 못해요.
절대로 아닙니다.
4살에 한글나라로 한글 뗀 큰아이보다 7살초에 유치원에서 혼자만 한글 모른다고 가르쳐달라고 했던 작은 애가 훨씬 월등했어요
모두 대학 졸업하고 취업했고 작은애는 전문직이에요
전문직 코스 들어간 아이 7살에 한글 가르쳤어요
대신 호기심은 자극시키고 책 많이 읽어줬어요
남들 하는거에 심장 벌렁거리지 않을 다짐에 다짐 하시고
나중에 쓰게 종자돈을 모으세요
아닙니다. 상술에 속지 마세요.
그 돈으로 아이랑 함께 한국 곳곳 여행 다니세요~
어릴때 절대 돈 쓰지말고 모으세요~
체험과 대화를 많이 해야해요.
한글보다.
세살에 1년 걸리는게 6살엔 3주걸리더군요.
아이 병설에 보냈었는데 병설은 한글지도를 안하더군요.( 6-7살) 그런데 샘들께서 7살즈음되면 희한하게 스스로 한글을 떼더라고.. 어릴때 학습지 전집 비용으로 여행 체험다니시고 책은 도서관에서 보세요..
항상 아이들과 같이 책을 읽고, 같이 놀아주고, 체험도 아이들의 흥미 위주로 다양하게 함께 해주세요.
한글은 아이가 질문하기 시작하면 처음엔 읽어주는 정도로...
나중엔 좋아하는 책제목 정도는 다른 곳에서 술술 읽어낸답니다.
그럴때 자극해보세요...한글 배워볼까?
둘 아이 모두 취학전 해에 한두달만에 한글 마스터 했습니다.
같이 많은 책을 읽어주는 것이 제일 중요하다고 봅니다.
동시에 엉덩이 붙히고 않아 집중하는 법도 길들이게 됩니다.
공부하는 습관을 공부로 붙혀주는 것은 아이들에겐 괴로움입니다.
좋아하는 활동을 즐기며 집중해서 할 수 있는 시간들을 쌓아주세요...
학령기가 되면 자연스럽게 스스로 앉아 과제를 하고, 시험공부를 하는 아이를 볼 수 있을거라 여깁니다.
이런 아이들은 대입까지 이어지고,
본인이 좋아하고, 잘 할 수 있는 학과 선택도 할 수 있답니다.
목표가 분명하고 목표를 위해 노력할 줄도 알아요...
두 아이 모두 유치원부터 일을 하며 키웠답니다.
초등 고학년까지 과외는 물론 학원도 보내지 않았습니다.
두 아이 모두 필요한 시기에 스스로 학원수강이나 인강을 원해 한두해 학원을 다녔습니다.
현재 두녀석 모두 스카이 공대 재학중입니다.
대학에서도 변함없이 공부를 즐기고 열심히 하는 모습이 자랑스럽습니다.
주변에서 아아들의 입결로 인해 많은 질문들을 받습니다.
매번 강조합니다.
어릴땐 함께 충분히 즐겨주라고, 독서도, 놀이도, 다른 활동도. . .
조등 이후엔 스스로 원하는 관심꺼리에 대해선 같이 찾아주고, 지원이 필요하면 학교공부와 상관없이 다양하게 아끼지 않았습니다.
많은 직, 간접 경험속에서 아이들이 스스로 찾아낸답니다.
유명한 소아청소년정신과 전문의가 말했습니다.
아이들이 최소 초등학교까지는 많은 체험을 해보도록 해주어야한다.
이는 대뇌발달에 상당한 도움이 되고, 정신적으로도 건강한 성인으로 자랄수있도록 도움을 준다라고...
한글은 6살에 혼자 깨우쳤습니다.
겨우 초등학부모지만 유아기때 한글나라, 오르다, 프뢰벨 등 몇백씩하는 교구. 아무 쓸모 없는거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