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서울에 1가구1주택 세상이 오면 어떻게 될까요?

궁금해요 조회수 : 1,443
작성일 : 2018-09-17 13:49:08

그런데 가격이 안 떨어지고 이 상태가 유지된다면 어떻게 될까요?

1주택자가 세금 못 견뎌 팔때까지 계속 이 높은 세금을 유지하던지 더 올리던지 할까요?

아니면 1가구 1주택의 공평한 세상이 왔으니 이젠 만족스러워 할까요..

투기꾼이 없어졌으니까요..

IP : 183.98.xxx.197
2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8.9.17 1:56 PM (39.7.xxx.113)

    지금 1가구1주택이 아니라 불만인게 아니라
    과도한 대출과 잘못된 정책과 관리로 인한 투기세력에 의한 폭등때문에 벌어지는 불균형에 대한 불만인거죠
    우리나라가 자본주의인데
    부자들이 몇십채 있는거 아무도 뭐라 안해요
    다만 전세제도를 악용하고 탈세하면서 없는 사람들을 힘들게하고 있어서 욕먹는거구요
    왜 무주택자 또는 일주택자들이 다주택자들에 대해 배아파한다고만 생각하세요?
    제대로 정신박힌 사람은 투기할 생각하지 않고 사는게 정상이예요

  • 2. 윗님
    '18.9.17 2:00 PM (183.98.xxx.197)

    참 말씀 어렵게 하시네요..
    그러니까 마지막 말씀하신대로 정신 제대로 박히지 않은 사람들 세금 많이 부과해서 투기 못하게 하는게 지금 정책이잖아요. 그래서 정말로 그런 정의로운 사회가 왔다면..다시 말해 그 투기꾼이 빠져나가고 아주 공평한 1가구1주택이 온다면 ..
    어떻게 될까요..라고 물었잖아요..
    투기꾼이 빠져나가고 거의 완벽하게 공평한 1가구 1주택의 세상이 왔는데도 오른다면..
    또는 여기서 더 떨어지지 않고 유지가 된다면..그땐 이 사실을 어떻게 받아들일까 하고 물었어요..

  • 3. 친정엄마가
    '18.9.17 2:02 PM (183.98.xxx.197) - 삭제된댓글

    없애던지.아니면 간소화시켜 본인이 계속 지내던지 절에서 하던지 해야지..
    본인은 편하고 싶고 남편제사 없애자니 눈치보이고 며느리는 한번 부려보고 싶고
    님 친정엄마가 문제에요..
    님 친정엄마 이기심으로 죽은 아버지 불쌍해졌고..며느리 멘붕오고..딸은 아버지 제사도 못 가게 되었고..

  • 4. ...
    '18.9.17 2:03 PM (103.31.xxx.42)

    집 못사는 사람들은 그런 세상 와도 집 못사고 불만족스러워해요.
    그런 세상이 와도 1주택자들을 기득권 취급하면서 세금 물리길 바라겠죠.
    투기꾼만 욕심이 많은게 아니라, 사실은 무주택자들, 집값이 떨어지길 바라는 사람들도 욕심이 많은거에요.

  • 5. 솔직히
    '18.9.17 2:07 PM (183.98.xxx.197)

    저는 이번 주택은 1주택자라도 세금 감당안되면 팔아라...이거더라구요.
    댓글은 그 주택 오른게 얼마인데 그 세금 감당이 안되냐..그럼 팔아라..이러잖아요.
    그 댓글을 그대로 정책으로 가져간 것 같아요.
    그런데..말이에요.
    세금 감당안되어 시장에 나온 매물을 세금감당해가면서 받아먹을 사람들이 얼마나 될까요?
    결국 지방유지나 부모에게 한 재산 받은 금수저가 또 그 매물을 받겠죠.
    ( 대출도 안되니 흙수저 개룡은 못 사고요..)
    결국 공평한 1가구 1주택 시대가 오더라도
    그 집 세금 감당할 능력이 되는 사람들로 재편될뿐
    지금 댓글 열심히 달면서 세금폭탄 외치는 사람들 순서까지는 안 올것 같다요..

  • 6. 원글님
    '18.9.17 2:10 PM (221.139.xxx.159) - 삭제된댓글

    에 대한 답을 하자면......
    그렇게 완전 규제가 이루어 진다면 가격은 반토막도 안될 거예요.
    집이 사람보다 많으니까.
    수도권 인구가 2500만명인데 주택이 1700만호가 넘어요
    그 중 아파트가 100만호가 넘고 일반주택이 700만호 정도
    1세대1주택....1세대 가족수를 평균 2.5명 정도로 잡으면
    [2015년 평균 2.8명으로 조사 됨....]
    2500만영 나누기 2.5명 하면 1000만세대 나오는 거죠

    근데 집은 1700만호.......700만호가 남습니다. 수도권에
    아파트만으로도 커버가 될 정도죠.

    다시말해 수요보다 공급이 더 많아요.
    당연 값은 급락하겠죠.

