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제대로된 경제분석

ㄱㄴㄷ 조회수 : 1,016
작성일 : 2018-08-24 13:17:49
‘고용쇼크’, 과연 사실일까?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대의 고용쇼크”라고 한다. 통계청이 ‘5월 고용동향’을 발표했던 지난 6월 중순, 경제 당국자는 “매우 충격적”이고 “저를 포함한 경제팀 모두가 무거운 책임을 느낀다”면서 현 상황을 ‘고용쇼크’로 규정했다. 책임은 최저임금 대폭인상 등 새 정부의 경제정책 탓으로 돌려지고 있다. 다른 어떠한 설명도 구구한 변명이고 현장을 모르는 책상머리 발상으로 치부되고 있다.


고용쇼크 주장의 근거는 취업자 수 증가 폭의 감소다. 지난 2~4월 고용동향에서 전년 동월 대비 취업자 증가 수가 10만 명대 초반을 간신히 유지하다가, 5월에는 7만2000명으로 하락했다. 2017년의 5월의 취업자 증가 수(34만8000명)와 비교해보면 5분의1에 불과하다는 얘기다. 6월 고용동향에서는 사정이 다소 나아지기는 했지만, 취업자 수 증가 폭은 여전히 10만명대 초반에 머물러 있다.

하지만 정말 고용쇼크가 발생했는가? 인구구조 변화를 생각해보면 취업자 수 증가 폭이 줄어드는 건 당연한 일이다. 15세 이상 생산가능인구는 올해 5월 중 전년 동월 대비 23만8000명 증가에 그쳤다. 1년 전의 증가 폭보다 11만 명이나 줄었다. 인구 증가 폭이 줄어드는 데 따른 취업자 수 증가 폭의 감소 효과는 15~64세의 고용률 67.0%를 감안하면 7만4000명에 이른다.

고용의 질적 변화도 살펴봐야 한다. 취업자는 상용직과 임시직, 그리고 일용직으로 구분된다. 이 중 상용직만 살펴보자. 2017년 5월엔 전년 동월 대비 35만명 증가했고, 2018년 5월엔 32만명 증가로 1년 사이 별다른 차이가 없었다. 2018년 5월의 경우 전년 동월 대비 상용직 증가 규모가 15세 이상 인구 유입 규모(23만8000명)를 훨씬 뛰어넘었다는 점에서 고용의 질에 관한 한 고용쇼크가 아니라 오히려 ‘고용서프라이즈’라 할 수 있다.
2017년 5월과 2018년 5월 두 시기의 취업자 수 증가의 차이를 좌우한 건 일용직 일자리의 증감이었다. 상용직과 임시직에서 두 기간은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일용직의 경우엔 2017년 5월은 전년 대비 13만4000명이 증가했던 반면, 2018년 5월에는 오히려 12만6000명이 감소했다. 일용직 근로자 증감에 따른 차이만 무려 26만 명이다. 2018년 5월의 취업자 증가 폭 감소를 모두 설명할 수 있는 꽤 큰 규모이다.

일용직 근로자가 줄어든 이유는 건설업 영향이다. 2017년 상반기에 건설 일용직은 전년 동월 대비 월평균 9만 명씩 증가했던 반면, 2018년 5월에는 오히려 4만8000명 줄어들었다. 사실 일용직은 2010년 이후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 2017년이 예외적인 경우였다.

생각해보자.

일용직 일자리가 2개 늘고 상용직 일자리가 1명 늘어나는 것이 좋은가, 일용직이 1개 줄고 상용직이 2개 늘어나는 것이 좋은가? 전체 취업자 수로만 보면 전자는 3명 증가이고, 후자는 1명 증가지만, 고용시장의 질은 전자보다 후자가 월등히 좋은 것이다. 일용직 중심으로 취업자 수가 3명 늘어나다가, 상용직 1명이 증가하는 것으로 취업자 수 증가 폭이 줄어들은 것을 두고 고용쇼크라고 말할 수는 없지 않을까?

최저임금의 급격한 상승이 최저임금대 근로자 인건비 비중이 높은 일부 자영업자 등의 고용심리를 위축시킬 것은 분명하다. 하지만 최저임금 상승이란 제약요인이 조기 은퇴자의 무분별한 자영업 진입을 막는다면 그것은 오히려 환영할 일이다.


