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부모님 장례식보다 다른사람 장례식에서 더 운경우는 무슨 심리일까요..??

아이블루 조회수 : 4,241
작성일 : 2018-09-07 15:22:41
이모집 사촌오빠 장례식장에서 엄청 울었거든요.. 펑펑 울었던것 같아요....
근데 참 웃기는게 저 저희 엄마 장례식장에서는 별로 안울었거든요.. 오히려 담담했어요.... 
장례식장에서 안터지고 집에 와서 터졌는데...  암튼 장례식장에서는 눈물이 잘 안나왔던건 
지금 생각해도 이상해요.. 
근데 사촌오빠는 장례식장 들어가자마자 터지더라구요... 신발장 앞에서 부터요..ㅠㅠ
근데 그오빠랑 성인이 된이후에 많이는 안만났거든요.... 
반대로 저희 엄마는 제가 세상에서 가장 사랑했던 사람이었구요..
먼훗날 제가 이세상에서  태어나서 가장 사랑했던 사람은 엄마였다고 말할수 있을만큼 사랑했어요... 
암튼 집에 와서 생각해보니까 그 심리는 도대체무슨 심리였을까 싶어요...

IP : 222.236.xxx.17
1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8.9.7 3:24 PM (39.121.xxx.103)

    사랑하는 가족의 죽음을 실감이 안나서 시간이 지나면서 폭풍처럼 밀려오더라구요.
    그리고 상주면 정신없기도 하고..

  • 2. 어머니는
    '18.9.7 3:25 PM (118.223.xxx.155)

    사실 만큼 사셨다 생각 된걸 거고
    사촌오빠는 아직 더 살아도 되는 사람이라 그런거 아닐까요?

    저도 작년에 형제를 잃었는데 정말 팔 다리가 잘려 나가는 느낌이었어요 ㅠㅠ
    그렇게 아플줄 몰랐고 친정부모님 돌아가셔도 그렇게 울진 않을듯해요

  • 3. ..
    '18.9.7 3:25 PM (211.36.xxx.131)

    나이가 더 젊어서 그랬겠죠.
    젊어서 죽으면 모르는 사람이라도 안타깝고 슬프던데요.
    친구 남편 죽을 때 제가 그랬어요.

  • 4. 잘될거야
    '18.9.7 3:26 PM (175.112.xxx.192)

    실감이 안나고 믿고 싶지 않아서?
    사촌의 경우는 오빠의 마음을 생각하니 감정이입이 되어서?

  • 5. ...
    '18.9.7 3:27 PM (211.252.xxx.104)

    아마 엄마는 떠나의 전 애도의 시간이 길었을 거예요.
    오랜 지병을 앓고 떠난 경우는 오히려 담담했어요
    아니 다행이다 싶었어요...더이상 안아파도 되니까요.

  • 6. ㅇㅇ
    '18.9.7 3:28 PM (203.229.xxx.116) - 삭제된댓글

    젊은 사람의 죽음은
    모르는 이라도 비통하고 진짜 가슴 아파요.

  • 7. 아직 죽음을
    '18.9.7 3:28 PM (121.136.xxx.19)

    받아들여지지 않아서인거 같아요.

    가까운 사림의 죽음은 바로 실감이 나지 않아요.
    저에게도 그러더라구요.
    장례식장에서 어떻게 그리 차분하게 문상객 맞이하냐고요.
    손님을 맞이하는 것도 중요했지만
    죽음을 인정하지 못하고 내일 처럼 느껴지지 않았어요.
    문제는 집에가서 처리할 일이 마무리후부터 슬픔이 죽음이 나에게로 오더라구요..

    전 그랬어요.

    원글님도 그렇치 않을까요?

  • 8. ..
    '18.9.7 3:28 PM (222.236.xxx.17)

    저희 엄마도 살만큼 살았다고 하기에는 60대 초반이었어요.... 엄마 돌아가시고 나서 지금 5년이 지났는데도 단한번도 제머리속에서 떠난적도 없구요... 항상 머리속에서는 있어요...엄마가 생각이 많이 나거나 적게 나거나 그런경우는 있어두요.. 집에 와서 생각해보니까 도대체 이심리는 무슨 심리을까..?? 싶기도 하고 암튼 제자신이 신기했어요...

  • 9. 저도
    '18.9.7 3:29 PM (112.167.xxx.197) - 삭제된댓글

    경황도 없고 실감도 안나서 그런거 같아요
    내손님으로 오는 문상객들도 많으니 계속 슬픔에
    빠져 있을 겨를도 엏고 장례치르면서
    해야 할들이 많기 때문 인듯

  • 10. ....
    '18.9.7 3:40 PM (119.69.xxx.115)

    저는 아빠 장례식땐 눈물이 안나오더라구요... 제가 정신이 나가서.. 6개월을 아빠랑 같이 중환자실 입원실 수술실 계속 같이 있었고 마지막에 기관절제해서 셕션도 제가하고 마지막에 자리보존해서 누워계셔서 제가 간병했거든요. 그 아픈 와중에도 아빠가 돌아가실걸 생각못하겠더라고요.. 식구들은 제가 미친 사람같았다 하고 아빠가 그 상황인데도 계속 간병하면 살아계실거 처럼 자꾸 말해서. 그런데 막상 그렇게 고생한 아빠가 돌아가시니 ㅠㅠ 아빠는 이제 편안해 지셨겠구나 하는 생각이 들고.. 사람들오니 정신없고 인사하느라 바쁘고.이리저리 처리해야 할 일들도 많고... 상치르고 돌아온 다음 날 점심먹고 그냥 눈물이 나더니 완전 폭포수 처럼 쏟아지면서 넘넘 많이 울었어요 ㅠㅠㅠㅠ 지금 돌아가신 10년인데 아직도 아빠 생각하면 눈물이 나요.. 보고싶고.. 아빠도 날 많이 보고 싶어 할텐데 그런 생각이 들어서

  • 11. 입력
    '18.9.7 3:50 PM (1.227.xxx.251)

    전 엄마 장례미사엔 울지않았는데
    3,4년뒤 전혀모르는 분 장례미사 (평일미사갔다가 우연히) 에서 미사시간 내내 눈물이 펑펑 쏟아졌던적있어요
    슬플때 충분히 슬퍼하지못하면 봉인됐다 갑자기 해제되는것같아요...엄마징례땐 상주로 할일이 많아 슬플겨를도 없었거든요...

