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최저 임금으로

문프님 조회수 : 967
작성일 : 2018-08-25 00:00:54
총 공격 하는데
총선때 생각해 보세요
다른 주자들도 다 최저임금 인상 공약 했어요
지금 우리가 공격 해야할 대상은  
문프님 애 먹이려 작정한 자한당과 보수 세력 입니다

경제가 어려워 진건 
지난 9년동안 
저들이 대기업에게 골목 상권 까지 다 내주며
국민 혈세까지 먹어 치웠기 때문 이예요

양승태건 까지 다 까발려 졌는데도
최저 임금 인상 탓을 문프님께 돌려
이 정부 망하기만을 학수 고대 하는 
보수 언론과 자한당에 속지 맙시다

지금 가장 시급한 문제는 그네가 지 멋대로 걷어들여 남아 도는 세금으로
경기를 회복 시키는데 도움을 주는건데
자한당이 문프님 엿먹이려 인준 안해주는 겁니다
괜한 최저 임금 인상탓 그만 하시고
뭐가 팩트인지 알려고 노력이라도 해 보자구요
 
IP : 121.154.xxx.40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8.8.25 12:07 AM (175.195.xxx.139) - 삭제된댓글

    그냥 갖다 엮어 까는거죠.

  • 2. 안속아요!
    '18.8.25 12:09 AM (174.230.xxx.126)

    문프 지지율 떨어지길만을 학수고대하는 세력들한테 속을 수 없죠

  • 3. 좋은 댓글 끌올
    '18.8.25 12:58 AM (123.213.xxx.212)

    ...

    '18.8.20 8:31 PM (211.59.xxx.154)

    그리고 노동의 생산성 이딴 걸 떠나서
    지금 이렇게 고착화된 부의 편중화를 내버려 두게 되면
    대공황이 오게 됩니다.
    대공황이 왜 오게 됐는지 아시나요?

    예를 들어 사회적 부가 200이라면
    기업가 1명이 100을 가지고,
    노동자 100명이 각자 1을 받고 살아요.
    이런 상황에서 사회는 잘 굴러가죠.

    그러던 것을 기업가가 탐욕을 부리기 시작하죠. 더 많이 갖고 싶어졌거든요.
    그래서 사업에 찾아온 위기를 기회로 자기 몫을 190으로 챙기고
    노동자들에게는 10 을 남겨주죠. 회사가 어려워서 이렇게 밖에 할 수 없다.
    노동자들은 그 10을 100명으로 나눠서 0,1씩 챙기던가
    아니면 회사가 내 건 정리해고 안에 동의할 수 밖에 없죠.

    그런데 문제는 이제 소득이 10분의 1로 줄어든 노동자들은 더 이상 물건을 소비할만한 여력이 없죠.
    겨우겨우 입에 풀칠만 할 수 있는 빠듯한 상황에 여유로운 소비생활은 불가한거죠.
    진열장에 안 팔린 물건들이 쌓여가고
    공장에는 창고에 재고가 가득해져 가죠.
    공장은 물건이 안 팔리니 가동할 수가 없고 이윤이 나지 않으니
    다시 직원들을 해고하기 시작하죠.
    그리고 계속 무한 도돌이표...

    한 국가의 부가 소수 일부 계층에게 집중되면 이런 일은 필연적으로 반복될 수 밖에 없어요.
    부의 낙수효과 거짓말이란 거 이미 옛날에 밝혀진 사실이구요.
    부자에게 돈 좀 더 쥐어줘봤쟈 절대 돈 안 씁니다.

    자유방임정책으로 일관하던 근대 이후 서구들이 이후 수정자본주의로 전환하게 된 것도
    기업가의 탐욕을 내버려두면 나라 경제를 파탄낼 수도 있다는 뼈아픈 경험에서 비롯된 거니까요.
    그러다가 1,2차 오일파동 이후 다시 신자유주의가 판을 치고
    우리는 지금 그 정점 신보수주의에 이르러 서 있죠.

    과거의 경험을 망각하고 그 교훈을 되새기지 않으면
    역사는 되풀이됩니다.

