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유경근 수의사 페이스북.jpg

강추합니다 조회수 : 3,242
작성일 : 2018-08-29 21:55:14
꼭 일독해 보시길.....



IP : 116.44.xxx.84
2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8.8.29 9:57 PM (1.231.xxx.12)

    좋은 글이네요

  • 2. 희망한국
    '18.8.29 9:58 PM (117.111.xxx.203)

    더 어려운 것이 아니라 아직 어려운 것이다.
    We cannot turn back.

  • 3. ......
    '18.8.29 9:59 PM (39.121.xxx.103)

    완전 강추입니다..꼭 읽어보세요.

  • 4. 쓸개코
    '18.8.29 10:00 PM (211.184.xxx.15)

    더 어려운 것이 아니라 아직 어려운 것이다. 222

  • 5. 좋네요
    '18.8.29 10:02 PM (124.80.xxx.231)

    퍼왔어요.

    서민을 위한 경제 정책이라는데 서민은 왜 더 힘든지 후배 원장이 물었다. 고마운 질문이다. 많은 이들이 이런 물음에 빠져 있기 때문이다.

    우선 그 질문을 좀 더 정확하게 바꿔야 한다. 서민이 더 힘든 것이 아니라 아직 힘든 것이다. 기득권 언론이나 보수정치권이 그런 식으로 프레임을 몰고 가고 있지만 서민이 잘 살다가 지금 어려운 것이 아니지 않는가. 그래서 ‘왜 아직 힘드냐.’가 더 정확한 표현이다.

    지금도 힘들고 1년 전에도 힘들었고 5년 전, 10년 전에도 힘들었다. 그렇다면 다시 질문을 수정해서 서민을 위한 경제 정책을 펼치는데 왜 서민은 아직 힘들까.

    솔직히 나는 경제학을 전공한 사람이 아니라 이를 명확하게 설명할 수 없다. 하지만 역사는 좀 안다. 그래서 그걸 빗대 이야기를 해보고자 한다. 모두 기억하는가.

    보수정권은 8,90년대 호황시절 성장 위주로 경제를 운영하다 끝내 이 나라를 외환위기에 빠뜨렸다. 국고가 바낙나 IMF에 경제 주권을 위탁한 상태로 김대중 정부는 나라를 위임받았다. 온 국민의 고통분담과 구조조정으로 2년 만에 IMF위기를 벗어났고 4년도 안 돼 IMF 관리체제를 종식시켰다. 전 세계에 유래가 없는 일이었다.

    노무현대통령이 취임하고 1년도 안 돼 경제가 죽었다며 야당과 언론의 선동으로 온 나라가 난리가 났다. 야당은 ‘환생경제’라는 웃기지도 않는 연극을 하며 경제를 살리라고 쇼를 했다. 심지어 ‘경포대’ 즉 경제를 포기한 대통령이라는 신조어까지 만들어 참여정부가 경제에 실패했다고 연일 떠들었다. 사람들도 다들 그런 줄 알았다. 정말 경제가 나빠졌다고 생각했다. 이는 이명박이라는 천하의 사기꾼에게 정권을 넘겨주는 계기가 되었다. 하지만 몇 년이 지난 후 우리는 진실을 알게 되었다.

    참여정부의 경제 실적이 어떤 지에 대한 진실을 알게 되었다.(당시까지를 기준으로)

    역대 대외수출 최대 증가(압도적이다), 역대 최고 수준의 고용율, 역대 최대 1인당 면목 국민소득 증가, 국가 정보화 순위 3위, 1인당 국민소득 2만 달러 달성, 역대 최소수준의 소비자물가상승률, 3%대의 실업률, 문민정부보다 훨씬 적은 부도업체 수, 문민정부보다 훨씬 높은 소득5분위 분배율, 문민정부 절반도 안 되는 제조업 부채비율, 종합주가지수 2000 달성, 사회복지비 예산 대폭 증가 등 대부분의 경제 지표가 당시까지 최고 수준이었다.

    그런데도 경제가 죽었다고 그렇게 온 언론과 정치권이 설레발을 쳤던 것이다. 더 이상 언론과 보수정치권의 거짓말에 속아 넘어가서는 안 된다. ‘서민이 더 어렵다’, ‘경제가 죽었다’라는 거짓말에 속아 넘어가서는 안 된다.

    물론 그럼에도 서민은 어렵다. 하지만 더 어려운 것이 아니라 아직 어려운 것이다. 그 원인은 단순 경제 성장 부진에 있는 것이 아니다. 서민의 소득이 아직 충분히 증가하지 않기 때문이다. 서민의 지출이 아직 충분히 감소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런 연유로 소비가 죽고 소비가 죽으니 경제가 충분히 살아나지 않는 것이다. 소득주도 성장으로 패러다임이 바뀐 이유가 바로 그 때문이다. 서민과 국민이 실제로 경제성장의 혜택을 받고 주체가 되게 하기 위해 경제 패러다임을 바꾸는 것이다.

