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1주택자는 집값 올라도 별로 좋은점이 없는것 같아요

집값 조회수 : 1,466
작성일 : 2018-08-30 13:02:21
내집 마련하려고 노력하시는 분들은 이게 무슨 도그소리.. 라고 하실 수도 있겠지만, 
저도 제 집 없는 입장이라 집값 올라서 좋을 것 없다는 소리 듣고 처음엔 배부른 고민한다. 사람 약올리냐 생각했는데, 
그 말도 어느 정도 일리는 있는 것 같아요. 

부모님이 경기쪽에 집한채 가지고 계시는데 거주하신지 15년 넘으셨거든요. 
그 동안 2000년 중반에 한번 올랐다가, 반토막 났다가, 요새 부동산 붐 따라서 조금 올랐어요. 그 때 가격은 회복 못했고요. 
그런데 어 우리집값 좀 올랐네 공돈 좀 생긴것 같아 기분 좋네 이 이상은 별로 없는 것 같아요. 
부모님 경우도 어짜피 이 집 팔고 이사가실 것 아니고 
만일 가신다고 해도 이사를 가면 좀 더 나은 지역으로 가고 싶은게 사람 심리인데, 더 좋은 지역은 더 올라서 갈 수도 없고요. 
이 집 팔고 집값 훨씬 낮은 지역으로 옮기시면 모를까, 그런데 그럴 일이 별로 없죠.
실거주로 계속 사는 경우는 재산세만 오르지 그 것 때문에 직접적으로 형편 나아지는 건 전혀 없는 것 같아요.  , 

갭투자해서 월세받거나 전세 받는 2주택자들은 좋을 것 같아요. 
부럽긴 하지만 이런 사람들은 저 같은 사람이 집값 떨어지면 어쩌나 용기 못낼때 과감하게 투자하는 용기있는 사람들이고 투자댓가 받는 거라 생각하거든요. 

그렇지만 집 없는 사람들한테는 현재 상황이 너무 가혹한것 같긴 해요. 
적당히 좋은 곳에 적당한 집을 적당한 노력을 쏟으면 살 수 있는 사회면 좋겠어요. 
그러기 위해서 집값이 올라도 좀 적당히 올랐으면 좋겠고요. 지금은 너무 심하네요. ㅠㅠ  

IP : 121.132.xxx.204
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자산가치가
    '18.8.30 1:17 PM (58.230.xxx.242)

    올라가는데 좋은 게 없을 리가요.

  • 2. Rossy
    '18.8.30 1:25 PM (211.48.xxx.89)

    공감합니다. 판다고 해도 더 좋은 집 갈 수 있는 것도 아니고... 우리 집 1억 오르면 다른 지역은 2~3억도 오르니 뭐

  • 3. ㅡㅡ
    '18.8.30 1:29 PM (110.70.xxx.116)

    이런 글 볼 때마다 경제공부의 필요성을 느끼네요..
    물론 집값이 오르면 다른 지역도 오르니 내 집이 올라도 갈데가
    없다 생각할 수 있는데 그건 그야말로 1차원적인 생각이구요.
    오른 자산에 대출 보태서 더 좋은 지역으로 옮겨야죠.
    계속 그걸 반복해야 자산이 곱하기로 느는거에요.
    집 한채 가지고 눌러앉으면 재산이 증식이 당연히 느리죠...

  • 4. ㅇㅇ
    '18.8.30 1:29 PM (58.140.xxx.184) - 삭제된댓글

    좋은게 없긴요.
    그 한채라도 없으면 완전 개털되는거죠.
    한채가 안오른지역하고 어느지역은 엄청 오른경우.
    엄청 오른집은 그집팔아 애집사주고 본인집도 다른지역에 집장만하지만 안오른지역에 집한채있는 사람은 박탈감과 손실 엄청난거죠.
    서울이냐 지방이냐 또 서울안에서도 어디다 집사냐 이게 지금 계층을 구분짓는 상황까지왔는데 그게 그거예요?
    정부정책으로 전국민비율중 극소수 서울아파트보유자들에게만 요새 로또 안겨준거죠.

  • 5.
    '18.8.30 1:34 PM (112.150.xxx.63)

    역모기지로 노후연금을 받아도.
    집값이 오르면 넉넉해지는데 좋은점이 없다니요

  • 6. Dd
    '18.8.30 1:46 PM (1.228.xxx.120)

    다른 집도 오르는데 내 집도 올라야 그나마 중박인거죠.
    내가 살고 싶은데는 오르는데
    내 집만 안오른다면 이사 더 못가죠.
    다른집도 오르는데 우리집 오른게 무슨 소용이냐 이거는 정말 너무 보수적으로 보신 것 같네요.
    그리고 자식을 생각해보세요.
    두 부모가 같은 3억짜리 집에서 시작했는데
    아이들 결혼할 때쯤
    한집은 10억 되고
    다른 한집은 4억 됐음 어떨 거 같나요

  • 7. 근데
    '18.8.30 1:47 PM (175.209.xxx.57)

