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윗세대한테 받은 안좋은 성향은 어떻게 고치나요??

dd 조회수 : 1,675
작성일 : 2018-09-11 05:10:32

저는 할머니한테 나쁜성향을 받았는데요..

허영심이 너무 많습니다....

저희 할머니는 구세대분들 나쁜 성향중  하나인 학벌주의, 끝없는 비교하는 성향이 있으시고

어떻게 보면 요즘 세대의 특징인 개인주의, 물질에 대한 과도한 욕망ㅠㅠ까지 합쳐져서

손자 손녀들에게 따뜻한 할머니가 아니셨어요..

타인을 만날때 자식 자랑만렙이시고 자랑할게 없으면 다른 사람의 잘난점을 지겨울정도로 얘기하십니다 ㅠㅠ

할머니 모습을 그리면...공작이 날개를 펼친다고 해야할까 남들앞에서 자신을 부풀려서 이야기하는 모습만

그려집니다.

심지어 손녀들 앉혀놓고 누구자식 교수됐다 유학가서 성공했다 이런얘기하실정도면 말다했죠..

그런데 살면서 제 자신을 들여다보니 제가 그런 모습을 많이 닮았더군요 ㅠㅠ

남앞에서 드러내기 좋아하는 성향. 그러다보니 현실과 충돌이 되면 심하게 좌절하고

외모나 학벌같은것에 집착하게 되는 .

아주 어렸을떄 기억이 생겻을때부터 저는 과도하게 자기를 떠벌이기 위해 살아왔던거 같았어요

물론 덕분에 욕심은 많아서 좋은 결과를 얻은 적도  많았지만 사람들 사이의 관계에서

나쁜 일을 많이 겪었습니다.

그동안 저한테 일어났던 문제들이 저의 이런 성향때문이었다는 것을 최근에 알게되었는데

이런 성향이 내가 좋아하지 못했던 할머니를 닮은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더라구요...

알게된 이상 고치려고는 노력하겠지만 지금도 제 자신을 돌아보면

타고난 성향이라 바뀌기는 힘들거 같아요..ㅠ

저랑 비슷한 경험 하신분 있나요???


 



IP : 183.102.xxx.90
1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조상탓
    '18.9.11 5:23 AM (221.166.xxx.92)

    잘되면 내덕 잘못되면 조상탓
    원글님 손자도 원글님 탓을 한다면?
    그게 싫다면 안그렇도록 노력해야죠.
    아셨으니 ...

  • 2. ...
    '18.9.11 5:28 AM (191.85.xxx.7)

    아마 대다수는 비슷하지 않을까요? 저도 체면을 중시하는 어머니 아래에서 자랐는데 이게 제 삶에 굉장히 악영향을 끼쳤다는 걸 성장하고나서야 알았어요. 사실 남 체면이 뭐라고 딸을 옭아 매면서 키웠는지 원망스러워요. '니가 이런 일을 하면 다른 사람들이 뭐라 생각하겠냐' 이게 가장 먼저 한 말이었거든요. 이 말은 제가 뭔가 새로운 도전과 색다른 일을 할 때마다 항상 주저하게 만들고 남 의식하는 사람으로 만들었어요. 결국 저도 내가 원하는 삶이 아니라 남이 원하는 삶을 살게 되었네요. 저는 '남이 뭐라하던 네가 원하는 것을 해라'라는 부모님을 가진 사람들이 너무 부럽습니다. 지금도 기억하지만 가난한 살림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맏아들이라는 이유로 빚을 내어가면서까지 제삿상을 차리는데 떡도 한 말씩이나 해서 상하거나 겨울내내 광에다 보관해 두면 떡에 곰팡이가 슬어서 버려야 하는데도 먹을게 없어 그 떡을 이리 저리 씻어서 떡국을 해 먹었던 기억도 있어요. 그런데 저도 너무 싫은데 이런 성향이 있다는 것을 깨달았어요. 남의 집에 가면 뭔가 번듯한 선물이라도 해서 가야할 거 같고 제 분수에 비해 과분하게 잘하려고 하는 성향이 있는거 고치고 싶어요. 그나마 원글님이나 저나 알았으니 다행이고요. 지금부터 고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사실 만병은 자기 병을 인정하는데서 고칠 수 있다잖아요. 아무리 병이 심해도 자기가 병 걸린 것을 인정하지 않은 사람은 절대 못 고쳐요. 저도 이런 이유로 저는 앞으로 고칠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왠만하면 제 주제에 맞게 하려고 노력해요.

  • 3. 고치기 힘들어요
    '18.9.11 6:18 AM (110.47.xxx.227) - 삭제된댓글

    유전자에 새겨진 성격은 몸속에 새겨진 노력한다고 지워지는 게 아닙니다.
    몸에 새겨진 문신은 레이저로 지우는 게 가능하지만 유전자를 교정하는 레이저는 아직 없잖아요.
    하지만 지우지는 못해도 원래의 성격이 잘 안 보이게 다른 것으로 덮는 것은 가능하더군요.
    가면을 만들어 쓰는 거죠.
    사회적으로 성공하는 많은 사람들은 그 가면을 성공적으로 착용한 경우라고 봅니다.

