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폭등하는 아파트의 미래

소유10 조회수 : 4,113
작성일 : 2018-09-13 08:50:05

아파트 값이 올라서 기분 좋으신 분들에게 어깃장을 놓자는 것이 아닙니다.
그리고 막연히 트집을 잡거나 희망사항(?)을 늘어놓는 것도 아니고요.

대저 모든 가치란....
수요와 공급의 측면이나 유동성 그리고 심리에 의해 결정됩니다.

현재의 폭등은 수요와 공급의 문제가 아님을 모두들 아실 겁니다.
마치 야채농사나 과일농사처럼, 수요에 비해 공급이 멈췄다거나 폭발적인 수요가 일어날 상황이 아니니까요.

늘 그래왔던 것처럼 수요는 있었으나, 정상적인 수요는 작금의 가격폭등에 주된 변수가 아닙니다.


문제는 유동성과 심리의 원인인데...
유동성(경제 살리자고 전 정권에서 마구 풀어버린 실제의 돈)이 왜 유동성이라 하겠어요?
쉬이 움직인다는 바로 그 뜻이지요.
부동산이 '부동(움직이지 못함)'의 재산인 것과 대비되는 개념입니다.

현 정부는, 대한민국의 문제점이 과도한 부동산 비용임을 인식하고 있는 정부입니다.
'지방 분권화'를 정책목표로 강조하고 있는 점이, 그 명확한 증거이고요.

그리고 현재진행형인 남북경협의 경우를 가만히 들여다 보시면,
유동성을 갖는 재화들이 근간에 어디로 움직일지 보이지 않으시나요?
물론 아직 타결된 상황은 아닙니다만, 우리 아이들의 미래를 위해서도 그리 되어야만 하지 않겠습니까?

많은 경제 전문가들이 남북경협의 시너지효과를 엄청난 규모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밖에서 외신을 통해 보면, 외국의 자본들도 깊은 관심을 가지고 매의 눈으로 지켜보고 있는 것이 보이니까요.


그래도 내 집 하나는.... 이라고 생각하며 은행 융자를 고민하는 분들께서는
미디어를 맹신하시거나 숫자 맞추기에만 전념하지 마시고, 
주변 상황과 경제 전문가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이시기를 바랍니다.

저의 이야기 역시 한귀로 흘리시기를....



IP : 97.99.xxx.3
2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예언
    '18.9.13 8:52 AM (211.246.xxx.101) - 삭제된댓글

    https://m.youtube.com/watch?v=euyFhxvXwBE


    북한과 미국의 만남
    중국 지진 맞추셨고
    내년 2019년에 어떨지...

  • 2. 그럼
    '18.9.13 8:58 AM (117.111.xxx.211)

    대북관련 주식을 사야하나요?

  • 3. 지금까지
    '18.9.13 9:09 AM (14.35.xxx.160)

    부동산관련글중에서 제 생각과 가장 유사한 글이네요.

  • 4. 소유10
    '18.9.13 9:11 AM (97.99.xxx.3)

    저는 개인적으로....
    전반적인 호황으로 접어들지 않을까 생각하네요.

    그런데 몇 가지 변수가.

  • 5. ...
    '18.9.13 9:12 AM (116.121.xxx.93)

    오~ 일리가 있는 글입니다

  • 6. .....
    '18.9.13 9:14 AM (175.114.xxx.171) - 삭제된댓글

    몇 가지 변수를 뭘로 보시는지 여쭤 봐도 될까요?

  • 7. Vv
    '18.9.13 9:15 AM (49.172.xxx.114)

    그럼 부동산가격이 내려갈것으로 보시나요?

  • 8. . . .
    '18.9.13 9:17 AM (122.38.xxx.110) - 삭제된댓글

    토목 건설 페인트 등이 다시 한번 호황을 누리겠지요
    그거 아니여도 정부가 지금 개발까지 해가며 아파트를 더 짓겠다는데...
    덥썩 건설주 사지 마시공
    환율때문에 죽어나는 곳도 있으니

  • 9. ㅁㅁ
    '18.9.13 9:22 AM (223.38.xxx.10)

    행복회로 열심히 돌리시네요...

  • 10. 앞으로
    '18.9.13 9:28 AM (119.193.xxx.53)

    10년은 있어야 효과가 나타나지 않을까요?
    당장에는 가계부채 염려해야될 상황인것 같아요

  • 11. 저도
    '18.9.13 9:34 AM (118.218.xxx.190)

    같은 생각입니다..