    솔직히 최저임금제는 명박 근혜 정부에서 진작에 손 봤어야 하는 정책입니다.
    10년 전, 20년 전 물가 대비 소득을 현재와 비교해보세요.
    사회의 모든 부를 기업이 재벌이 독식하는 구조
    상당히 건강하지 못한 사회이고, 위기에 필연적으로 취약할 수 밖에 없는 구조입니다.
    최저생활계층에 대한 보호 차원을 떠나 국가 전체적으로 봤을 때도 그렇습니다.
    물론 정책 시행 과정에서 실질적으로 아르바이트생에게 최저임금으로 시급을 지급해야 하는
    소상공인의 열악한 상황을 더 고려하지 못했다는 것은 아쉬움에 남지만,
    앞으로 정책에 더 고려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최저임금이 오른 만큼 가맹본사로의 로열티 지급 인하나
    상가점포의 임대료 상승 억제 대책 같은 것이 뒤따라야겠지요

  • 4. .............
    '18.8.25 1:00 AM (123.213.xxx.212)

    김 부총리는 이날 오전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에서 열린 2017 회계연도 결산 등 종합정책질의에서 "정책들이 상당한 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시간이 필요하다"며 이렇게 말했다.

    이어 "소득주도성장은 최저임금 인상 뿐 아니라 일자리 창출, 필수 생계비 절감, 사회 안전망 구축, 공적 자금 확충 등이 모인 패키지"라며 "최저임금 인상 (문제가) 부각되니 소득주도성장이 최저임금 인상과 동일시되는 것은 조금 안타깝게 생각한다"고 전했다.

    김 부총리는 또 "소득주도성장과 혁신성장은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같이 가야 궁극적으로 우리 경제가 지속 가능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https://news.v.daum.net/v/20180822111514961

  • 5. 한번더 읽으시라고..
    '18.8.25 8:56 AM (125.132.xxx.214)

    '18.8.20 8:31 PM (211.59.xxx.154)

    그리고 노동의 생산성 이딴 걸 떠나서
    지금 이렇게 고착화된 부의 편중화를 내버려 두게 되면
    대공황이 오게 됩니다.
    대공황이 왜 오게 됐는지 아시나요?

    예를 들어 사회적 부가 200이라면
    기업가 1명이 100을 가지고,
    노동자 100명이 각자 1을 받고 살아요.
    이런 상황에서 사회는 잘 굴러가죠.

    그러던 것을 기업가가 탐욕을 부리기 시작하죠. 더 많이 갖고 싶어졌거든요.
    그래서 사업에 찾아온 위기를 기회로 자기 몫을 190으로 챙기고
    노동자들에게는 10 을 남겨주죠. 회사가 어려워서 이렇게 밖에 할 수 없다.
    노동자들은 그 10을 100명으로 나눠서 0,1씩 챙기던가
    아니면 회사가 내 건 정리해고 안에 동의할 수 밖에 없죠.

    그런데 문제는 이제 소득이 10분의 1로 줄어든 노동자들은 더 이상 물건을 소비할만한 여력이 없죠.
    겨우겨우 입에 풀칠만 할 수 있는 빠듯한 상황에 여유로운 소비생활은 불가한거죠.
    진열장에 안 팔린 물건들이 쌓여가고
    공장에는 창고에 재고가 가득해져 가죠.
    공장은 물건이 안 팔리니 가동할 수가 없고 이윤이 나지 않으니
    다시 직원들을 해고하기 시작하죠.
    그리고 계속 무한 도돌이표...

    한 국가의 부가 소수 일부 계층에게 집중되면 이런 일은 필연적으로 반복될 수 밖에 없어요.
    부의 낙수효과 거짓말이란 거 이미 옛날에 밝혀진 사실이구요.
    부자에게 돈 좀 더 쥐어줘봤쟈 절대 돈 안 씁니다.

    자유방임정책으로 일관하던 근대 이후 서구들이 이후 수정자본주의로 전환하게 된 것도
    기업가의 탐욕을 내버려두면 나라 경제를 파탄낼 수도 있다는 뼈아픈 경험에서 비롯된 거니까요.
    그러다가 1,2차 오일파동 이후 다시 신자유주의가 판을 치고
    우리는 지금 그 정점 신보수주의에 이르러 서 있죠.