  • 4. 고치기 힘듭니다.
    '18.9.11 6:26 AM (110.47.xxx.227)

    유전자에 새겨진 성격은 노력한다고 지워지는 게 아닙니다.
    몸에 새겨진 문신은 레이저로 지우는 게 가능하지만 유전자를 교정하는 레이저는 아직 없잖아요.
    하지만 지우지는 못해도 원래의 성격이 잘 안 보이게 다른 것으로 덮는 것은 가능하더군요.
    가면을 만들어 쓰는 거죠.
    사회적으로 성공하는 많은 사람들은 그 가면을 성공적으로 착용한 경우라고 봅니다.

  • 5. ㅇㅇ
    '18.9.11 7:07 AM (219.92.xxx.59)

    자기자신에 대해 알았다는게 이미 반은 고쳐졌다고 할 수 있지 않을까요.
    세상에 완벽한 사람은 없어요. 끊임없이 고치고 반성하고 노력하는거죠.
    님의 노력하려는 자세 좋아보여요.

  • 6. 그래도
    '18.9.11 7:22 AM (218.48.xxx.68)

    나의 문제점을 벌써 알았고 고치려 하는 점에서
    대단하단 말씀 드리고 싶어요.
    내가 인식하고 있다면 고쳐나갈 수 있어요.
    이미 반은 성공!!

  • 7. 아닌척
    '18.9.11 7:36 AM (223.62.xxx.157)

    아닌척 하고 평생 사는거에요.
    제 경우엔 어려운 일이 생겨서 겸손하게 세상을 바라보면서 많은것이 고쳐졌어요

  • 8. 역발상
    '18.9.11 9:39 AM (223.38.xxx.123)

    모든 성격은 장단점이 보기에따라 단장점?도 됩니다. 저는 자랑을 전혀못하고 나쁘게 얘기하는경향이 있는데 이것이 문제더라고요. 잘 생각해보시면 나쁘다고 생각한게 오히려 좋은점도 있을거에요.

  • 9. ...
    '18.9.11 10:05 AM (211.36.xxx.20)

    자기 단점을 알아도 고친다는게 쉽진 않아요 매번 같은 실수를 반복하거든요

  • 10. ㅎㅇ
    '18.9.11 10:40 AM (58.225.xxx.20)

    타고난 성향, 보고 듣고 자란걸 싹 바꿔버리는게 불가능하더군요.
    그래도 내 문제점 돌아볼수있는게 중요하죠.
    저는 자기개발서 많이 보고 다른 책도 많이 봤어요.
    내 단점을 밖으로 튀어나오지않게 누르고있을 뿐이지
    없어지는건 아니구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854867 노통때는 경제는 좋았는데..지금은 왜이러나요. 20 알바아님 2018/09/14 1,570
854866 이번 부동산대책 이해찬 주연 19 .... 2018/09/14 1,993
854865 저희 집에 이상한 소리가 들려요 12 소리 2018/09/14 5,048
854864 혜경궁 김씨 다뤄주는 언론이 별로 없네요 7 혜경궁김씨 .. 2018/09/14 558
854863 베트남커피 아메리카노 G7에 설탕이 없었네요. 8 카피 2018/09/14 3,304
854862 이쁘면 의사들이 잘해주는거 맞아요 27 개수작 2018/09/14 12,424
854861 하루에 두번만 식사한다면 3 ㅣㅣ 2018/09/14 2,350
854860 부득이한 양도세 보유세 피해자도 있어요 34 똘돌짜파게티.. 2018/09/14 2,659
854859 화웨이 5G 장비 선택 안 한 SK텔레콤..KT·LG유플러스는 1 샬랄라 2018/09/14 901
854858 네일숍에서 발뒤꿈치 각질제거어때요? 6 ㅇㅇ 2018/09/14 2,260
854857 피부과에서 레이저토닝 얼마씩하나요? 14 2018/09/14 5,409
854856 무쇠팬에 굽는 고기는 정말 꿀맛입니다 43 무쇠사랑 2018/09/14 6,290
854855 지인이 주민번호 알려달라고 하면 어떻게 하나요? 9 마음이불편 2018/09/14 3,521
854854 정은채라는 배우 아세요? 61 ㅇㅇ 2018/09/14 23,602
854853 서대문 안산 가려는데 박물관앞인인지 구청.보건소 앞인지 4 질뭇이요 2018/09/14 841
854852 오늘 영화 조제 호랑이 그리고 물고기들 해주네요 ㅎㅎ 4 ... 2018/09/14 1,286
854851 어제 발표한 부동산정책은 언제부터 시행인가요? 5 .. 2018/09/14 1,309
854850 시부모님 오시는데요. 음식 대접 뭘해야 하나요? 28 ..... 2018/09/14 3,714
854849 청와대, 주택시장 안정대책 발표 [09.14 뉴스신세계]-라이브.. 4 ㅇㅇㅇ 2018/09/14 687
854848 양배추채칼 8 양배추채칼 2018/09/14 1,932
854847 수서역srt타는데 몇 분전에 가면 될까요? 3 비오지마요 2018/09/14 1,965
854846 행정고시랑 금융공기업..질문있어요. 7 ㅇㅇ 2018/09/14 2,273
854845 부동산 까페는 기승전 호재네요 11 까페 2018/09/14 3,186
854844 고속버스 타는동안 화장실... 5 .... 2018/09/14 2,089
854843 슬라이딩장롱 별롤까요? 4 붙박이 2018/09/14 1,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