    좀 다른 이야기를 해 보겠다.

    1858년 에이브러햄 링컨은 노예제의 완전 폐지를 주창하며 상원의원에 출마했지만 낙선했다. 당시 미국 북부지역은 이미 노예제가 상당수 폐지되었지만 목화와 농업을 중심으로 하는 남부는 노예제를 오히려 더 강화하고 있었다. 링컨은 낙선에 좌절하지 않고 1860년 대통령 선거에 출마해 끝내 당선되었다.

    노예제 폐지를 반대하는 남부주들이 노예제 폐지론자인 링컨이 당선되자 이에 반발해 분리 독립 전쟁을 일으켰다. 링컨은 이에 굴하지 않고 남북세력에 맞서 당당히 싸웠다. 그리고 전쟁이 한창이던 1862년 노예를 영구히 해방시킨다는 ‘노예해방 선언’을 하기에 이른다. 그리고 1863년 게티즈버그에서 ‘국민을 위한 국민의 의한 국민의 정부는 지상에서 사라지지 않을 것이다.’라는 그 유명한 연설을 한다. 그 후로도 2년이 지나서야 남북전쟁이 북군의 승리로 종료가 된다.

    이렇게 노예는 해방되었을까? 흑인들은 자유인이 되고 불행 끝 행복 시작이 되었을까? 모두가 알다시피 아니다. 목장의 노예에서 공장의 노동자로 삶의 위치가 바뀌었을 뿐 그들의 삶은 여전히 힘들었다. 수많은 차별받는 삶을 이어갔다. 그리고 또 백년이 지나 1963년 그 링컨 기념관 앞에서 한 흑인이 유명한 연설은 한다. 나와 비슷한 연식이 있는 사람들은 모두가 기억하는 성문종합영어에도 나오는 마틴 루터 킹의 명 연설문 “I have a dream“이다. 그는 ”all men are created equal“이라는 꿈을 외쳤다. 그렇게 흑인들과 함께 싸워 마침내 온전한 투표권을 쟁취했다.

    하지만 그것이 끝이 아니다. 그 이후로도 단지 피부가 검다는 이유만으로 많은 흑인들은 여러 가지 박해를 받았다. 그런 세월을 딛고 마침내 2009년 흑인출신 대통령 오바마가 당선되기에 이른다. 링컨이 노예해방을 들고 나온 후 150년 동안 긴 세월 흑인의 인권은 지속적으로 개선되어 오늘에 이르렀다.

    그렇게 긴 세월이 걸렸지만 그 누구도 링컨이 노예해방을 선언하고 헌법을 바꿨을 때 흑인의 삶은 왜 아직 이 모양이냐며 의미 없는 짓을 그만두자고 하지 않았다. 갈 길은 멀지만 이 길은 옳은 길이기에 계속 가자고 했다. 그렇게 뚜벅뚜벅 걸어온 길이 바로 지금의 미국을 만든 것이다.

    모든 개혁은 그렇게 긴 호흡이 필요하다. 그 개혁의 방향이 옳으냐가 중요하다. 경제 개혁은 더욱 그렇다. 우리는 국민과 서민의 삶이 바뀌는 소득주도 경제 성장 개혁을 이제야 선언하기에 이르렀다. 아직 기득권과의 전쟁은 채 시작도 안했다. 그런데 왜 아직 서민의 삶이 좋아지지 않느냐고 묻는다면 우린 무엇이라 답해야 하는가. 힘드니 여기서 이 개혁을 멈춰야 한다고 해야 할까?

    나의 답은 이것이다.

    국민을 위한 국민에 의한 국민의 정부는 지상에서 절대 사라지지 않을 것이다.

    나에게는 꿈이 있다. 모든 사람이 행복하게 사는 세상이 올 것이라는 꿈이 있다.

    그래서
    We cannot turn back.

  • 6. ㅎㅎㅎㅎ
    '18.8.29 10:04 PM (125.186.xxx.102) - 삭제된댓글

    읍읍이들 내부총질 지겹다

  • 7. ...
    '18.8.29 10:09 PM (125.176.xxx.90)

    와. 짧은 글이지만 정독하니 눈물 나요
    문프께서 그렇게 방향을 잡아갈거라 믿어요
    전 문프 믿어요
    제대로 방향 잡아 가신다고 믿어요
    기레기들한테 절대 안휘둘립니다.
    극좌파들한테도 안휘둘립니다.
    극좌파들은 참여정부가 신제국주의 체제 만들었다고 노통을 미워합니다.
    내부의 정통이나 민평련이나 극좌파들 손잡고 노통 문통 미워해요
    그 사람들한테 안휘둘립니다

  • 8. 맞다..공감이다.
    '18.8.29 10:10 PM (118.218.xxx.190)

    누가 속이고 있는지 알 수 있는 글이다..
    좋은 글이라 추천하고 싶다...
    국민들이 잘 살면 먹을 파이가 적어져서 싫어하는 자들이 날뛰는 것임을...