    근데 현실은 다주택자들이 가수요를 만들어 공급이 부족한 상태를 만든는 거죠.

  • 7. 원글님
    '18.9.17 2:11 PM (221.139.xxx.159) - 삭제된댓글

    에 대한 답을 하자면......
    그렇게 완전 규제가 이루어 진다면 가격은 반토막도 안될 거예요.
    집이 사람보다 많으니까.
    수도권 인구가 2500만명인데 주택이 1700만호가 넘어요
    그 중 아파트가 100만호가 넘고 일반주택이 700만호 정도
    1세대1주택....1세대 가족수를 평균 2.5명 정도로 잡으면
    [2015년 평균 2.8명으로 조사 됨....]
    2500만영 나누기 2.5명 하면 1000만세대 나오는 거죠

    근데 집은 1700만호.......700만호가 남습니다. 수도권에
    아파트만으로도 커버가 될 정도죠.

    다시말해 수요보다 공급이 더 많아요.
    당연 값은 급락하겠죠.

    근데 현실은 다주택자들이 가수요를 만들어 공급이 부족한 상태를 만드는 거죠.

  • 8. 원글님
    '18.9.17 2:11 PM (175.223.xxx.111)

    이번 정책에 18억하는 집(그것도 공동명의로 하면 25억도 해당안됨) 종부세가 고작 10만원 내던데
    대체 어딜봐서 세금폭탄이고 1주택자 집팔라던
    정책이던가요?

  • 9. 윗님
    '18.9.17 2:12 PM (183.98.xxx.197)

    헐..지금 서울 1가구 1주택이 서울 거주자만 해당된다고 보시는 거에요?
    지방 사람들도 엄청 많이 삽니다.
    이번에 그래서 지방 집값이 우두두 떨어진거잖아요.
    지방팔고 서울 똘똘한 한채 산다고요...

  • 10. 아미타
    '18.9.17 2:12 PM (221.139.xxx.159) - 삭제된댓글

    에 대한 답을 하자면......
    그렇게 완전 규제가 이루어 진다면 가격은 반토막도 안될 거예요.
    집이 사람보다 많으니까.
    수도권 인구가 2500만명인데 주택이 1700만호가 넘어요
    그 중 아파트가 1000만호가 넘고 일반주택이 700만호 정도
    1세대1주택....1세대 가족수를 평균 2.5명 정도로 잡으면
    [2015년 평균 2.8명으로 조사 됨....]
    2500만영 나누기 2.5명 하면 1000만세대 나오는 거죠

    근데 집은 1700만호.......700만호가 남습니다. 수도권에
    아파트만으로도 커버가 될 정도죠.

    다시말해 수요보다 공급이 더 많아요.
    당연 값은 급락하겠죠.

    근데 현실은 다주택자들이 가수요를 만들어 공급이 부족한 상태를 만드는 거죠.

  • 11. 원글님
    '18.9.17 2:13 PM (221.139.xxx.159) - 삭제된댓글

    에 대한 답을 하자면......
    그렇게 완전 규제가 이루어 진다면 가격은 반토막도 안될 거예요.
    집이 사람보다 많으니까.
    수도권 인구가 2500만명인데 주택이 1700만호가 넘어요
    그 중 아파트가 1000만호가 넘고 일반주택이 700만호 정도
    1세대1주택....1세대 가족수를 평균 2.5명 정도로 잡으면
    [2015년 평균 2.8명으로 조사 됨....]
    2500만영 나누기 2.5명 하면 1000만세대 나오는 거죠

    근데 집은 1700만호.......700만호가 남습니다. 수도권에
    아파트만으로도 커버가 될 정도죠.

    다시말해 수요보다 공급이 더 많아요.
    당연 값은 급락하겠죠.

    근데 현실은 다주택자들이 가수요를 만들어 공급이 부족한 상태를 만드는 거죠.

  • 12. 윗님....
    '18.9.17 2:15 PM (221.139.xxx.159) - 삭제된댓글

    지방사는 사람들이 서울집 사는 것도 가수요죠.
    1세대 1주택에 실거주요건 까지 들어가면 지방 가수요는 많지 않을 거예요.
    원글님이 말한 규제는 거의 이상적인 상태죠. 거의 토지공개념 수준인 거죠.

  • 13. 원글님
    '18.9.17 2:33 PM (221.139.xxx.159) - 삭제된댓글

    이 말한 세상을 위한 정책이 현실적으로 보유세 강화로 나타나는 겁니다.
    현재보다 3~5배 강한 정책을 세우면 이룰 수 있죠.
    2주택자부터 보유세가 몇백만원 수준으로 끌어 올리면
    주택을 여러채 가질 수가 없게 되겠죠.
    2주택자 이상 20억 하는 주택도 몇백만원에서 몇천만원 보유세를 내라하면
    다 팔지 않을 까요.

