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거는 바로 '잠재성장률' 입니다.
한 나라 경제가 모든 생산요소 동원해 물가 상승 없이 최대한 이룰 수 있는 성장치를 말하는데요,
우리나라는 2.8%에서 2.9% 정도로 봅니다.
이게 무슨 얘기냐면, 성장률 2.8%가 '지난해보다 나빠졌다'고 말할 수는 있지만 심각한 상황으로 보기는 어렵다는 겁니다.
맞는 얘기이기도 합니다.
단순 비교해도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은 선진국들과 비교해도 높은 수준이고 최장기 호황을 누리고 있는 미국과도 같습니다.
사실 경제규모가 커지면 과거 4%, 5%의 고성장을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문제는 딴게 아니라 이 잠재성장률이 떨어지고 있다는 겁니다.
우리 경제 성장동력이 계속해서 약해지고 있다는 거라, 이걸 끌어올리는 게 시급합니다.
생산가능 인구 줄어들기 시작했으니 저출산, 고령화에 대한 대책도 필요하고, 대기업 경제력 집중 등의 양극화 문제도 해소해야 합니다.
https://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56&aid=001061...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한국경제-견조한 수준의 성장세
글쿤 조회수 : 313
작성일 : 2018-09-05 11:42:24
IP : 113.199.xxx.15
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1. 적페청산만 되면
'18.9.5 11:44 AM (203.247.xxx.210)더더 올라갈긴데
2. 문제는
'18.9.5 12:41 PM (121.163.xxx.3)하층민.자영업자 힘들다는거죠. 대기업.공무원.수출기업은 괜찮다는거고.힘든 사람만 더 힘들어진다는거 그게 문제죠. 결국 잘나가는 대한민국은 소수만 더 잘 나간다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