  • 9. ///
    '18.8.29 10:11 PM (223.62.xxx.34)

    지금도 힘들고 1년 전에도 힘들었고 5년 전, 10년 전에도 힘들었다.
    더 어려운 것이 아니라 아직 어려운 것이다.333

  • 10. 감사
    '18.8.29 10:13 PM (115.140.xxx.190)

    동감합니다. 저도 문정부의 개혁의 방향성이 옳기에 지켜보며 기다릴려구요!

  • 11. ,,
    '18.8.29 10:14 PM (183.100.xxx.229)

    Good 베스트에 올라야할 글이네요

  • 12. 터널의 막바지
    '18.8.29 10:23 PM (39.125.xxx.230)

    되돌아가지 않는다

  • 13.
    '18.8.29 10:24 PM (125.177.xxx.105)

    좋은글 감사합니다
    오늘 문대통령 얼굴보니 많이 상하셨더라구요

  • 14. ..
    '18.8.29 10:28 PM (59.6.xxx.219) - 삭제된댓글

    보수진보 막론하고 엄청나게 물어뜯지만 난 꿋꿋이 지지한다는..

  • 15. 그쵸
    '18.8.29 10:34 PM (59.6.xxx.30)

    We cannot turn back.
    멋진 글이네요

  • 16. Ghjkk
    '18.8.29 11:12 PM (110.14.xxx.83)

    잘 읽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17. ..
    '18.8.29 11:18 PM (125.132.xxx.157)

    공감합니다. 글 감사합니다.

    참여정부때
    지표를 가지고 설명해도 아무 소용 없어 지쳐버리고 말았던 거에 비하면
    지금은 문파들이 정신차리고 있으니 그만큼 나아진 거라고 위로해봅니다.

    문재인정부 끝까지 지지합니다.

  • 18. ..
    '18.8.30 9:03 AM (118.223.xxx.105) - 삭제된댓글

    다 공감가는 내용 입니다

  • 19. 너무너무
    '18.8.30 9:34 AM (211.220.xxx.118) - 삭제된댓글

    공감 지수 백 입니다
    많이들 읽으셨음 좋겠어요..
    문프 끝까지 견고하게 지지 해야지요.

  • 20. phua
    '18.8.30 12:39 PM (58.123.xxx.184)

    훌쩍........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851055 시조카랑 같은 유치원 보내게 생겼어요. 4 남의편땜에 2018/09/03 2,280
851054 이재명 욕하면 알바라고 하는것들,,,진짜 진상~~~ 60 .... 2018/09/03 753
851053 희성처럼 운명적여인을 잃고 난 후의 삶은 어떤 걸까요? 8 미스터선샤인.. 2018/09/03 1,780
851052 중국지역 국제학교 보낼곳 2 여름끝 2018/09/03 814
851051 독감접종효과시기 3 독감주사 2018/09/03 934
851050 펑펑 눈물나는 영화 추천해주세요 24 ㅡㅡ 2018/09/03 2,286
851049 비오는 날 파마 2 풍경 2018/09/03 1,722
851048 남편이 삐쳐서는... 10 지겨워 2018/09/03 3,234
851047 추석때 아이랑 둘이만 있는데.. 3 나야나 2018/09/03 1,184
851046 딸에게 시각장애인 소개시켜주려던 엄마 4 .. 2018/09/03 3,632
851045 남편이 등기증 훔쳐 집나갔다는 글이요 8 커피 한잔 .. 2018/09/03 4,573
851044 지하철 타면서 불유쾌한 경우들요 23 ... 2018/09/03 3,005
851043 당신도 언젠가는 82쿡에서 드루킹류가 될수 있다 12 미세스82 2018/09/03 538
851042 5kg 감량 팀 꾸준히 하고 계시나요 10 일일 2018/09/03 1,474
851041 박미경 몸매진짜 10 커피 2018/09/03 8,406
851040 이혼남이고 이혼녀고 다 비혼자? 1 oo 2018/09/03 1,289
851039 거실매트 추천하실만한거 없나요?? 매트 2018/09/03 613
851038 비가 또 오네요 2 ㅇㅇ 2018/09/03 692
851037 한글도 제대로 못쓰는 작전세력들 19 일베재명꺼져.. 2018/09/03 747
851036 미우새 김건모 맞선녀가 웨딩플래너..... 24 어휴 2018/09/03 19,176
851035 비가 또 오네요 1 주륵 2018/09/03 615
851034 It’s what’s inside that matters. 문.. 3 영어질문이요.. 2018/09/03 4,711
851033 남편더러 너 연애 잘하겠다~ 4 시어머니 2018/09/03 1,912
851032 김어준의 뉴스공장 주요내용(페북 펌) 24 ... 2018/09/03 996
851031 빅마마 이혜정씨네 같은 주방이라면 5 요리 2018/09/03 3,7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