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냉장고에 밥 보관했다 먹기 노하우좀 전수해 주세요

까칠마눌 조회수 : 2,422
작성일 : 2018-09-12 14:26:31
정말 희한할 정도로 전기요금이 많이 나오더라구요. 딱히 뭘 하는 것도 없는데 늘 다른집 대비20% 초과사용이라고... ㅠㅠ

그래서 얼마전부터 전기밥솥 사용안하고 밥을 지으면 바로 코드 빼고 유리 용기나 스텐 용기에 넣어 냉장보관 했다 먹거든요. 길어도 이틀내 다 먹고요.

근데 냉동 또는 냉장 해 둔 밥 렌지에 돌리면 금방한 밥처럼 된다고들 하는데 전 전혀요. ㅠㅠ

뚜껑 덮고 돌려도, 열고 돌려도, 소분해서 돌려도 약간 찬기만 가실 정도로 약하게 데워도.... 뭔가 퍼석하고 밥알들이 따로놀거나 딱딱하고 질겨지고...

노하우좀 전수해 주세요~~
IP : 218.51.xxx.216
1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18.9.12 2:29 PM (58.127.xxx.227)

    퍼담자마자 뚜껑 닫아 한김 식혀 냉동실요.

  • 2. ...
    '18.9.12 2:30 PM (210.216.xxx.121)

    저는 냉동까진 아니고 냉장 보관했다가 먹는데요
    렌지에 데우실때 물을 1~2숟가락 끼얹고 데워요.
    그리고 데우는 시간도 짧으면 퍼석거려요.
    시간을 조금 더 늘여보세요

  • 3. ㅁㅁ
    '18.9.12 2:35 PM (175.223.xxx.82) - 삭제된댓글

    시간 조절이 안맞은거죠
    물을 넣고말고 할것도없는데 ㅠㅠ

    렌지용 그릇에 둿다 그대로 덮은상태로
    보통 햇반 일인분이 2분이니까 냉동이면 일일분 3ㅡ4분
    맞춰 보세요
    내 눈으로 보고 조절해야해요

  • 4. dlfjs
    '18.9.12 2:36 PM (125.177.xxx.43)

    취사 되자마자 뜨거울때 바로 냉동해요 해동때 충분히 뜨겁게 하고요
    근데 전기료 얼마 차이 안날텐데 바로 바로 해먹는게 맛있어요

  • 5. ,,
    '18.9.12 2:37 PM (117.111.xxx.238) - 삭제된댓글

    냉장한 밥 한공기에 두껑은 없어도 되구요
    2분 돌립니다
    밥의 양에따라시간도 조절해야 하지요

  • 6. ,,
    '18.9.12 2:39 PM (117.111.xxx.238) - 삭제된댓글

    스텐용기에 그냥 덮어서 냉장하면
    밥이 말라서 나빠요
    반드시 랩으로 밀봉해서
    렌지에 데울때 스텐이 아닌 용기에 밥을
    담아서 두껑열고 돌리세요

  • 7. 밥 보관용기
    '18.9.12 2:49 PM (58.122.xxx.142)

    에 담아서 식힌다음 냉장했다가 렌지 돌려먹어요.
    갓한 밥처럼 된다는건 당연히 말이 안되구요. 먹을만해요.
    요새 나오는 보관용기는 실리콘뚜껑이고 작은 구멍만 열어서 렌지 돌릴수 있으니
    수분이 비교적 덜 빠지는듯해요.

  • 8. 근데
    '18.9.12 3:15 PM (49.161.xxx.226)

    밥솥 사용 안하는 대신 전자렌지 쓰면 전기요금 거기서 거기 아닌가요?

  • 9. 찜기에
    '18.9.12 3:48 PM (121.136.xxx.187)

    물넣고 쪄서 먹습니다

  • 10. 그렇게
    '18.9.12 3:56 PM (39.7.xxx.192) - 삭제된댓글

    먹은지 몇년 되는데 갓 지은 밥처럼 맛있어요.

    제가 하는 방법..

    1. 갓 지은 밥을 뚜껑까지 유리나 스텐인 그릇에 1인분씩 담아 뚜껑을 덮은 상태로 식.힌.뒤 냉장보관한다(밥이 마르는것 방지. 플라스틱 뚜껑인 경우 도자기 접시를 덮어 두었다 다 식으면 뚜껑을 덮으면 됨)

    2. 먹기전 미리 꺼내어 두거나 밥공기에 옮겨담고 위에 유리뚜껑이나 접시를 얹어 전자렌지에 넣는다.
    (랩 사용 안함. 접시면 충분. 미리 꺼내두는 것은 차가운 유리를 바로 돌리면 깨질수도 있어서임)

    일인분: 2분
    이인분: 3분

    전 딱 이렇게 하는데 갓 지은 밥처럼 맛있어요.

    그런데 전자렌지가 다 똑같지 않잖아요? 집집마다 용량이나 세기가 다르니까 밥 한공기를 기준으로 2분 돌려보고 갓 지은 밥같지 않다 싶으면 시간을 20~30초씩 늘려 보세요. 그럼 딱 맞는 시간대를 찾으실수 있을거예요.

