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최저 임금으로
1. ...
'18.8.25 12:07 AM (175.195.xxx.139) - 삭제된댓글그냥 갖다 엮어 까는거죠.
2. 안속아요!
'18.8.25 12:09 AM (174.230.xxx.126)문프 지지율 떨어지길만을 학수고대하는 세력들한테 속을 수 없죠
3. 좋은 댓글 끌올
'18.8.25 12:58 AM (123.213.xxx.212)...
'18.8.20 8:31 PM (211.59.xxx.154)
그리고 노동의 생산성 이딴 걸 떠나서
지금 이렇게 고착화된 부의 편중화를 내버려 두게 되면
대공황이 오게 됩니다.
대공황이 왜 오게 됐는지 아시나요?
예를 들어 사회적 부가 200이라면
기업가 1명이 100을 가지고,
노동자 100명이 각자 1을 받고 살아요.
이런 상황에서 사회는 잘 굴러가죠.
그러던 것을 기업가가 탐욕을 부리기 시작하죠. 더 많이 갖고 싶어졌거든요.
그래서 사업에 찾아온 위기를 기회로 자기 몫을 190으로 챙기고
노동자들에게는 10 을 남겨주죠. 회사가 어려워서 이렇게 밖에 할 수 없다.
노동자들은 그 10을 100명으로 나눠서 0,1씩 챙기던가
아니면 회사가 내 건 정리해고 안에 동의할 수 밖에 없죠.
그런데 문제는 이제 소득이 10분의 1로 줄어든 노동자들은 더 이상 물건을 소비할만한 여력이 없죠.
겨우겨우 입에 풀칠만 할 수 있는 빠듯한 상황에 여유로운 소비생활은 불가한거죠.
진열장에 안 팔린 물건들이 쌓여가고
공장에는 창고에 재고가 가득해져 가죠.
공장은 물건이 안 팔리니 가동할 수가 없고 이윤이 나지 않으니
다시 직원들을 해고하기 시작하죠.
그리고 계속 무한 도돌이표...
한 국가의 부가 소수 일부 계층에게 집중되면 이런 일은 필연적으로 반복될 수 밖에 없어요.
부의 낙수효과 거짓말이란 거 이미 옛날에 밝혀진 사실이구요.
부자에게 돈 좀 더 쥐어줘봤쟈 절대 돈 안 씁니다.
자유방임정책으로 일관하던 근대 이후 서구들이 이후 수정자본주의로 전환하게 된 것도
기업가의 탐욕을 내버려두면 나라 경제를 파탄낼 수도 있다는 뼈아픈 경험에서 비롯된 거니까요.
그러다가 1,2차 오일파동 이후 다시 신자유주의가 판을 치고
우리는 지금 그 정점 신보수주의에 이르러 서 있죠.
과거의 경험을 망각하고 그 교훈을 되새기지 않으면
역사는 되풀이됩니다.
솔직히 최저임금제는 명박 근혜 정부에서 진작에 손 봤어야 하는 정책입니다.
10년 전, 20년 전 물가 대비 소득을 현재와 비교해보세요.
사회의 모든 부를 기업이 재벌이 독식하는 구조
상당히 건강하지 못한 사회이고, 위기에 필연적으로 취약할 수 밖에 없는 구조입니다.
최저생활계층에 대한 보호 차원을 떠나 국가 전체적으로 봤을 때도 그렇습니다.
물론 정책 시행 과정에서 실질적으로 아르바이트생에게 최저임금으로 시급을 지급해야 하는
소상공인의 열악한 상황을 더 고려하지 못했다는 것은 아쉬움에 남지만,
앞으로 정책에 더 고려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최저임금이 오른 만큼 가맹본사로의 로열티 지급 인하나
상가점포의 임대료 상승 억제 대책 같은 것이 뒤따라야겠지요4. .............
'18.8.25 1:00 AM (123.213.xxx.212)김 부총리는 이날 오전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에서 열린 2017 회계연도 결산 등 종합정책질의에서 "정책들이 상당한 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시간이 필요하다"며 이렇게 말했다.
이어 "소득주도성장은 최저임금 인상 뿐 아니라 일자리 창출, 필수 생계비 절감, 사회 안전망 구축, 공적 자금 확충 등이 모인 패키지"라며 "최저임금 인상 (문제가) 부각되니 소득주도성장이 최저임금 인상과 동일시되는 것은 조금 안타깝게 생각한다"고 전했다.
김 부총리는 또 "소득주도성장과 혁신성장은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같이 가야 궁극적으로 우리 경제가 지속 가능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https://news.v.daum.net/v/201808221115149615. 한번더 읽으시라고..
'18.8.25 8:56 AM (125.132.xxx.214)'18.8.20 8:31 PM (211.59.xxx.154)
그리고 노동의 생산성 이딴 걸 떠나서
지금 이렇게 고착화된 부의 편중화를 내버려 두게 되면
대공황이 오게 됩니다.
대공황이 왜 오게 됐는지 아시나요?
예를 들어 사회적 부가 200이라면
기업가 1명이 100을 가지고,
노동자 100명이 각자 1을 받고 살아요.
이런 상황에서 사회는 잘 굴러가죠.
그러던 것을 기업가가 탐욕을 부리기 시작하죠. 더 많이 갖고 싶어졌거든요.
그래서 사업에 찾아온 위기를 기회로 자기 몫을 190으로 챙기고
노동자들에게는 10 을 남겨주죠. 회사가 어려워서 이렇게 밖에 할 수 없다.
노동자들은 그 10을 100명으로 나눠서 0,1씩 챙기던가
아니면 회사가 내 건 정리해고 안에 동의할 수 밖에 없죠.