지난해 상반기의 경우 전년 대비 5만~10만 명씩 증가하던 자영업자 수는 올해 상반기에는 확실하게 감소세로 돌아섰다. 과당 경쟁이 벌어지는 자영업 참가자 수의 감소는 바람직하지만 이 경우에도 취업자 수는 줄어든다.




제조업의 고용창출능력이 떨어진 것은 우려할만한 일이고 충실한 대책이 필요하다. 하지만 인구구조 변화나 고용시장 질의 개선을 감안하지 않고, 무턱대고 고용쇼크를 주장하는 건 지극히 경솔할 뿐더러 정치적인 의도가 깔린 주장이라 할 수 있다.

김용기 아주대 경영학과 교수
IP : 218.235.xxx.117
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8.8.24 1:20 PM (223.53.xxx.136)

    좋은 글이네요
    현상황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 2. 통계
    '18.8.24 1:47 PM (219.255.xxx.132)

    라는게 보는 시각에 따라 얼마든지 왜곡되기 마련이라 요즈음 여론에서 쏟아내는 뉴스에 대해 다른시각의 팩트분석이 도움이 됩니다. 최저시급문제가 분명 악영향이지만 실물경제라는게 일년도 안되어 이런 결과로 나온다는게 아둔한거지요..허나 아직 문통의 경제성적이 썩 좋은것 같지는 않네요..좀 더 판단의 시간이 필요해보입니다

  • 3. ..
    '18.8.24 2:31 PM (163.152.xxx.8)

    보수지 경제지가
    문정부 취임시작 때 부터
    최저임금 논란글을 도배했잖아요.
    알만 한 것들이 저러니 통탄스럽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870365 작금을 낭만의 시대라고 하더이다... 7 미션 2018/11/05 1,820
870364 엄마 칠순 비용... 26 .... 2018/11/05 4,530
870363 영화 완벽한타인 어떤가요? 6 .. 2018/11/05 3,157
870362 바베큐용 고기 추천 좀 3 2018/11/05 1,062
870361 특별수행원들의 평양봉변 숨길수없는 숨길 수 없는 김정은의 본색.. 3 민지민정 2018/11/05 961
870360 수건 괜찮은거 좀 알려주세요 2 토톰 2018/11/05 1,046
870359 지리산 둘레길을 겨울에 가면 별들을 볼 수 있을까요? 4 ... 2018/11/05 834
870358 김장 속 양념 하기 많이 어렵나요? 2 소심 2018/11/05 1,745
870357 친구가 너무 원해요... 4 비행기화물칸.. 2018/11/05 4,581
870356 갈비탕이 나을까요 소고기 무국이 나을까요? 둘다 비슷한맛 아닌가.. 4 2018/11/05 1,308
870355 유한양행 항암치료제 개발한건가요? ㅇㅇ 2018/11/05 1,031
870354 어젯밤 꿈에요.. 2 123 2018/11/05 545
870353 오늘은 사무실에 혼자만 있는데 넘넘 좋네요. 6 ... 2018/11/05 1,240
870352 오랫만에 가는데 해운대 숙소 호텔이나 리조트 3인가족 추천해주세.. 4 지젤 2018/11/05 1,227
870351 부끄럽지만 요가할때 10 ... 2018/11/05 4,525
870350 전 어그부츠가 아직도 예쁘고 때뜻하고 좋아요^^ 12 ^^ 2018/11/05 2,295
870349 건강검진 결과지 얼마만에 오나요? 4 나는이제지쳤.. 2018/11/05 1,246
870348 한 술 더 뜬 한유총 “에듀파인 수용할 테니 건물 이용료 달라”.. 13 먹은것내놓고.. 2018/11/05 2,128
870347 저는 폭삭 시어진 갓김치요, 뭐 해 먹지요? 13 .. 2018/11/05 2,916
870346 수능날을 위한 꿀팁 알려드립니다. (내용보강-재업) 57 고3 2018/11/05 8,405
870345 괌 호텔 추천해주세요~조용한곳 19 ㅇㅇ 2018/11/05 1,388
870344 신 파김치는 못먹나요? 12 .. 2018/11/05 2,173
870343 여성 폐암 걸리게 하는 위험 행동 58 조심 2018/11/05 30,657
870342 직장이 광화문 경복궁 근처인분, 정형외과 추천 부탁드려요 3 발목아파요 2018/11/05 1,115
870341 주름치마의 주름은 쉽게 안펴지나요? 5 ... 2018/11/05 7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