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냉장고에 밥 보관했다 먹기 노하우좀 전수해 주세요

까칠마눌 조회수 : 2,423
작성일 : 2018-09-12 14:26:31
정말 희한할 정도로 전기요금이 많이 나오더라구요. 딱히 뭘 하는 것도 없는데 늘 다른집 대비20% 초과사용이라고... ㅠㅠ

그래서 얼마전부터 전기밥솥 사용안하고 밥을 지으면 바로 코드 빼고 유리 용기나 스텐 용기에 넣어 냉장보관 했다 먹거든요. 길어도 이틀내 다 먹고요.

근데 냉동 또는 냉장 해 둔 밥 렌지에 돌리면 금방한 밥처럼 된다고들 하는데 전 전혀요. ㅠㅠ

뚜껑 덮고 돌려도, 열고 돌려도, 소분해서 돌려도 약간 찬기만 가실 정도로 약하게 데워도.... 뭔가 퍼석하고 밥알들이 따로놀거나 딱딱하고 질겨지고...

노하우좀 전수해 주세요~~
IP : 218.51.xxx.216
1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18.9.12 2:29 PM (58.127.xxx.227)

    퍼담자마자 뚜껑 닫아 한김 식혀 냉동실요.

  • 2. ...
    '18.9.12 2:30 PM (210.216.xxx.121)

    저는 냉동까진 아니고 냉장 보관했다가 먹는데요
    렌지에 데우실때 물을 1~2숟가락 끼얹고 데워요.
    그리고 데우는 시간도 짧으면 퍼석거려요.
    시간을 조금 더 늘여보세요

  • 3. ㅁㅁ
    '18.9.12 2:35 PM (175.223.xxx.82) - 삭제된댓글

    시간 조절이 안맞은거죠
    물을 넣고말고 할것도없는데 ㅠㅠ

    렌지용 그릇에 둿다 그대로 덮은상태로
    보통 햇반 일인분이 2분이니까 냉동이면 일일분 3ㅡ4분
    맞춰 보세요
    내 눈으로 보고 조절해야해요

  • 4. dlfjs
    '18.9.12 2:36 PM (125.177.xxx.43)

    취사 되자마자 뜨거울때 바로 냉동해요 해동때 충분히 뜨겁게 하고요
    근데 전기료 얼마 차이 안날텐데 바로 바로 해먹는게 맛있어요

  • 5. ,,
    '18.9.12 2:37 PM (117.111.xxx.238) - 삭제된댓글

    냉장한 밥 한공기에 두껑은 없어도 되구요
    2분 돌립니다
    밥의 양에따라시간도 조절해야 하지요

  • 6. ,,
    '18.9.12 2:39 PM (117.111.xxx.238) - 삭제된댓글

    스텐용기에 그냥 덮어서 냉장하면
    밥이 말라서 나빠요
    반드시 랩으로 밀봉해서
    렌지에 데울때 스텐이 아닌 용기에 밥을
    담아서 두껑열고 돌리세요

  • 7. 밥 보관용기
    '18.9.12 2:49 PM (58.122.xxx.142)

    에 담아서 식힌다음 냉장했다가 렌지 돌려먹어요.
    갓한 밥처럼 된다는건 당연히 말이 안되구요. 먹을만해요.
    요새 나오는 보관용기는 실리콘뚜껑이고 작은 구멍만 열어서 렌지 돌릴수 있으니
    수분이 비교적 덜 빠지는듯해요.

  • 8. 근데
    '18.9.12 3:15 PM (49.161.xxx.226)

    밥솥 사용 안하는 대신 전자렌지 쓰면 전기요금 거기서 거기 아닌가요?

  • 9. 찜기에
    '18.9.12 3:48 PM (121.136.xxx.187)

    물넣고 쪄서 먹습니다

  • 10. 그렇게
    '18.9.12 3:56 PM (39.7.xxx.192) - 삭제된댓글

    먹은지 몇년 되는데 갓 지은 밥처럼 맛있어요.

    제가 하는 방법..

    1. 갓 지은 밥을 뚜껑까지 유리나 스텐인 그릇에 1인분씩 담아 뚜껑을 덮은 상태로 식.힌.뒤 냉장보관한다(밥이 마르는것 방지. 플라스틱 뚜껑인 경우 도자기 접시를 덮어 두었다 다 식으면 뚜껑을 덮으면 됨)

    2. 먹기전 미리 꺼내어 두거나 밥공기에 옮겨담고 위에 유리뚜껑이나 접시를 얹어 전자렌지에 넣는다.
    (랩 사용 안함. 접시면 충분. 미리 꺼내두는 것은 차가운 유리를 바로 돌리면 깨질수도 있어서임)

    일인분: 2분
    이인분: 3분

    전 딱 이렇게 하는데 갓 지은 밥처럼 맛있어요.

    그런데 전자렌지가 다 똑같지 않잖아요? 집집마다 용량이나 세기가 다르니까 밥 한공기를 기준으로 2분 돌려보고 갓 지은 밥같지 않다 싶으면 시간을 20~30초씩 늘려 보세요. 그럼 딱 맞는 시간대를 찾으실수 있을거예요.

