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둘째 산후조리원 가야하나 고민중이에요

sara 조회수 : 1,853
작성일 : 2018-09-02 09:23:20
첫째가 8살이구 뒤늦게 둘째생겨서 내년초에 출산해요
첫째를 외국에서 낳아서 자연분만후 황달치료받느라 오일 입원하고집에와서 케어했어요. 아는사람 하나없이 정말힘들게 버텨서 이주만에 85키로에서 56키로가 됐었어요..지금 생각하면 그나이니까 했지 싶어요..뭐 딱히 젊은 나이도 아니구 서른넷이었지만요
지금 마흔에 둘째갖고 다시 저걸 반복하자니 아기는 예뻐도 벌써 좀 두려워요.
맘카페에서는 보통 산후조리원 2주 도우미2주 이렇게들 하는것 같던데..첫애를 근처 사시는 시어머니가 케어해주신다면 보통 산후조리원 가나요? 산후조리원이 정말 그렇게 천국인가요? 아님 첨부터
도우미만 한달 불러서 집에서 조리하는건 어떤가요?
IP : 49.167.xxx.139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8.9.2 9:26 AM (216.40.xxx.240)

    산후조리원 가면 좋죠. 다녀와서 도우미 집에 불러서 2주 더 하고.

  • 2. MandY
    '18.9.2 9:40 AM (218.155.xxx.209)

    조리원이 좋죠 집에 도우미 불러도 밤에 아기때매 통잠 못자요 조리원은 신생아실에서 전담하니까 푹쉴수 있어요 큰애 8살이라도 초등저학년 이리저리 손많이 가는데 갓난쟁이 데리고 힘드십니다 앞으로 최소 3년간은 체력비축하셔야죠

  • 3. ....
    '18.9.2 10:23 AM (125.177.xxx.158) - 삭제된댓글

    산후조리원이 밤에 잠을 잘수 있게 해줘서 그게 젤 좋은 거 같아요. 아이낳고 몸이 회복되어야 본격적인 육아도 하는데. 전 조리원 안갔고 집에서 조리했는데 잠을 못잤어요. 하루에 세시간만 쭉 잤으면 좋겠다했었는데.. 그때 조리를 제대로 못해서인지 골골대면서 육아했어요.
    도우미가 집에 오는 것도 되게 신경쓰이지 않나요? 조리원이 젤 낫죠

  • 4. ......
    '18.9.2 11:00 AM (175.117.xxx.200)

    엄마 몸 편하기로는 조리원 2주 가는 게 낫죠...
    그런데 그러려면 2주간 첫째를 봐줄 분이 확실해야 하고
    남편도 큰 애 육아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해서..
    둘째 조리때는 남편도 조리원에 소독시간때 하루 1시간 정도나 와보고
    나머지 시간은 큰 애 봐주러 집에 가야 해요...

    저는 맞벌이로 입주도우미 쓰고 있었지만
    집에서 조리 자신 없어서
    조리원 2주 갔어요..
    집에서 도우미 있어도 애가 둘이면 둘 중 하나는 엄마가 케어할 수 밖에 없어요...
    신생아 2주 정도는 조리원 가세요...
    배꼽이라도 떨어지면 씻기기도 좀 낫고
    2주라도 엄마가 밤잠 좀 자면
    조리원 퇴소후 애 볼 몸 만드는 데도 훨씬 낫죠
    조리원 2주동안 야간 수유는 안 하겠다고 못 박고
    몸 만드는 데 집중하세요..
    안 그러면 퇴소후 애 둘 못 봅니다 ㅠㅠㅠ

  • 5. ,,,
    '18.9.2 11:43 AM (121.167.xxx.209) - 삭제된댓글

    시어머니가 애기 확실히 돌봐 주시고 안심할만한 분이면 산후 조리원 가세요.
    저도 시어머니인데 며느리 둘째 낳을때 산후 조리원 간다고 첫째 봐줄수 있냐고
    물어서 흔쾌히 허락 했어요.
    그래야 산모가 푹 쉴수 있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852456 편도 수술은 어느정도때 하는건가요? 5 ... 2018/09/07 1,180
852455 운동하시는 분들께 여쭈어요 5 원글이는아줌.. 2018/09/07 1,237
852454 아.. 카톡단톡 지옥. 푸념.. 12 ... 2018/09/07 4,154
852453 발냄새 잡는 가루를 구입했는데요. 7 안개꽃 2018/09/07 1,042
852452 상도동 유치원 붕괴... 보셨어요? 애들 있었으면 어쩔뻔 15 끔찍 2018/09/07 3,038
852451 다음번엔 민주당에서 대통령 못 나올거 같아요. 78 집값폭등문제.. 2018/09/07 3,041
852450 시내에 혼자 밥먹고 책보고 할곳 있을까요? 8 고즈넉 2018/09/07 1,176
852449 총회갔는데 담임샘이 공부안하죠라고...ㅠㅠ 13 ........ 2018/09/07 4,164
852448 비슷한 상황, 상반된 평가..朴·文시기 경제보도 비교 2 기레기 이중.. 2018/09/07 354
852447 대장 내시경 선종 2018/09/07 1,894
852446 양육비 떼먹는 '양심불량' 부모 운전면허 정지·취소한다​ 4 oo 2018/09/07 1,094
852445 다스뵈이다31 팟티 업로드됐어요 24 ... 2018/09/07 690
852444 새치커버 제품중 아예 안지워지고 염색되는 제품이 있을까요,? 3 저기 2018/09/07 1,474
852443 남고때문에 대치동으로 이사갈까해요. 6 엄마 2018/09/07 3,035
852442 좌골신경통 같은데... 5 통증 2018/09/07 1,176
852441 삼성과 엘리엇 짜고치는고스톱?? 14 ㄱㄴ 2018/09/07 564
852440 2006년?부동산 폭등했을 때도 24 그때 2018/09/07 2,718
852439 단톡방에서 나와도 괜찮아요~ 2 그렇구나 2018/09/07 1,870
852438 비올때 아기랑 갈만한 제주 서부권 추천해주세요 2 아즈라 2018/09/07 1,421
852437 어제 잠안와 알프람1개 멜리토닌1개 1 2018/09/07 886
852436 스팀다리미 핸디형 vs 스탠드형 3 비교 2018/09/07 1,842
852435 집값 폭등이 최저임금 상향 때문? 13 최저시급 2018/09/07 3,447
852434 샤인머스켓 어디서사세요? 3 ㅇㅇ 2018/09/07 1,672
852433 전 국민의 26% ,독감백신 무료접종대상 3 000 2018/09/07 1,101
852432 보험사에 집담보대출 받아보신분 계신가요 103308.. 2018/09/07 3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