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미술 전공 하신분들께 질문요. 소묘할때??
예를 들어 사과를 그린다 하면 한 선생님은 이젤에 놓고 연필을 옆으로 잡고 짧은 선을 슥슥 그어서 실루엣을 만드셔요
근데 다른 선생님 한분은 소묘가 아니라 인물쪽 선생님이신데 연필은 공부하는것처럼 잡고 한선으로 그으라고 하세요
선을 많이 만들지 말라고요
저는 초보이기도 해서 일단 사과를 그릴때 첫번째 선생님처럼
원을 하나 그린뒤에 짧은 선으로 실루엣을 만들고 명암 만들면서 지우개로 지우면서 다듬었어요
그런데 그러지 말고 연필처럼 잡고 그냥 한선으로 이으라고 하셔서 당황스러워요.
그럼 뭘 그려도 장난처럼 되고 비뚫어지거든요.
두분다 미술 전공이시구요.
그리고 제 친구가 어반드로잉을 배우는데 드로잉은 바로 펜으로 고치지 않고 바로 들어간다고 해요
그러면서 쌤이 소묘고 뭐고 필요없다고 했다고 하네요
제 짧은 식견으론 기본이 단단하게 이미 배운 전공자들이야 선 하나로 이어서 그리는게 가능하니까 일반인도 그렇게 연습하면 나중에 그게 가능하지 않을까 싶구요
도대체 왜 두 선생님의 방법이 상반 될까요
전 연필처럼 쥐고 한선으로 그으면 비뚤비뚤한데 지우지도 말라고 하세요 ㅜㅜ그냥 한선으로 깨끗하게 그어야 한다고요.
첫시간이었는데 너무 반대라 이상했어요.
1. ~~
'18.9.14 8:24 AM (1.247.xxx.110) - 삭제된댓글긴선을 쓸줄(그을줄)알아야 짧은선 쓸줄도 압니다~
근데 뭐 답이 없는거라 딱히 뭐가 맞다할수없는데요.
이렇게도 해보고 저렇게도 해보세요.
선에따라 그림의 느낌이 달라질수있어요.
완성된 그림자체보다 내손의 근육을 단련시켜 어떤 선도 자연스레 그릴수있게될거란 생각으로 즐겁게 하세요.2. ㅇㅇ
'18.9.14 8:26 AM (112.153.xxx.46)초보시라면 더더욱 첫번 선생님처럼 접근하는게 바람직하지요. 어반 드로잉이 초보도 결과물 바로 낼 수 있는 애니메이션 비슷한걸까요? 크로키처럼 빠르게 표현하는경우 과감하게 선을 한번에 흐르듯 할 수는 있겠지만 그역시 형태를 계속 수정하며가는거지 처음부터 강한 선으로 한번에 완성하진 않아요. 더군다니 연필쥐는법이 안좋네요.
3. .....
'18.9.14 8:54 AM (58.238.xxx.221) - 삭제된댓글제가 배우는 선생님은 기초부터 인물까지 하시는 분인데
첫번째 분처럼 가르치시던데요.
초보니까 첫번째분처럼 하시는게 맞아보여요.
선연습이 잘되야 한번에 쭉쭉 긋죠. 초보인데 무슨 한번에 되나요.
그어나가다가 정리하고 하는거죠.4. ...
'18.9.14 8:57 AM (58.238.xxx.221) - 삭제된댓글제가 배우는 선생님은 기초부터 인물까지 하시는 분인데
첫번째 분처럼 가르치시던데요.
초보니까 첫번째분처럼 하시는게 맞아보여요.
선연습이 잘되야 한번에 쭉쭉 긋죠. 초보인데 무슨 한번에 되나요.
그어나가다가 정리하고 하는거죠.
진하고 짧은 선은 연필처럼 잡는게 맞지만 그냥 정물 그릴때는 그렇게 잡으면 선도 진해지고
구도잡고 차차 수정해가나면서 하기는 어려워보이는데요.
아마 인물이라 더 그렇게 잡는듯한데..
초보는 첫번째분 방법이 맞아보여요.5. ....
'18.9.14 8:59 AM (58.238.xxx.221)제가 배우는 선생님은 기초부터 인물까지 하시는 분인데
첫번째 분처럼 가르치시던데요.
선연습이 잘되야 한번에 쭉쭉 긋죠. 초보인데 무슨 한번에 되나요.
그어나가다가 정리하고 하는거죠.
진하고 짧은 선은 연필처럼 잡는게 맞지만 그냥 정물 그릴때는 그렇게 잡으면 선도 진해지고
구도잡고 차차 수정해가나면서 하기는 어려워보이는데요.
아마 인물이라 더 그렇게 잡는듯한데..
초보는 첫번째분 방법이 맞아보여요.6. ㅇㅇ
'18.9.14 9:20 AM (218.237.xxx.203)길게 그렸어요 처음 배울때..
지우는것도 하지말라고 하고...
