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서울에 1가구1주택 세상이 오면 어떻게 될까요?

궁금해요 조회수 : 1,443
작성일 : 2018-09-17 13:49:08

그런데 가격이 안 떨어지고 이 상태가 유지된다면 어떻게 될까요?

1주택자가 세금 못 견뎌 팔때까지 계속 이 높은 세금을 유지하던지 더 올리던지 할까요?

아니면 1가구 1주택의 공평한 세상이 왔으니 이젠 만족스러워 할까요..

투기꾼이 없어졌으니까요..

IP : 183.98.xxx.197
2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8.9.17 1:56 PM (39.7.xxx.113)

    지금 1가구1주택이 아니라 불만인게 아니라
    과도한 대출과 잘못된 정책과 관리로 인한 투기세력에 의한 폭등때문에 벌어지는 불균형에 대한 불만인거죠
    우리나라가 자본주의인데
    부자들이 몇십채 있는거 아무도 뭐라 안해요
    다만 전세제도를 악용하고 탈세하면서 없는 사람들을 힘들게하고 있어서 욕먹는거구요
    왜 무주택자 또는 일주택자들이 다주택자들에 대해 배아파한다고만 생각하세요?
    제대로 정신박힌 사람은 투기할 생각하지 않고 사는게 정상이예요

  • 2. 윗님
    '18.9.17 2:00 PM (183.98.xxx.197)

    참 말씀 어렵게 하시네요..
    그러니까 마지막 말씀하신대로 정신 제대로 박히지 않은 사람들 세금 많이 부과해서 투기 못하게 하는게 지금 정책이잖아요. 그래서 정말로 그런 정의로운 사회가 왔다면..다시 말해 그 투기꾼이 빠져나가고 아주 공평한 1가구1주택이 온다면 ..
    어떻게 될까요..라고 물었잖아요..
    투기꾼이 빠져나가고 거의 완벽하게 공평한 1가구 1주택의 세상이 왔는데도 오른다면..
    또는 여기서 더 떨어지지 않고 유지가 된다면..그땐 이 사실을 어떻게 받아들일까 하고 물었어요..

  • 3. 친정엄마가
    '18.9.17 2:02 PM (183.98.xxx.197) - 삭제된댓글

    없애던지.아니면 간소화시켜 본인이 계속 지내던지 절에서 하던지 해야지..
    본인은 편하고 싶고 남편제사 없애자니 눈치보이고 며느리는 한번 부려보고 싶고
    님 친정엄마가 문제에요..
    님 친정엄마 이기심으로 죽은 아버지 불쌍해졌고..며느리 멘붕오고..딸은 아버지 제사도 못 가게 되었고..

  • 4. ...
    '18.9.17 2:03 PM (103.31.xxx.42)

    집 못사는 사람들은 그런 세상 와도 집 못사고 불만족스러워해요.
    그런 세상이 와도 1주택자들을 기득권 취급하면서 세금 물리길 바라겠죠.
    투기꾼만 욕심이 많은게 아니라, 사실은 무주택자들, 집값이 떨어지길 바라는 사람들도 욕심이 많은거에요.

  • 5. 솔직히
    '18.9.17 2:07 PM (183.98.xxx.197)

    저는 이번 주택은 1주택자라도 세금 감당안되면 팔아라...이거더라구요.
    댓글은 그 주택 오른게 얼마인데 그 세금 감당이 안되냐..그럼 팔아라..이러잖아요.
    그 댓글을 그대로 정책으로 가져간 것 같아요.
    그런데..말이에요.
    세금 감당안되어 시장에 나온 매물을 세금감당해가면서 받아먹을 사람들이 얼마나 될까요?
    결국 지방유지나 부모에게 한 재산 받은 금수저가 또 그 매물을 받겠죠.
    ( 대출도 안되니 흙수저 개룡은 못 사고요..)
    결국 공평한 1가구 1주택 시대가 오더라도
    그 집 세금 감당할 능력이 되는 사람들로 재편될뿐
    지금 댓글 열심히 달면서 세금폭탄 외치는 사람들 순서까지는 안 올것 같다요..

  • 6. 원글님
    '18.9.17 2:10 PM (221.139.xxx.159) - 삭제된댓글

    에 대한 답을 하자면......
    그렇게 완전 규제가 이루어 진다면 가격은 반토막도 안될 거예요.
    집이 사람보다 많으니까.
    수도권 인구가 2500만명인데 주택이 1700만호가 넘어요
    그 중 아파트가 100만호가 넘고 일반주택이 700만호 정도
    1세대1주택....1세대 가족수를 평균 2.5명 정도로 잡으면
    [2015년 평균 2.8명으로 조사 됨....]
    2500만영 나누기 2.5명 하면 1000만세대 나오는 거죠

    근데 집은 1700만호.......700만호가 남습니다. 수도권에
    아파트만으로도 커버가 될 정도죠.

    다시말해 수요보다 공급이 더 많아요.
    당연 값은 급락하겠죠.