    과거의 경험을 망각하고 그 교훈을 되새기지 않으면
    역사는 되풀이됩니다.

    솔직히 최저임금제는 명박 근혜 정부에서 진작에 손 봤어야 하는 정책입니다.
    10년 전, 20년 전 물가 대비 소득을 현재와 비교해보세요.
    사회의 모든 부를 기업이 재벌이 독식하는 구조
    상당히 건강하지 못한 사회이고, 위기에 필연적으로 취약할 수 밖에 없는 구조입니다.
    최저생활계층에 대한 보호 차원을 떠나 국가 전체적으로 봤을 때도 그렇습니다.
    물론 정책 시행 과정에서 실질적으로 아르바이트생에게 최저임금으로 시급을 지급해야 하는
    소상공인의 열악한 상황을 더 고려하지 못했다는 것은 아쉬움에 남지만,
    앞으로 정책에 더 고려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최저임금이 오른 만큼 가맹본사로의 로열티 지급 인하나
    상가점포의 임대료 상승 억제 대책 같은 것이 뒤따라야겠지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868368 한의원 실비되나요? 4 .... 2018/10/29 2,751
868367 누가 나를 쫓아오는꿈을 자주 꾸는데요 1 ... 2018/10/29 4,320
868366 42세. 와... 먹으면 먹는대로 찌고, 1kg빼려면 난리를 치.. 15 ddd 2018/10/29 7,002
868365 김승현 홈쇼핑에 나오네요 30 홈쇼핑 2018/10/29 20,744
868364 꿈에 유시민작가님이 나오셨어요~ 4 .... 2018/10/29 854
868363 비엔나 여행중 황당 9 목말라 2018/10/29 4,392
868362 고양이를 맡겼는데 탈출했다가 열흘만에 찾았어요 22 야옹 2018/10/29 4,287
868361 고교지망때문에 골머리 6 빙빙 2018/10/29 1,609
868360 베란다 없는 아파트에서 기르기 좋은 나무 뭐 있을까요 7 풀꽃 2018/10/29 2,964
868359 방탄팬만 보세요-지민이 자자곡 일부 발표했다는데 7 ... 2018/10/29 2,245
868358 직원생일때 상사가 집에서 식사를 대접하기도 하나요? 14 열매사랑 2018/10/29 2,540
868357 내일 초중생 아이들 롱패딩 입혀도될까요? 21 옷차림 2018/10/29 4,655
868356 머리숱을 다 쳐놨는데 파마할까요ㅠ 2 어휴~망했어.. 2018/10/29 1,833
868355 다이어트약먹고 있는데 살이 안빠지고 있어요 7 11나를사랑.. 2018/10/29 3,397
868354 제가 암이라도 걸리면 애가 철이 좀 들까요? 31 ... 2018/10/29 5,967
868353 양껏 먹는분 얼마나 계시나요 11 ㅇㅇ 2018/10/29 3,481
868352 꿈해몽.. 아이에게 젖 먹이는 꿈.. 2 젖 먹이는 .. 2018/10/29 2,614
868351 한유총을 보면 자한당을 보는 듯 5 **** 2018/10/29 826
868350 이재명 10시간 조사 받고 귀가 20 읍읍 아웃 2018/10/29 2,710
868349 발바닥 붙이고 앉을때 양무릎이 방바닥에 닿으시나요? 6 요가 2018/10/29 1,480
868348 스테인리스 궁중팬 들러붙나요? 8 .. 2018/10/29 1,615
868347 맥심 커피 13 종류 2018/10/29 3,616
868346 주식이랑 코스닥 폭락원인이 정말 문재인 때문인가요? 22 강소라 2018/10/29 3,753
868345 양념닭발 몸에 좋은건가요 3 무슨맛?? 2018/10/29 1,409
868344 기도로 기적을 이루신 적 있나요? 15 궁금 2018/10/29 7,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