    가진자들이 불안한 나라라면 부동산팔고 현금을 보유 할텐데..
    평화 올 것 같으니 모두들 들썩이더군요..
    그러면서 이전 정부들은 근본적인 욕망과 그로 인한 세제에는 표 생각해서
    폭탄 돌리기 식으로 누르기만 했고,,
    내 손에 피 묻히지 않고 시간만 지나가길 바랬다고 봅니다..
    그들의 일은 내 지배 시기에 터지지 말라고..

    부정부패로 지들 주머니는 두둑하니
    좋은게 좋은 것.이러면서 한쪽 눈 감고 알면서도 근본 정리는 하지 않았습니다.

    이번 정부에서 이런 폭탄 터질 것 예상했습니다.,
    그래서 문정부가 싸 논 ㄸ 치워야 할 것 같아서 미안해 한 겁니다.
    부정 부패는 결국 돈 나누어 먹기인데...
    누가 강제로 공산당처럼 집 값을 틀어 쥐고 눌르지 않는 이상 어떻게 잡겠어요.
    결국 세금 올라가고 그러면서 올라서 욕먹고,,세금 때문에 욕먹고..

    시장 스스로 자중하지 않으면 서로 서로 제 살 파먹기고
    젊은이들에게 기회가 더 멀어지는 경우라 봅니다..
    퍼센트상 돈 많은 꼭대기층들만 돈 놓고 돈 먹는 구조가 된다 봅니다..

  • 12. 소유10
    '18.9.13 9:35 AM (97.99.xxx.3)

    하나는... 한수원(한국수력원자력)의 뻘짓에 의한 대형사고.

    오늘 뉴스가 났더군요.
    한빛 3 호기 원자로의 시멘트 격납고에 매우 큰 공극(빈 공간)이,
    민관합동조사단에 의해 발견되었다는 것인데, 이걸 한수원에서 은폐하려던 것이 드러났습니다.

    그리고 여타의 공극에는 기름성분으로 채워진 것도 발견되었는데,
    이 기름은 별도의 관을 통해 순환하는 것이라서, 시멘트 공극에 들어갈 수가 없는 상황.
    부실공사와 부패, 그리고 거기에 따른 안전불감증은 매우 우려가 되거든요.


    둘째는, 남북경협의 결렬 내지는 무한 연기

    당장은 유동성의 부동산 이탈현상을 막겠지만, 길게는 동력원의 상실이라고 봐야 하겠지요.
    천천히 지옥으로 걸어들어가는 고통스러운 과정이 될겁니다.


    셋째는 미국의 중국산 물품에 대한 관세 폭탄

    이것은 트럼프 대통령의 망상에서 비록된 것이 아니고,
    중국을 견제하려는 미국의 세계정책 위에 있어왔고 앞으로도 진행될 겁니다.
    그러니 일회성이나 감정적인 대응이 아닌 만큼, 길게 가혹하게 진행될 것으로 보입니다.

    그런데, 물량으로 보나 금액으로 보나... 대한민국의 최대 교역당사국은 중국입니다.
    순망치한 이라고 할 수 있지요.


    넷째는 대한민국의 과도한 민간대출입니다.

    워낙 많은 이야기가 있었기에, 대부분 잊고들 삽니다만
    근간에 무언가 활로가 열리지 않으면, 상상하기 괴로운 시절이 닥칠겁니다.

    이외에도 몇 가지 근심스러운 구석이 있습니다만,
    82 자게에서는 관심도 없는 상황이라서....

  • 13. 이런..류의
    '18.9.13 9:47 AM (1.233.xxx.26)

    회의적인 미래 예견은 이나라안 어울려요.
    단순한, 집 오른다 내린다. 옆집 아줌마가 산다. 갭투기 유행이다.
    미래 지향적, 이성적, 회의적인 사고, 반성.. 이런거는.. 안먹혀요
    실제로 은행 대출 단조롭게 해 줬고요. 저도 나이가 들었는지. 이정권도 이젠 포기하고그냥.. 돈 독 오른 그대로 욕망을 표현하는게 맞구나. 복잡하게 생각 하지 않으려고요.ㅠㅠ

  • 14. 지키고 봅니다
    '18.9.13 9:58 AM (211.39.xxx.147)

    욕망 앞에서는. 일단 자기 것은 계속 상승해야 하고
    자기 것이 되어야 할 것은 어찌됐든 가격이 낮아야 하는 그 욕망.
    욕망덩어리 앞에 장사 없습니다. 그냥 스쳐가야지요.