    근데 현실은 다주택자들이 가수요를 만들어 공급이 부족한 상태를 만든는 거죠.

  • 7. 원글님
    '18.9.17 2:11 PM (221.139.xxx.159) - 삭제된댓글

    에 대한 답을 하자면......
    그렇게 완전 규제가 이루어 진다면 가격은 반토막도 안될 거예요.
    집이 사람보다 많으니까.
    수도권 인구가 2500만명인데 주택이 1700만호가 넘어요
    그 중 아파트가 100만호가 넘고 일반주택이 700만호 정도
    1세대1주택....1세대 가족수를 평균 2.5명 정도로 잡으면
    [2015년 평균 2.8명으로 조사 됨....]
    2500만영 나누기 2.5명 하면 1000만세대 나오는 거죠

    근데 집은 1700만호.......700만호가 남습니다. 수도권에
    아파트만으로도 커버가 될 정도죠.

    다시말해 수요보다 공급이 더 많아요.
    당연 값은 급락하겠죠.

    근데 현실은 다주택자들이 가수요를 만들어 공급이 부족한 상태를 만드는 거죠.

  • 8. 원글님
    '18.9.17 2:11 PM (175.223.xxx.111)

    이번 정책에 18억하는 집(그것도 공동명의로 하면 25억도 해당안됨) 종부세가 고작 10만원 내던데
    대체 어딜봐서 세금폭탄이고 1주택자 집팔라던
    정책이던가요?

  • 9. 윗님
    '18.9.17 2:12 PM (183.98.xxx.197)

    헐..지금 서울 1가구 1주택이 서울 거주자만 해당된다고 보시는 거에요?
    지방 사람들도 엄청 많이 삽니다.
    이번에 그래서 지방 집값이 우두두 떨어진거잖아요.
    지방팔고 서울 똘똘한 한채 산다고요...

  • 10. 아미타
    '18.9.17 2:12 PM (221.139.xxx.159) - 삭제된댓글

    에 대한 답을 하자면......
    그렇게 완전 규제가 이루어 진다면 가격은 반토막도 안될 거예요.
    집이 사람보다 많으니까.
    수도권 인구가 2500만명인데 주택이 1700만호가 넘어요
    그 중 아파트가 1000만호가 넘고 일반주택이 700만호 정도
    1세대1주택....1세대 가족수를 평균 2.5명 정도로 잡으면
    [2015년 평균 2.8명으로 조사 됨....]
    2500만영 나누기 2.5명 하면 1000만세대 나오는 거죠

    근데 집은 1700만호.......700만호가 남습니다. 수도권에
    아파트만으로도 커버가 될 정도죠.

    다시말해 수요보다 공급이 더 많아요.
    당연 값은 급락하겠죠.

    근데 현실은 다주택자들이 가수요를 만들어 공급이 부족한 상태를 만드는 거죠.

  • 11. 원글님
    '18.9.17 2:13 PM (221.139.xxx.159) - 삭제된댓글

    에 대한 답을 하자면......
    그렇게 완전 규제가 이루어 진다면 가격은 반토막도 안될 거예요.
    집이 사람보다 많으니까.
    수도권 인구가 2500만명인데 주택이 1700만호가 넘어요
    그 중 아파트가 1000만호가 넘고 일반주택이 700만호 정도
    1세대1주택....1세대 가족수를 평균 2.5명 정도로 잡으면
    [2015년 평균 2.8명으로 조사 됨....]
    2500만영 나누기 2.5명 하면 1000만세대 나오는 거죠

    근데 집은 1700만호.......700만호가 남습니다. 수도권에
    아파트만으로도 커버가 될 정도죠.

    다시말해 수요보다 공급이 더 많아요.
    당연 값은 급락하겠죠.

    근데 현실은 다주택자들이 가수요를 만들어 공급이 부족한 상태를 만드는 거죠.

  • 12. 윗님....
    '18.9.17 2:15 PM (221.139.xxx.159) - 삭제된댓글

    지방사는 사람들이 서울집 사는 것도 가수요죠.
    1세대 1주택에 실거주요건 까지 들어가면 지방 가수요는 많지 않을 거예요.
    원글님이 말한 규제는 거의 이상적인 상태죠. 거의 토지공개념 수준인 거죠.

  • 13. 원글님
    '18.9.17 2:33 PM (221.139.xxx.159) - 삭제된댓글

    이 말한 세상을 위한 정책이 현실적으로 보유세 강화로 나타나는 겁니다.
    현재보다 3~5배 강한 정책을 세우면 이룰 수 있죠.
    2주택자부터 보유세가 몇백만원 수준으로 끌어 올리면
    주택을 여러채 가질 수가 없게 되겠죠.
    2주택자 이상 20억 하는 주택도 몇백만원에서 몇천만원 보유세를 내라하면
    다 팔지 않을 까요.

  • 14. 그러니까요
    '18.9.17 2:35 PM (183.98.xxx.197)

    정말 1가구 1주택자 세상이 서울에 펼쳐졌는데도..
    그럼에도 불구하고 집값이 떨어지지 않는다면 그래도 계속 세금을 올릴 것인가..
    아니면 유지할 것인가..내릴것인가..