  • 12. ..
    '18.9.7 3:50 PM (59.13.xxx.40)

    전 울 아버지 돌아가셨을때 넘 충격이 커서
    감정이 마비된건지 머리가 멍하고
    장례식장에서 눈물이 많이 안 났어요.
    근데 그 뒤로 얼마동안은 우울증에 시달렸고
    한동안 혼자 밤낮으로 엄청많이 울었네요..

  • 13.
    '18.9.7 3:59 PM (112.140.xxx.153) - 삭제된댓글

    사촌오빠 장례식때 엄마 돌아가신 상황까지 오바랩되면서
    더 눈물 나는거 아닐까요?
    제가 그렇거든요.
    엄마가 여든 다섯에 돌아가셨는데 그 때도
    많이 울었지만
    그 후에 어떤 장례식에만 가도 엄마생각에 눈물나요

  • 14. 버드나무
    '18.9.7 4:05 PM (182.221.xxx.247) - 삭제된댓글

    아빠 장례식때는 저도 못울었어요

    그냥 상주라는 책임. 다른사람이 슬프게 울때 옆에서 공감해주어야 했어요

    그 슬픔은 결국 어는 순간 참고 참았다 터지더라구요

    결국 1.1월 산 등산하다... 아빠 아빠하고 울었습니다.

    마치 이제는 울어도 되 하고 허락받은 기분이였어요 .

  • 15. ...
    '18.9.7 4:23 PM (59.29.xxx.42)

    죽은사람때문이 아니라 내 감정때문에 더 많이 우는 것 같아요.
    결국 쌓였던 슬픔,상실감 같은게 다른 계기로 터져나오는것..

  • 16. ㅇㅇ
    '18.9.7 4:34 PM (39.7.xxx.47) - 삭제된댓글

    떠난 사람에 대한 슬픔이 30%면
    자기 자신에 대한 연민과 슬픔이 70%쯤...

  • 17.
    '18.9.7 6:07 PM (223.62.xxx.135)

    너무 슬프니까
    뇌가 자기보호 한거죠
    정말 제대로 느끼면 못견딜거 아니까
    느끼지못하고 멍한거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852916 판빙빙이 이미 죽었을지도 모른다던데 ㅜㅜ 33 .. 2018/09/08 35,151
852915 날씨가 좋으니까 어디라도 가고 싶네요 2 구름 2018/09/08 799
852914 진짜 좋은글 공유해요 -기분이 편안한게 핵심입니다 15 매일읽기 2018/09/08 4,917
852913 김진표... 종교인에 세무조사 하지말아야 17 진실 2018/09/08 1,246
852912 민주·평화·정의,한목소리로 판문점선언 비준찬성 10 화요일 국회.. 2018/09/08 491
852911 매수하고픈데 전세로 살아야 되서 아쉬워요. ㅇㅇ 2018/09/08 804
852910 MICHAA는 아울렛이 어디에 있나요? 4 .. 2018/09/08 1,268
852909 정형외과 도수치료 일회 비용이 얼마나 하나요? 3 도수치료 2018/09/08 4,188
852908 종교인 과세에 대한 새로운기사 12 진표살이 보.. 2018/09/08 1,032
852907 수험생 홍삼, 아이패스보다 좋은건 없나요? 5 홍삼 2018/09/08 2,395
852906 니트를 사려는데 보세 사이트 괜찮은곳 알려주세요 1 니트 2018/09/08 979
852905 GX 주차장 문콕 접촉사고 보상비 128만원 13 러키 2018/09/08 4,643
852904 2010년 10월에 생을 마감했던 최윤희 부부의 유서 10 .... 2018/09/08 5,663
852903 고구마와 버터 4 간식아님 2018/09/08 1,530
852902 과고는 붙으면 무조건 보내야 할까요 6 ㅇㅇ 2018/09/08 2,645
852901 이중적 이며 지능적인 시어머니 있겠죠? 8 . 2018/09/08 2,967
852900 청와대 로고 사칭하는 엘리엇 청원 34 .. 2018/09/08 848
852899 밥 우드워드가 뭐랬다구... - 미국언론 제대로 읽기 oo 2018/09/08 410
852898 엘리엇 청원 입니다. 8 적폐자한당소.. 2018/09/08 415
852897 판빙빙은 어떻게 되는거죠? 2 ........ 2018/09/08 4,553
852896 티비 재밌네요! ㅋㅋㅋ 셀프 2018/09/08 769
852895 알렉스 돈까스 ᆢ먹어보신분 계신가요 6 시도 2018/09/08 1,824
852894 지방 소도시는 카페 잘되나요? 11 창업희망 2018/09/08 3,693
852893 82쿡이 예전과는 다르네요 25 ㅇㅇ 2018/09/08 3,416
852892 밤호박도 당뇨에 안좋은가요? 3 ... 2018/09/08 5,4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