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아직도 저축은행에 손님이 몰리는 이유는?

... 조회수 : 1,693
작성일 : 2011-09-20 12:44:12

 몇달전엔가도 저축은행 사건이 크게 터져서 평생 안 먹고 안 입고  모은 돈을 날리네 어쩌네 큰 난리가

 났었는데 이번에도 똑같은 일이 벌어졌네요.

 궁금한 점은 지난번 일이 터져서 국민들이 많이 놀라고 해서 저축은행으로 손님들이 안 몰릴 줄 알았더니

 이번에도 역시 많은 돈을 맡긴 사람들이 돈을 떼일까 크게 염려하고 있는 일이 되풀이 되네요.

 이번 일을 당한 예금자들은 지난 번 사건을 전혀 모르고 있었던 것일까요?

 아니면 익히 알면서도 설마 나에게 그런 일이 닥칠까 ? 내 돈이 어떤 돈인데..하는 심정으로 돈을

 맡겼던 것일까요?

 은행에 가지 않고 저축은행에 돈을 맡기는 것은 은행보다 메리트가 있어서 일텐데 저축은행은 진짜

 은행보다 이자율이 월등히 높나요? 높다면 얼마나 더 높을까요?

 저축은행이 전에는 신용조합? 상호신용금고? 이었던 것을 듣기 좋게 개명해 준 것 아닌가요?

IP : 124.5.xxx.88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1.9.20 1:13 PM (115.140.xxx.126)

    현재는 저축은행 이율이 1금융권보다 1% 초반대 정도 차이로 높습니다.
    과거에는 2% 이상 갭이 벌어졌던 때도 있는데, 요즘은 시중금리 자체가 낮아서요.

    투자자는 언제나 위험과 수익 사이에서 저울질을 하는데요,
    1, 2% 차이로 위험을 감수하는 사람도 있고, 안전을 택하는 사람도 있는 것뿐입니다.

    본문 어조에서 느껴지기로는 저축은행을 상당히 위험한 투자처로 보시는 것 같은데,
    실은 예보공사의 원금보장 범위 이내이기만 하면 은행 다음으로 안전한 투자입니다.
    펀드, 주식, 채권, 부동산, 금 포함 실물 등 원금보장이 전혀 안되는 상품이 얼마든지 많은데,
    저축은행예금은 최악의 경우 파산이 되더라도 원금+2.5%이자를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물론 이 정도 불안과 불편을 감수할 의향이 없는 분들은 우체국이나 대형은행을 이용하시면 되고요.

    말씀대로 저축은행은 상호신용금고를 더 좋은 이미지로 개명해준 것이 맞고,
    과거를 따지면 음지에서 활동하던 사채업을 양성화시킨 것입니다.

  • 2. 저.
    '11.9.20 3:46 PM (115.137.xxx.133)

    저..삼화저축은행때 피해자였고
    이번에 제일저축 피해자일뻔했지만 제일저축 소문이 하도 수상하여 16일날 돈을 뺏었죠.
    하지만 그래도 저축은행 이용합니다.

    저 같은경우는 이자가 거의 천만원차이가 나더군요.

    국민/신한등과같은 은행보다는 든든하지는 않겠지만
    조금씩 나눠 여러저축은행에 관리중이라 크게
    크게 두려?워 하지는 않습니다

    그리고 이게 제가 하는 유일한 재태크라..주식..부동산 이런거 전혀 못하거든요.

  • 3. ...
    '11.9.20 5:26 PM (124.5.xxx.88)

    잘 알겠습니다.

    이자액이 그렇게 많이 차이가 나니 그럴 수 밖에 없겠네요.

    나라에서 보장해 주는 한도액 내 예금은 안전하니까요..

  • 4. 그쵸
    '11.9.26 1:27 AM (180.70.xxx.7)

    주식하면 완전 날릴 수도 있는 건데, 저축은행쯤이야 거의 안전자산이죠. 예금자보호 한도 이내면.

  • 5. 그쵸
    '11.9.26 1:28 AM (180.70.xxx.7)

    어쨌거나 위에 댓글 중 이자가 천만원 차이 나신다는 분은 도대체 원금이 얼마시길래 그렇게나 차이가 나시나요? ^^;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397 뜨거운커피를 투명유리잔에 접대하면 이상할까요? 13 커피 2011/09/28 2,465
17396 아이영어공부 도움부탁드려요 1 엄마표 2011/09/28 1,206
17395 장터에서 산 신발 내용입니다.. 44 의견 구함 2011/09/28 11,973
17394 아이 8살이 될때 까지 야단을 쳐 본 적이 없다고 해요.. 20 육아 2011/09/28 2,819
17393 명품 가방 사는게 굉장히 사치하는걸까요? 23 .. 2011/09/28 5,457
17392 7천에 대한 월세 얼마 받아야 하나요? 9 아파트 2011/09/28 2,015
17391 푸틴이 대단해요. 9 ... 2011/09/28 2,029
17390 아빠를 싫어하는 5살남아..괜찮을까요?? 1 음... 2011/09/28 1,132
17389 남은 음식 안싸오셨으면 좋겠는데. 1 음식점 2011/09/28 1,929
17388 계속 졸졸졸 9 화장실 변기.. 2011/09/28 2,442
17387 퍼프 소매 흰 블라우스좀 봐주세요.. 가격은 무지 착해요. 7 블라우스 2011/09/28 1,989
17386 물을 많이 먹어서 컵을 자주 씻어야하는데요. 8 설거지 2011/09/28 2,198
17385 코스트코 티슈 거지도 아세요...??? 13 코스트코 2011/09/28 4,105
17384 그림 어떻게 사나요? 1 ... 2011/09/28 1,211
17383 대검찰청 수사관이라는 사람에게서 전화왔는데요 17 ... 2011/09/28 2,771
17382 학교에서 인기있는애들은 어떤애들일까요?? 10 eee 2011/09/28 3,137
17381 쇼파패드 써보신분 계시나요? 2 이쁜이맘 2011/09/28 1,780
17380 공지영, 백지연 3 .... 2011/09/28 2,499
17379 심은하 남편’ 지상욱, 서울시장 출마 31 밝은태양 2011/09/28 11,654
17378 60대가 들을 수 있는 암보험 있을까요? 7 가을날 2011/09/28 1,416
17377 머루랑 캠벨 중 어느 것이 더 맛나나요? 6 포도사기 2011/09/28 2,578
17376 부모 자식간 주택매매 2 증여 2011/09/28 5,289
17375 두드러기 이런 경험 있는분들 계세요~ 9 세상에나 2011/09/28 3,717
17374 7살 아이 데리고 놀러갈만한곳 어디 있나요 4 도랑이 2011/09/28 2,111
17373 (급질)의료매트 괜챦은거 추천바래요. 1 데이지 2011/09/28 1,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