    . 데우실때 물 뿌리지 마세요. 뭘 데우던지 조금 큰 도자기 접시를 덮어 돌리면 수분 증발 막아주고 열이 고르게 퍼져 잘 데워져요.
    얼마나 잘 데워지냐면 그릇 전체가 뜨거워서 맨손으로는 못 꺼내요. 실리콘 장갑 끼고 꺼내야 해요.

    . 콤비오븐이라고 부르는 오븐과 전자렌지 겸용인거 있죠? 혹시 이거 쓰시는분은 둥근 발열쟁반이 있을거예요. 피자나 고구마같은거 올려서 굽는 쟁반이요. 그 쟁반 위에 밥그릇을 얹어 데워보세요. 그냥 돌리면 내부가 너무 커서 잘 안데워질수 있는데 이 발열쟁반 위에 밥공기를 얹고 2분만 돌려도 뜨거워요.

    . 밥은 한공기씩 돌리세요.
    두 공기 넣고 4분 돌리면 될 것 같지만 이렇게 하면 뜨거운 곳은 너무 뜨겁고 찬 곳은 차요. 고루 데워지지 않습니다. 돋보기로 까만 종이를 태울때 촛점이 여러개인 경우 불이 잘 붙지않는 것과 비슷한 원리.

    뭘 돌리던지 한번에 하나씩 접시를 덮어 돌리면 빠르게 고루 따뜻합니다.

    . 위에 덮는 것은 평평한 유리뚜껑이나 도자기 접시 쓰세요. 깨지만 않으면 평생 쓸수 있어 경제적이고
    식품에 직접 닿더라도 안심이 되는데 랩은 아무래도뜨거운 열이 가해지면 걱정이 되어 전 사용 안하거든요.

    접시도 너무 두꺼운 도자기 보다는 얇은 코렐같은 접시가 열에도 강하고 좋아요. 다른 것들보다 열 전달이 더 고루 잘되는 것 같아요.

  • 11. 제 방법
    '18.9.12 7:26 PM (39.7.xxx.141)

    밥 해서 종이 호일에 1인분씩
    연잎밥 처럼 싸요

    몇개씩 지퍼팩에 넣어 냉동해요

    먹기 10분전 냉동실에서 꺼내서
    종이호일을 살짝 펼치고
    냄비에 물넣고 찜기에 올려
    연잎밥 찌듯이 쪄요

    촉촉하고 따뜻하고
    부드러운 금방한 밥이되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854225 부동산 광풍은 자한당 책임,박영선의원 속 시원하네요. 4 ㅇㅇ 2018/09/13 1,228
854224 축의금 서운한 걸까요 아닐까요. 15 .... 2018/09/13 4,682
854223 전골 냄비 24센치 작을까요? 5 전골냄비 다.. 2018/09/13 1,427
854222 1주택 종부세 9억에서 6억 오보--- 이거 중요한거 아닌가요?.. 8 ㅇㅇ 2018/09/13 1,986
854221 카톡중 황당한 경험...이런적 있으세요? 8 질문 2018/09/13 3,345
854220 손the guest에 고구마 장면 4 2018/09/13 1,822
854219 보일러 살짝 돌리니까 너무좋네요 3 무지개 2018/09/13 1,223
854218 이 친구는 저를 뭘로 생각하는 걸까요? 5 Still 2018/09/13 2,532
854217 이영자 매니져 몇살로 보이세요...?? 8 ... 2018/09/13 5,314
854216 종부세와 재산세는 다른거죠?? 6 무지랭이 2018/09/13 3,380
854215 인생이 너무 힘들어요 7 .. 2018/09/13 3,601
854214 쇠고기무국을 닭육수에 끓여도 될까요? 3 요리 2018/09/13 1,113
854213 지금 집에서 20년 살았습니다 3 이사가답 2018/09/13 3,103
854212 한국어 교사 자격증 있으신 분, 취업 진로 같은 정보좀 주셔요... 1 도리도리 2018/09/13 1,717
854211 [속보]북한 ICBM 발사차량 시험 시설까지 해체완료 30 ㅇㅇㅇ 2018/09/13 3,682
854210 부동산 정책에 불만 많았던 사람입니다. 18 9 13 2018/09/13 3,503
854209 연합 오보 [전문취소] 13 .. 2018/09/13 2,110
854208 미용실에서 너무 불쾌 9 불쾌 2018/09/13 6,372
854207 종부세 해당자 -> 시가 18억이상 주택 소유자 7 .... 2018/09/13 2,179
854206 대한민국은 서울공화국 ᆢᆢ 2018/09/13 422
854205 집 많이 사라는 금일의 조세부동산 정책 좋네요! 7 리슨 2018/09/13 1,249
854204 서른이지만 열일곱입니다. 4 댕댕이 2018/09/13 1,456
854203 이번 부동산 대책 뉴스 자막 해설 좀 해주세요 이괴모죠 2018/09/13 550
854202 주위에 종부세 내시는 분 있으시면... 2 ... 2018/09/13 1,261
854201 환자한테 화내는 의사ㅡㅡ 14 ㅡㅡ 2018/09/13 5,2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