취향 스타일 이런거 아닐까요7. ᆢ
'18.9.14 9:22 AM (116.124.xxx.173)사과면 소묘라기보단 정밀묘사죠
책상에놓고 정밀하게 그리는게 맞아요
사과하나에 구도잡을일 있나요?
이젤에 놓고 그리는건 석고상 그릴때나 적어도 도형정도 그릴때 긴선으로명함을 넣어야할때 합니다8. 예를 들어.
'18.9.14 9:40 AM (223.38.xxx.55)예를 들어. 라고 말씀드렸는데요. ㅜㅜ
초보자라 석고상도 아닌데 이젤 놓고 그려 죄송합니다
시키는데로 한거뿐이고 도형을 그리다가 이제 좀 큰 크기로 응용중이에요
샘께 이젤 두고 하지 말자고 해야하나요. 그럼.9. ᆢ
'18.9.14 10:20 AM (121.141.xxx.57) - 삭제된댓글원글님의 고민에 감정이입되네요.
저는 처음부터 차근차근 배울 생각으로 뎃생반에 등록하고 두근두근거리는 마음으로 첫수업에 참여했는데ᆢ
거기가 동네도 아니고 한시간 거리의 나름 전문적인 곳이었거든요.
근데 쌤이 말씀하시는 중간에 소묘가 이제는 대입미술 실기에서도 안한다
연필로 일일이 그리느니 콩테나 목탄으로 하면 된다ᆢ
이런 뉘앙스로 말씀을 하셔서 깜놀했어요.
명암 넣어가며 탄탄하게 뎃생하는 법을 처음부터 배워야 한
다고 생각하는 저의 생각이 고루한것인지ᆢ
이반은 수준이 워낙 높아서 내가 배울 곳이 아닌거 같다는 생각에 가까운 동네 문화센터에서 편하게 접근할까?
아니면 홍대근처 화실서 배워볼까? 많은 고민이 되네요ㅠ
원글님은 어디서 배우시는지 궁금하네요.
어반드로잉이라는 것도 있나보군요 새로 알았어요.
원글님의 열정이 글에서 많이 느껴지네요. 이단계를 잘 마무리하시고 계속 전진하시기를요~10. ``````
'18.9.14 11:04 AM (114.203.xxx.182)소묘 처음 배우는 단게이니 이젤에 놓고 하는게 맞을듯하고
지우개를 많이 쓰면서 하면 종이가 뭉게져서 연필 터치도 지저분하게 되요
인물쪽 드로잉은 인체의 굴곡에 따라 선의 힘과 라인 이 중요시 되죠
그건 기본 소묘실력 갖춰 졌을때 해야 될듯해요11. ㅇㅇ
'18.9.14 12:07 PM (221.138.xxx.232)다 맞는 말입니다.
어디서 시작해도 ,,, 즐기기만 해도 되니까
입시미술을 한다면 첫번째 선생님처럼 해야 되는거지만
취미니까 ,,, 각기 스타일의 완성을 보고 난 어떤 스타일이 좋다.
이런기법을 내스타일로 갖고 싶다. 그럼 그 스타일에 따라 선생님을
결정하시면 될거같아요.12. .....
'18.9.14 9:00 PM (58.238.xxx.221)어쩌다 이렇게 스타일이 다른 샘을 만나서..
저도 취미로 그림 배우는데
전 첫번째 스탈 쌤이고
이젤 놓고 명암. 선연습. 원기둥. 구. 사과 등부터 기초로 하니까 기본도 잡히고 좋더라구요.
이런 기본을 잡고 하니까 다른것에도 응용이 되고 배우는 저도 체계가 잡히는것 같아 좋은것 같아요.
두분중 더 내스타일에 맞는분으로 맞춰서 하심 좋을 거 같아요.13. 스타일 차이 같아요
'18.9.15 12:16 AM (58.233.xxx.49)입시미술에서 오랫동안 평가했던 방식인 탓에 소묘가 첫째 선생님처럼 그려야 한다는 게 고정화된 듯해요. 서구에서는 특별한 소묘방식을 배우지 않고 자기 스타일을 찾도록 두는 경향이 있대요. 현대미술에선 더욱 그런 경향이 강해서 못그린듯하지만 개성 있는 그림에 사람들이 반응하는 것도 있고요.
예전에 홍대미술교육원에서 소묘 배울 때 강사가 프랑스에서 유학하고 온 분이었는데 그 분은 그림을 오랫동안 조금씩 꼼꼼히 그리도록 했는데 연필 쥐는 방식은 맘대로 해라 했어요. 수채화도 입시에서 하던 방식만 있는 게 아니고 어두운 색부터 칠하라고 하는 강사도 있었고요.
우리가 어릴 때부터 규칙이라고 여겼던 많은 방식이 획일화된 교육이었다는 걸 그때 알게 됐어요. 똑같이 그리는 건 어렵지 않대요. 시간을 오래 투자하면 누구나 할 수 있으니까요. 중요한 건 나만의 개성과 느낌이 드러나는 그림이어야 한다는 거래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