    결정적인 순간에 팔고 시골 내려가거나 이민 가거나 그럴 때 너무 좋죠

  • 8. 지나고보면
    '18.8.30 2:11 PM (59.15.xxx.36)

    결정적인 순간에 팔고
    시골가신 분들 다 후회중이죠.
    강남에서 중고대 나왔는데
    친구 부모님들 그냥 아무 생각없이
    2,30년 눌러사신 분들은 계속해서 올랐고
    집값 올랐다고 팔고 이사하신 분들은 후회하시죠.
    오래된 낡은 아파트에 살고 계시는데
    별다른 소득도 없이 재산세만 오르고
    가격은 비싸서 역모기지도 못하고
    이사하는 것도 늙어서 엄두가 안난다 하시네요.

  • 9. ..............
    '18.8.30 3:23 PM (175.125.xxx.5)

    저도 진짜 그 소리 많이 들었어요. 특히 이런 인터넷 커뮤니티에서요.
    요즘 1채면 소용없다라는 말은 보통 집값 많이 올랐으나 굳이 무주택자들 앞에서
    자랑하고 싶지 않고 부러움들을 가라앉힐때 쓴다 보여지네요. 절대 소용없지 않거든요.

    그런데 그 말을 무주택자들이 하거나, 1주택자들이 스스로 평생 이사안갈거라 생각해서
    하는 말이면 진짜 위에 댓글처럼 경제공부의 필요성을 느끼네요..22222

    다주택자들도 처음엔 모두 1주택자들이었을거에요.
    하지만 자본주의 경제를 보는 관점이 다르고 다음 플랜을 짜느냐 여부에 따라
    집한채 마련해서 안정성 느끼고 좋다로 끝나는 사람들이 있고,
    소위 자본가의 길까지 가는 사람들이 있어요.
    집 1채 마련했다면 부지런히 계속 더 좋다는 곳 따라 애들 있으면 교육따라 이동할 준비해야해요.
    물론 그 1채가 강남 요지면 이사안해도 되겠지만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851459 요즘도 쌀계나 돈계 합니까? 4 ... 2018/09/04 702
851458 조현오 ‘쌍용차 진압’ 헬기 타고 직접 진두지휘했다 17 짐승짓한것 2018/09/04 903
851457 망할각오작정하고 독립운동지원한 엘지 9 국민기업엘지.. 2018/09/04 750
851456 레몬밤 가루를 어디서 구하나요? 9 질문 2018/09/04 1,831
851455 카멜라는 상간녀주제에 15 사랑스러움 2018/09/04 5,930
851454 보만에어프라이기 잘 아시는분 답변요 내일 2018/09/04 460
851453 김밥에 시금치 12 녹차 2018/09/04 2,587
851452 연예인이나 주위사람들..피부 시술 후 울퉁불퉁해지는 이유가 뭐에.. 8 ..... 2018/09/04 2,877
851451 문파님들 기사 방문합시다~ 14 ... 2018/09/04 421
851450 손질된 반건조 생선 안씻고 구워도 되나요? 5 생선 2018/09/04 1,762
851449 대학 공대 전/화/기 요.... 6 ㅏㅏㅏ 2018/09/04 1,750
851448 게으른 자들의 나라? 이런 동화 아세요? 12 책이좋아 2018/09/04 1,059
851447 문프, '국회의 존재 이유 보여달라' [.09.04 뉴스신세계].. 8 ㅇㅇㅇ 2018/09/04 330
851446 이정부 미친듯 합니다. 똘똘한한채가 9억. 70 ... 2018/09/04 5,484
851445 갈치가 너무 비싸요 꼬맹이가 좋아히는데ᆢ 10 장바구니 2018/09/04 1,580
851444 회사에 돌봐주는 길냥이가 보은을 했네요.ㅎㅎ 19 ㅇㅇ 2018/09/04 4,457
851443 닭에 한약재넣고 낙지, 전복 잔뜩? 이거 어떻게 끓이는거에요??.. 3 ... 2018/09/04 753
851442 한고은씨 남편이요 23 ㅇㅇ 2018/09/04 24,249
851441 '평당 1억' 진실공방에서 드러난 '실거래가시스템' 맹점3가지 기레기도 문.. 2018/09/04 675
851440 고2용돈은 얼마가 적당할까요 8 고2 2018/09/04 2,209
851439 나이들면 부모맘 이해한다 하잖아요 9 ㅇㅇ 2018/09/04 1,706
851438 나이40넘어 처음으로 귀뚫어보려는데 어디가서 해야 안전할까요? 4 귀걸이 2018/09/04 1,505
851437 한쪽으로 누워 잤더니 그쪽으로 주름이 생기네요 ㅜㅜ 1 주름 2018/09/04 1,011
851436 가죽인지 합성피혁인지 구분하는 방법이 있을까요? 11 답답이 2018/09/04 2,188
851435 우리나라 언제부터 넷플릭스 됐나요? 2 ㅎㅎ 2018/09/04 1,0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