  • 14. 그러니까요
    '18.9.17 2:35 PM (183.98.xxx.197)

    정말 1가구 1주택자 세상이 서울에 펼쳐졌는데도..
    그럼에도 불구하고 집값이 떨어지지 않는다면 그래도 계속 세금을 올릴 것인가..
    아니면 유지할 것인가..내릴것인가..

  • 15. ..
    '18.9.17 2:45 PM (175.223.xxx.70)

    공산당이네요

  • 16. 1세대1주택
    '18.9.17 2:47 PM (221.139.xxx.159) - 삭제된댓글

    자에 대한 세금은 거의 사라지겠죠.
    20억 30억하는 아파트가 얼마 없을테니
    일부 고급아파트만 남겠죠. 그에 대한 세금은 있을 수 있으니까.

    그럼에도 집값이 안 덜어진다는 것은 현 경제상황으로는 그럴 수 없어요.
    월급자들이 알바생들이 현재의 가격으론 집을 살 수 없으니.

  • 17. ..님
    '18.9.17 2:49 PM (221.139.xxx.159) - 삭제된댓글

    공산당이라는 무식한 생각....
    토지공개념이 사회주의적인 개념이긴 해도 공산당은 아니에요.
    어찌 그리 수구꼴통들이 생각것과 같으실까.

  • 18. 현실적으로는
    '18.9.17 2:54 PM (221.139.xxx.159) - 삭제된댓글

    공공주택 보급율을 획기적으로 늘리는 것이 최선인 것 같아요.
    공공용지는 무조건 장기임대(저렴하게 월세, 전세)으로만 분양원가로만 토지값 없이.
    민간용지도 임대부분을 30%가까이 의무적 공급.

    공공주택비율이 3~40%로 올라가면 집값 올라갈 수 없죠.

  • 19. .,.
    '18.9.17 3:03 PM (210.184.xxx.196)

    그땐 1주택자중 좋은 동네 사는 사람들에게 세금 많이 물리라고 하겠죠.
    사촌이 땅을 사면 배가 아픈 민족, 배 고픈건 참아도 배 아픈건 못 참는 민족인데요.

  • 20. 원글이
    '18.9.17 3:04 PM (221.139.xxx.159) - 삭제된댓글

    정상이 아니었구나...
    제 댓글 다 지웁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855426 보이스3 2019년에 한데요 11 2018/09/17 1,693
855425 여기 보면 주로 자기 딸뻘 여자에게 더 질투 하는것 같아요 9 ... 2018/09/17 2,854
855424 (죄송) 아들이 고3인데 치질 수술 .. 지금 해도 될까요? 27 ㅠㅠ 2018/09/17 3,113
855423 일본열도는 안가라앉을까요 32 ㅇㅇ 2018/09/17 3,625
855422 에그타르트필링으로 에그파이 만들어도 되겠죠? 2018/09/17 409
855421 부산에 있다 대구왔는데 5 대구사람 2018/09/17 2,006
855420 왕따 문제 9 ... 2018/09/17 1,474
855419 아는체 하기 싫은 사람이 지나가면 어떻게 하세요 6 ? 2018/09/17 2,413
855418 위안부 비하망언한 순천대 교수, 징역 6개월 선고 ‘법정구속’ 14 파면 2018/09/17 1,508
855417 광화문 출퇴근이 편한 주거지 추천 부탁드려요 8 ㅁㅁ 2018/09/17 1,626
855416 가위눌리며 보이는 사람은 그 집에사는 귀신인가요? 12 2018/09/17 4,048
855415 내가 남자라도 언론사에 까발리겠네요 7 요망한구씨 2018/09/17 1,759
855414 이런말 하는 사람심리 5 사람 2018/09/17 1,200
855413 저질체력엔 무슨 운동이 좋나요 15 힘들다 2018/09/17 3,940
855412 전세자금대출 안해주나요? 2 무주택자 2018/09/17 1,541
855411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가 많은가요 도와주세요! 11 감사 2018/09/17 3,227
855410 숟가락 이재명선생은 새기사가 떳네요. 11 08혜경궁 2018/09/17 1,856
855409 전도연 김민희 닮았어요 6 사랑스러움 2018/09/17 2,780
855408 5세아이 배도라지청 매일 먹여도 괜찮을까요? 5 노랑이11 2018/09/17 2,181
855407 아직도 친일파가 있고 남북대화 3 다안다 2018/09/17 443
855406 슈퍼맨이 돌아왔다.. 어디까지가 설정일까요? 18 슈퍼맨 2018/09/17 6,172
855405 아무리 많이 먹어도 살 안 찌는 사람이 진짜 있나요? 20 트루 2018/09/17 3,809
855404 계란말이에 제일 잘 어울리는 채소는 뭔가요? 21 요리 2018/09/17 3,162
855403 우리밀을 소비 안해서 폐기할 위기라네요. 22 ... 2018/09/17 3,591
855402 카카오뱅크 대출 7 신기 2018/09/17 1,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