그런데 문제는 이제 소득이 10분의 1로 줄어든 노동자들은 더 이상 물건을 소비할만한 여력이 없죠.
겨우겨우 입에 풀칠만 할 수 있는 빠듯한 상황에 여유로운 소비생활은 불가한거죠.
진열장에 안 팔린 물건들이 쌓여가고
공장에는 창고에 재고가 가득해져 가죠.
공장은 물건이 안 팔리니 가동할 수가 없고 이윤이 나지 않으니
다시 직원들을 해고하기 시작하죠.
그리고 계속 무한 도돌이표...
한 국가의 부가 소수 일부 계층에게 집중되면 이런 일은 필연적으로 반복될 수 밖에 없어요.
부의 낙수효과 거짓말이란 거 이미 옛날에 밝혀진 사실이구요.
부자에게 돈 좀 더 쥐어줘봤쟈 절대 돈 안 씁니다.
자유방임정책으로 일관하던 근대 이후 서구들이 이후 수정자본주의로 전환하게 된 것도
기업가의 탐욕을 내버려두면 나라 경제를 파탄낼 수도 있다는 뼈아픈 경험에서 비롯된 거니까요.
그러다가 1,2차 오일파동 이후 다시 신자유주의가 판을 치고
우리는 지금 그 정점 신보수주의에 이르러 서 있죠.
과거의 경험을 망각하고 그 교훈을 되새기지 않으면
역사는 되풀이됩니다.
솔직히 최저임금제는 명박 근혜 정부에서 진작에 손 봤어야 하는 정책입니다.
10년 전, 20년 전 물가 대비 소득을 현재와 비교해보세요.
사회의 모든 부를 기업이 재벌이 독식하는 구조
상당히 건강하지 못한 사회이고, 위기에 필연적으로 취약할 수 밖에 없는 구조입니다.
최저생활계층에 대한 보호 차원을 떠나 국가 전체적으로 봤을 때도 그렇습니다.
물론 정책 시행 과정에서 실질적으로 아르바이트생에게 최저임금으로 시급을 지급해야 하는
소상공인의 열악한 상황을 더 고려하지 못했다는 것은 아쉬움에 남지만,
앞으로 정책에 더 고려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최저임금이 오른 만큼 가맹본사로의 로열티 지급 인하나
상가점포의 임대료 상승 억제 대책 같은 것이 뒤따라야겠지요
번호 | 제목 | 작성자 | 날짜 | 조회 |
---|---|---|---|---|
870004 | 어제 꼬막 삶는법 여쭤본 사람이예요 3 | 음 | 2018/11/03 | 2,168 |
870003 | 구리 남양주 지역 건강검진 어디서 받으시나요? 3 | ... | 2018/11/03 | 798 |
870002 | 남편이 티비채널을 돌렸는데 4 | ㅁ | 2018/11/03 | 1,938 |
870001 | 2주 동안 열이나요 4 | 레인보우 | 2018/11/03 | 2,614 |
870000 | 드럼 세탁기 울코스 세탁 2 | 멘붕 | 2018/11/03 | 4,629 |
869999 | 이혼하신분들, 이혼하고 잘살고 계시나요? 25 | 무기력 | 2018/11/03 | 18,531 |
869998 | 담백한간식추천좀 3 | 겨우살이 | 2018/11/03 | 1,201 |
869997 | (천주교)우울할때 보면 좋을 성서.. 추천해주세요 3 | ㅇㅇ | 2018/11/03 | 1,087 |
869996 | 전신맛사지 끊을 수가 없네요ㅠ 16 | ... | 2018/11/03 | 7,749 |
869995 | 천연비누 써보고 좋았던거 추천좀해주세요 6 | 바닐라향기 | 2018/11/03 | 1,776 |
869994 | 뛰어난 미모를 갖고 있다면 19 | .... | 2018/11/03 | 8,977 |
869993 | 조성아 스틱파운데이션 써보신 분? 2 | 지름신무섭네.. | 2018/11/03 | 2,209 |
869992 | 스킨 메이크업 제품에 미백성분 | 피부 | 2018/11/03 | 383 |
869991 | 이불에 남편쉰냄새가 19 | ㅠㅠ | 2018/11/03 | 8,513 |
869990 | 도우미앱으로 일회성으로 써보신분요. 1 | 도우미 | 2018/11/03 | 740 |
869989 | 셀린느 트리오라는 백 편한가요? 4 | ㅇㅇ | 2018/11/03 | 2,325 |
869988 | 왼쪽 옆으로 누워 주무시는 분들 15 | ㅡ | 2018/11/03 | 9,124 |
869987 | 필라테스 선생님 경력이 중요할까요? 3 | .... | 2018/11/03 | 1,875 |
869986 | 서울여대 어떤가요? 22 | ㅇㅇ | 2018/11/03 | 8,422 |
869985 | 고2인데 수능으로 갈거에요 대치동가는게 낫나요? 8 | 겨울 | 2018/11/03 | 2,142 |
869984 | 광장동 쪽 맛집 있나요? 4 | 워커힐 | 2018/11/03 | 1,577 |
869983 | 하나뿐인 내편 유이는 할머니 혈육인가요? 7 | ㅇㅇ | 2018/11/03 | 3,424 |
869982 | 인덕션 전자파, 소음 3 | 아픈 주부 | 2018/11/03 | 4,299 |
869981 | 자외선 차단제 포함된 데이크림 추천 부탁드립니다 2 | 김ㅇㅎ | 2018/11/03 | 827 |
869980 | 생리대 겉 포장지 부직포에 벌레가 박혀(?) 있어요 1 | .. | 2018/11/03 | 1,33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