    . 데우실때 물 뿌리지 마세요. 뭘 데우던지 조금 큰 도자기 접시를 덮어 돌리면 수분 증발 막아주고 열이 고르게 퍼져 잘 데워져요.
    얼마나 잘 데워지냐면 그릇 전체가 뜨거워서 맨손으로는 못 꺼내요. 실리콘 장갑 끼고 꺼내야 해요.

    . 콤비오븐이라고 부르는 오븐과 전자렌지 겸용인거 있죠? 혹시 이거 쓰시는분은 둥근 발열쟁반이 있을거예요. 피자나 고구마같은거 올려서 굽는 쟁반이요. 그 쟁반 위에 밥그릇을 얹어 데워보세요. 그냥 돌리면 내부가 너무 커서 잘 안데워질수 있는데 이 발열쟁반 위에 밥공기를 얹고 2분만 돌려도 뜨거워요.

    . 밥은 한공기씩 돌리세요.
    두 공기 넣고 4분 돌리면 될 것 같지만 이렇게 하면 뜨거운 곳은 너무 뜨겁고 찬 곳은 차요. 고루 데워지지 않습니다. 돋보기로 까만 종이를 태울때 촛점이 여러개인 경우 불이 잘 붙지않는 것과 비슷한 원리.

    뭘 돌리던지 한번에 하나씩 접시를 덮어 돌리면 빠르게 고루 따뜻합니다.

    . 위에 덮는 것은 평평한 유리뚜껑이나 도자기 접시 쓰세요. 깨지만 않으면 평생 쓸수 있어 경제적이고
    식품에 직접 닿더라도 안심이 되는데 랩은 아무래도뜨거운 열이 가해지면 걱정이 되어 전 사용 안하거든요.

    접시도 너무 두꺼운 도자기 보다는 얇은 코렐같은 접시가 열에도 강하고 좋아요. 다른 것들보다 열 전달이 더 고루 잘되는 것 같아요.

  • 11. 제 방법
    '18.9.12 7:26 PM (39.7.xxx.141)

    밥 해서 종이 호일에 1인분씩
    연잎밥 처럼 싸요

    몇개씩 지퍼팩에 넣어 냉동해요

    먹기 10분전 냉동실에서 꺼내서
    종이호일을 살짝 펼치고
    냄비에 물넣고 찜기에 올려
    연잎밥 찌듯이 쪄요

    촉촉하고 따뜻하고
    부드러운 금방한 밥이되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854018 남초 커뮤니티에서 성판매 여성 지원책에 열변 토하는 거 19 .. 2018/09/13 2,198
854017 유치원 친구와 같은 초등학교 보내기 위해서 위장전입해도 되나요?.. 7 그러면 2018/09/13 2,487
854016 인강들을때 기기 2 ... 2018/09/13 649
854015 실비 받으려면 병원마다 다찾아 가야하나요? 11 .. 2018/09/13 2,621
854014 진짜 가짜뉴스가 판을 치네요(꼭) 6 nake 2018/09/13 796
854013 그래도 우리들은 운이 좋은 거 같아요... 4 적폐청산 2018/09/13 1,606
854012 "文정부 공직자들, 부동산으로 앉은 자리서 수억 벌었다.. 30 @@ 2018/09/13 3,375
854011 한국 개신교가 카톨릭을 이단으로 규정 21 ㅋㅋㅋ 2018/09/13 3,375
854010 황교안1위?함정 8 ㄴㄷ 2018/09/12 1,204
854009 퀴어축제 14 ... 2018/09/12 2,018
854008 상도유치원 지금 TV 나오네요 무사해서 다.. 2018/09/12 808
854007 길거리에 그 즐비한 담배꽁초.... 4 ㅇㅇㅇ 2018/09/12 1,023
854006 정말 미쳐 버리겠어요 8 ㅠㅠ 2018/09/12 4,932
854005 요즘 에버랜드 가보신분.. 3 노랑이11 2018/09/12 1,759
854004 스마트폰을 떨어뜨렸는데소리는나고 화면이 안나오네요. 3 액정 2018/09/12 2,408
854003 손 the guest 무섭네요 6 흐미 2018/09/12 4,821
854002 문재인정부 이건 정말 잘 하고 계시네요 31 ㅇㅇ 2018/09/12 3,157
854001 홍콩 마카오 or 디즈니랜드 4 ,,, 2018/09/12 1,410
854000 kbs뉴스 장애인 복지관련 기사제목 어이 없어요... 8 조선폐간 2018/09/12 952
853999 중2 아들 3 10년차 2018/09/12 1,541
853998 막걸리 한 잔 마시고 뒹글거리는데 2 아졸려 2018/09/12 1,260
853997 역사상 문재인 대통령 서열은 19 47 2018/09/12 3,361
853996 매일 설사..ㅠㅠ 3 ㅇㅇ 2018/09/12 2,234
853995 라스에 조인성 나와요!! 14 라스 2018/09/12 4,411
853994 부동산 정책 또 발표하려나봐요 26 ㅜ.ㅜ 2018/09/12 4,3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