    돈 놓고 돈 먹는 야바위에 눈 돌아가면서도 정부 탓하는 사람들과
    판 깔아 야바위를 조장하며 웃고 있는 사람들과
    자기 욕망의 근거와 과정 그리고 결과를 들여다 보지 못하는 사람들과
    우리가 한 배를 탔습니다.

    인간의 근간은 잘 되면 내 덕분, 안되면 남 탓입니다.
    탓하기 제일 좋은 대상이 정부겠지요.

    살아보고 나이들어보고 겪어보고 하면서
    잘 산다는 것의 의미를 깨닫는 사람들이 이렇게
    지켜보고 있다는 것이
    서로의 위안이고 격려입니다.

  • 15. 네 ..
    '18.9.13 10:04 AM (175.119.xxx.244)

    문 정부가 명확한 대의와 방향성을 가지고 진행하리라고 믿습니다. 작금의 어렵고 복잡한 현실을..

  • 16. 간만에
    '18.9.13 10:05 AM (117.111.xxx.211)

    부동산, 경제 관련 깊이가 있는 글 잘 읽었습니다

  • 17. ,,,,
    '18.9.13 10:33 AM (218.145.xxx.61)

    잘 일었습니다

  • 18. 세금 많이 걷혀서
    '18.9.13 10:49 AM (221.138.xxx.11)

    재정 튼튼해지고 복지 예산 늘어나길 기대합니다.

  • 19. 그쵸
    '18.9.13 11:57 AM (112.154.xxx.167)

    이젠 꺼져야할 불입니다
    그 와중에 분명 고통받을 사람들 많이 나오겠죠
    어쩝니까 너도나도 불나방으로 모여들어 그걸 끌어안았으니까요
    돈은 이제 또다른 먹잇감 찾아 떠나고 서민들은 재미없는 막지막 놀이판에서 또 기다려야겠네요

  • 20. ..
    '18.9.13 12:15 PM (112.150.xxx.63)

    잘 읽었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854338 몇시에 자고 몇시에 일어나세요? 15 ㅡㅡ 2018/09/13 4,096
854337 수시 적정이나 하향지원 했는데 불합격인 경우 있나요? 9 ... 2018/09/13 2,727
854336 혈압계 추천좀 해주세요 2 dlfjs 2018/09/13 1,222
854335 (펑합니다) 조언주신분들감사합니다 65 투걸맘 2018/09/13 27,113
854334 초보) 곰피 데쳐서 드세요? 그냥 드세요? 9 네즈 2018/09/13 1,363
854333 서초동 잘 아시는 분.. 2 봄이오면 2018/09/13 1,789
854332 지하철안에서 본 잊혀지지 않는 가방 6 가방 2018/09/13 6,316
854331 스칼렛 요한슨...성적매력이 잇잖아요..ㅎㅎ 6 tree1 2018/09/13 3,854
854330 이 옷 예쁘지 않나요? 22 고민 2018/09/13 6,799
854329 수시 합격 전화 못받으면 어떻게 돼요? 11 ... 2018/09/13 14,351
854328 폴리100블라우스.. 반짝반짝 2018/09/13 858
854327 시가와 담배는 뭐가 다른가요??? 2 2018/09/13 893
854326 뇌·뇌혈관 MRI 비용 '뚝'…종합병원 최고 71만→14만원 8 찹찹 2018/09/13 2,485
854325 이재용은 북한에 왜가나요? 6 ㅡㅡㅡㅡㅡㅡ.. 2018/09/13 2,174
854324 문재인 아무리 욕해도.. 42 오호~ 2018/09/13 2,809
854323 독일맥주 월터스 라인 맛어때요? 2 ... 2018/09/13 1,751
854322 與, 대북행사에 "초청않으면 무시, 초청하면 무례&qu.. 6 나이스 2018/09/13 1,043
854321 쌍용해고자 복직되나봐요~~ 3 ㄱㄴ 2018/09/13 760
854320 손사장님..박성태기자 5 뉴스룸 2018/09/13 2,129
854319 전용면적 25.7평이 몇평인거예요? 4 ... 2018/09/13 2,780
854318 158/67 심각한상황입니다 9 ㅇㅇ 2018/09/13 4,482
854317 157cm 50kg 하루 1700칼로리 섭취면 괜찮은 건가요? 3 이제야아 2018/09/13 4,225
854316 김부선씨에게 강용석 추천한 사람이 박주민 의원이었다는군요 26 ㅇㅇ 2018/09/13 5,826
854315 하루밤만 동기 집에서 자고 온다는데... 17 대학생 2018/09/13 4,573
854314 무거운거들고 허리 삐끗했는데 어떻게해야하나요? 9 허리 2018/09/13 2,9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