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사는 동네에 문방구 있나요?

사는 조회수 : 973
작성일 : 2018-08-27 12:50:09

저 사는 동네엔 학교앞 진짜 작은 문방구가있어요.

급한거야 거기서 사지만 무지무지 비싸요.

샤프심이 2500원짜리를 아저씨가 자꾸 강매하시고.

지우개도 제일 싼게 1000원이에요.

그래서 다들 다이소를 문방구처럼 이용하죠.

그런데 이번에 동반성장위에서 다이소도 낱개판매를 금지시킨다네요.

그럼 색연필도 2묶음씩, 노트도 10매씩 사야 하는 상황이 되네요.

별거 아니죠.

얼마 안 되는 돈일 수 있는데 결국 서민 경제 물가 올리는 짓 같아 보여요.

예전에 동네 상권 서점 보호한답시고 도서정가제 시행했죠.

그래서 동네 서점이 문을 안 닫던가요.

고등학교 앞 서점들은 어찌어찌 버티고 있지만 나머진 다 망했죠.

소비자 물가만 올렸어요.

예스24나 알라딘 같은 온라인 업체만 수익이 올라갔고요.

그 이후로 전 책도 예전만큼 안 사게 되더라고요.

요즘 다시 불붙어 사 읽고는 있지만.

서민 경제를 서민 자영업자 살리는데 촛점을 두는 것도 좋지만 장기적 관점에서 과연 이게 서민 자영업자들을 위한 길일까.

왜 생각을 안 하죠.


IP : 58.141.xxx.147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요즘
    '18.8.27 12:55 PM (58.230.xxx.242)

    학교 앞에 아예 문방구 없는 곳도 많아요.
    그나마 자꾸 사라져갑니다.
    비쌀 수밖에 없습니다.

  • 2. ㅁㅁ
    '18.8.27 12:57 PM (110.70.xxx.252) - 삭제된댓글

    그놈에 의약분업즈음
    약도 낱개 판매안돼 한번먹을것도 통채 사도록 만들고
    누굴 위한 정책인건지

  • 3. 그러니까요
    '18.8.27 1:01 PM (175.223.xxx.62)

    일본이라는 나라는 안좋아하는데..일본상품은 정말 일인 개개인을 위해서 소비자가 만족하는 상품이 있더라구요.
    어디서든 내가 필요한만큼 사서 쓰겠다는데 왜 그걸 못하게 하는걸까요?

  • 4.
    '18.8.27 1:19 PM (117.123.xxx.188)

    문방구만 해서는 생계유지도 안 되지요
    서점을 같이해야 하는 데
    책은 정가제니 온라인에서 주로 사고요...
    작은 정책하나에도 죽고사는 문제가 되는 분들 많아요

  • 5. 프린
    '18.8.27 2:08 PM (210.97.xxx.128)

    동반성장도 좋고 다 좋은데요
    그런정책은 적어도 문방구가 없어지기 전에 했어야 한다봐요
    이미 예전에 학교앞마다 하나,둘씩 있었던 문방구들은 없어졌어요
    학교준비물도 등교길에 사는 문화자체가 없어졌고 사람들은 미리 준비 하는거,다른곳에서 사는 습관을 들였구요
    그런데 이제와 이런정책하면 당장 많이 불편해지고 부담스러워지죠
    그렇다고 이미 없어진 문방구가 당장 학교앞마다 생길 것도 아니구요
    저도 다이소가 소상공인 업종을 잠식해가고 대궐마냥 몇층건물 전체 불 환하게 켜놓고 다이소간판 크게 하는 현상이 문제가 아니라는건 아녜요
    일단 다이소 출점제한부터 시작하고 문방구를 열 여건부터 만든후에 해야할 규제라는거죠
    작은문보다 큰문부터 막고 작은문을 손보는게 합리적수순이니까요

  • 6. ..
    '18.8.27 2:30 PM (222.237.xxx.88)

    다이소 전체 매장의 40% 수준인 470여 개 가맹점은 규제 대상에서 제외되어요. 직영점이 아닌 가맹점주는 소상공인이라는 다이소 주장을 정부와 문구업계가 인정하는 분위기이기 때문이라네요.
    이용에 큰 걱정 안해도 됩니다.

  • 7. 있긴 해요
    '18.8.28 8:33 AM (118.222.xxx.105)

    있기는 한데 10 여년 전에 비해서 4분의 1로 공간을 줄였어요.
    이거야 어제 오늘 일이 아니고 벌써 한참 전이죠.
    책은 온라인에서 사고 문구류는 살일이 많지 않잖아요.
    초등학교 준비물 안 가지고 다니게 된 이후 그리고 대형 마트 생긴 이후로 동네 문구점 거의 문 닫았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849186 서울 즐기기 참고하세요^^ 10 바람 솔솔 2018/08/28 2,134
849185 베니스 피렌체 일정과 숙소 24 이탈리아 자.. 2018/08/28 2,060
849184 이낙연 총리가 좋아합니다 17 00 2018/08/28 1,599
849183 빚을 다갚았어요! 10 oo 2018/08/28 4,441
849182 82도 예전 망해가던 마이클럽 꼴 날 듯 44 ... 2018/08/28 5,754
849181 여자들 어깨 너비는 보통 몇센티 일까요. 3 여자 2018/08/28 2,904
849180 유투브로 영화 요약해서 보여주는거 추천좀.. 2 ... 2018/08/28 626
849179 정치댓글알바들 적발시 빨간줄 그으면 좋겠네요 7 ... 2018/08/28 480
849178 진짜 개혁을 할려면 법조계 출신들... 3 ... 2018/08/28 480
849177 文시절 취업자, 朴때의 1/5토막 보도의 비밀 3 .. 2018/08/28 713
849176 저는 빈댓글 반대합니다 25 안돼요 2018/08/28 1,535
849175 아직도 빈댓글달고 빈댓글 달게해달라는 사람들..이제 신고할게요... 42 음.. 2018/08/28 1,255
849174 신부 어머니 한복 1 한복 2018/08/28 2,176
849173 급질)생활영어 초보 질문좀 할게요 ^^ 3 aa 2018/08/28 969
849172 이재용 승계작업 요약[복습] 25 프로댓글러 2018/08/28 1,154
849171 文대통령 "최저임금 인상, 이미 소기의 성과 거두고 있.. 19 ... 2018/08/28 3,430
849170 빈댓글로 간신히 82가 정화되나했는데 23 ... 2018/08/28 1,250
849169 피노키오 모자뚜껑 냄비(수입코너 하신분 봐주세요) 2 ... 2018/08/28 652
849168 속좁고 잘 삐지는 남편땜에 정말 돌아버리겠어요. 15 청담동딸래미.. 2018/08/28 6,670
849167 이정렬 “이재명 당선무효형 나올 것"...고발대리인 자.. 27 ㅇㅇ 2018/08/28 2,558
849166 로또를 샀어요 5 로또1등 2018/08/28 1,400
849165 현미유. *마트서 사먹는데 괜찮을까요? 6 바다노을 2018/08/28 1,287
849164 방송볼 때, 시끄럽고 소란스러운 연예인들이나 분위기가 싫어요. 9 ㅇㅇ 2018/08/28 2,657
849163 머리 망치고 심난해요 10 ㅇㅇ 2018/08/28 2,009
849162 유투브 시작하면서 영화를 안 보게 되네요 4 ㅇㅇ 2018/08/28 1,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