  • 15. ..
    '18.9.17 2:45 PM (175.223.xxx.70)

    공산당이네요

  • 16. 1세대1주택
    '18.9.17 2:47 PM (221.139.xxx.159) - 삭제된댓글

    자에 대한 세금은 거의 사라지겠죠.
    20억 30억하는 아파트가 얼마 없을테니
    일부 고급아파트만 남겠죠. 그에 대한 세금은 있을 수 있으니까.

    그럼에도 집값이 안 덜어진다는 것은 현 경제상황으로는 그럴 수 없어요.
    월급자들이 알바생들이 현재의 가격으론 집을 살 수 없으니.

  • 17. ..님
    '18.9.17 2:49 PM (221.139.xxx.159) - 삭제된댓글

    공산당이라는 무식한 생각....
    토지공개념이 사회주의적인 개념이긴 해도 공산당은 아니에요.
    어찌 그리 수구꼴통들이 생각것과 같으실까.

  • 18. 현실적으로는
    '18.9.17 2:54 PM (221.139.xxx.159) - 삭제된댓글

    공공주택 보급율을 획기적으로 늘리는 것이 최선인 것 같아요.
    공공용지는 무조건 장기임대(저렴하게 월세, 전세)으로만 분양원가로만 토지값 없이.
    민간용지도 임대부분을 30%가까이 의무적 공급.

    공공주택비율이 3~40%로 올라가면 집값 올라갈 수 없죠.

  • 19. .,.
    '18.9.17 3:03 PM (210.184.xxx.196)

    그땐 1주택자중 좋은 동네 사는 사람들에게 세금 많이 물리라고 하겠죠.
    사촌이 땅을 사면 배가 아픈 민족, 배 고픈건 참아도 배 아픈건 못 참는 민족인데요.

  • 20. 원글이
    '18.9.17 3:04 PM (221.139.xxx.159) - 삭제된댓글

    정상이 아니었구나...
    제 댓글 다 지웁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855385 미스터션샤인 보고나서 영화 동주까지 봤네요. 10 .. 2018/09/17 2,664
855384 스스로 4차원이라는 사람들..정말 피하고싶어요. 3 피곤 2018/09/17 1,525
855383 대북 쌀 지원으로 쌀값이 폭등? 잘못된 정보들 6 카톡 아직도.. 2018/09/17 649
855382 김치부침개 비법 좀 공유해주세요 8 김치 2018/09/17 2,334
855381 윗집 누수로 방 하나가 물바다가 되었어요... 1 로잘린드 2018/09/17 2,344
855380 이상타. 구하라소속사 오늘 행동개시 했나요? 24 구하라 2018/09/17 4,075
855379 구하라 솔직히 여자여서 그나마 욕 덜 먹고있는거예요.. 1 구하라 2018/09/17 1,147
855378 실망시켜도 괜찮겠죠? 1 연구소 2018/09/17 537
855377 영화 예매 날짜 문의요 .. 2018/09/17 295
855376 초등교사이신 분에게 여쭤봅니다 4 궁금 2018/09/17 1,794
855375 제사를 꼭 모여서 지내야하나요? 각자 하는 거 어때요 왜 제사는 2018/09/17 734
855374 매달 빠져나가는 생리혈 양이 얼마나 될까요? 2 ㄱㄱㄱ 2018/09/17 2,186
855373 집 매도시 부동한 한군데? 아님 여러군데 내놔야 할까요? 7 00 2018/09/17 1,688
855372 추운 계절 옷 입을 때 도움되는 작은 팁 ^^ 6 .. 2018/09/17 4,611
855371 우울증 약 처방,상담받으려는데요 3 ..우울증 2018/09/17 1,047
855370 욕조 청소 팁 좀 주세요~ 10 젠느 2018/09/17 3,762
855369 최악 폭염 겪은 日.."모든 공립 초중학교 교실에 에어.. 17 ㆍㆍ 2018/09/17 4,053
855368 반영구 눈썹 하고 왔는데 이럴줄...... 11 2018/09/17 5,775
855367 닥표간장 0917 민주노총 "북한에 사드 해체 요구 할.. 3 ㅇㅇㅇ 2018/09/17 454
855366 노인 눕혀서 씻길 수 있는 침상? 욕실용품 있나요? 11 도움 2018/09/17 1,729
855365 큰애 7살인데 명작/전래동화전집 가지고 있어야 할까요?(옛날 거.. 2 책책책 2018/09/17 598
855364 슬립온 추천해 주셔요 날개 2018/09/17 434
855363 요새 쿨링스틱이란거 숟가락이랑 똑같은거아니예요? 2 ........ 2018/09/17 475
855362 매운 고추 어찌 요리해야할까요. 11 고추 2018/09/17 1,129
855361 안경 때문에 머리가 아플 수도 있나요? 7 ㅇㅇ 2018/09/17 1,6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