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초등 고학년이상 학부모님..6-7세 공부가 많이 중요한가요

.. 조회수 : 2,831
작성일 : 2018-08-22 13:36:04

신혼때부터 살던 동네인데 학군이 서울에서 쌘 곳 이여서

영유는 생각도 안 하다가 주변에서 친한사람들이 영유 보내길래

저도 어찌하다가 폴* 입학테스트 보고 들어갔는데요.

여기 들어오니 반 엄마들과 이야기하다보면 레벨에 엄청 연연하는듯 보입니다.

지금 다니는 영유가 지금도 매달 테스트를 보는데 지금은 점수만 나와서

이게 잘하는건지 못 하는건지 잘 모르겠지만..

나중엔 뭐 레벨대로 반을 나누고 그런다는데..

제가 볼때 저희애는 그냥 잘하지도 못 하지도 않은 중간정도 인거 같아요

나중엔 유치원 이외에 리딩게이트도 하고 뭐도 하고 그런다는데..

어릴때부터 이렇게 한 아이가 정말 공부를 잘 하는건지..

사실 영유 안 다니고 일반유치원 다니는애들이 훨씬 많잖아요.

저희 신랑은 KAGE 레벨테스트도 보라고 하고.

6-7세는 제가 볼때 엄마가 얼마큼 노출시켜주느냐에 따라 선행 좀 더 한 아이가

잘하는거뿐이거 같은데. 그래도 이 나이부터 공부가 많이 중요한건지 궁금합니다.

IP : 61.37.xxx.99
1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8.8.22 1:37 PM (61.74.xxx.224)

    중요하죠... 지금부터 빡세게 선행ㅐ서 중학교까지 따라마셔야해요

  • 2.
    '18.8.22 1:39 PM (112.148.xxx.86)

    그시기에 똑똑한 아이들은 받아들이는게 틀려서,
    엄마의 선행으로도 안되는 아이가 있고, 빛을 발하는 아이가 있어요..

    공부가 중요하진 않은거 같지만,
    호기심은 중요한 시기같아요..

  • 3. 하이고 의미없다
    '18.8.22 1:41 PM (112.216.xxx.139)

    아~무 의미 없습니다.
    영유...? 글쎄요...
    영어권에서 일상 언어를 영어로 쓴다면 모를까 여긴 대한민국이잖아요. 아무 의미 없습니다.

    단순 비교는 안되겠지만 우리 애들 어릴 때 영유가 거의 열풍이었어요. 초창기라 그랬는지...
    지금 다들 중학교 2학년부터 고등학교 2-3학년인데 아~무 의미 없다고 합니다.
    우스개 소리로 그때 그 돈으로 외국 여행이나 다니고 명품 가방이나 사 놓을껄 그랬다고 합니다.

    애들 공부는... 본인이 깨닫고, 머리가 트여야 한다고 봅니다.

    참고로 우리 애는 중학교 3학년때까지 정말 축구만 주구창창 하고 놀다가(학원도 친구들 만나서 놀려고 다님)
    고등학교(일반 남고) 들어가서 반 배치고사 보더니 갑자기 위기의식을 느끼고 공부하더라구요.
    혼자 학원 찾아서 30분씩 차 타고 다녀오고, 인강부터 문제집까지 알아서 챙겨서 듣고 사서 보고 합니다.

    애들마다 다르겠지만, 본인이 각성하고 인지하면 알아서들 공부합니다.
    초등 들어가기 전엔 열심히 놀러다니고 여행다니고 그러세요.
    영유 아~무 의미 없습디다~

  • 4. .....
    '18.8.22 1:42 PM (220.90.xxx.196)

    폴리 가셨군요.
    개미지옥에 올라타셨네요.
    고등부 영어 강사 입장에서 그 레벨이란게 참 웃긴데..
    거기 빠져있으면 도통 헤어나오지 못해요.
    님도 곧 주위 맘처럼 되실꺼고.
    거기서 빠져나오려 마음 먹으려면 진짜 6개월은 불면의 밤으로 고민고민하시겠지요. 이거 과장섞인 말 아니예요.

  • 5. ..
    '18.8.22 1:45 PM (110.35.xxx.73)

    영유보내도 잘하는 애들이나 잘하지
    일유나온애들이랑 나중에 별차이없어요.
    그래도 언어는 노출이 중요하니 보내보셔도
    괜찮지않을까싶네요.
    강남한복판에 사는데 초6딸아이 반아이들
    수학학원 거의 다니고 선행하고 난리인데도
    단원평가백점이 많아야 5명이네요.
    사교육도 아이가 따라올정도는 되야 효과가 있죠.
    유치원생이면 예체능많이 시키시고 독서많이 하게하세요.
    초등가면 할시간도 없고 독서는 습관안잡아주면
    책과 담쌓아요.
    초6 딸아이 저학년때 방학때마다 도서관,서점가서
    살았더니 학년마다 독서상은 꼭 받아오네요.
    정말 독서습관 잘잡아준게 전 제일 잘하거같아요.
    주변엄마들이 제일 부러워하는점이구요.

  • 6. Ddd
    '18.8.22 1:53 PM (39.7.xxx.16)

    목동폴리신가봐요.
    네 초고학년... 유치부때 탑반 애들이 아직도 각 영수학원 가면 탑반에 있고 경시보러 가면 있고 영재원에서 만나고 그래요.

  • 7. ~~~~
    '18.8.22 1:53 PM (218.147.xxx.67)

    잘하는 애들은 일찍부터 느낌와요.
    영유는 언어감각 있는 애들이 더 잘하려고 보내는곳이구요.
    보통 평범한 아이들도 어느정도 거부감은 없애고 오겠지요.
    다만 기대할건 없어요. 그냥 거기서끝.
    그러고 학원 꾸준히 연결시키면 보통 남들 하는 만큼은 할겁니다. 허나 기대는 넘 말구요.


    언어감각 있고 빠른 아이들은 뭐든 잘해요.
    영유 나와서 학원 연결하고
    방학마다 연수 가고 하면 잘 발전합니다.

    평범한 아이들을 가르치려며
    이해력을 우선 상승 시켜야해요.
    이해력 상승되면 다른것들을 빠르게 흡수하는 능력이 생깁니다.
    이해력 상승시키기 위해 좀 투자를 해본다면,
    과학실험 수업이나 창의력 수학을 1~2년 시켜서
    생각하는 능력, 경험 같이 충족해주고
    괴학수학 추천도서를 같이 읽힙니다.

    국어책을 하루에 한 두권이라도 엄마랑 같이 읽음좋구요.
    여행도 도움이 되고, 어떠한 활동이든지 배신하는건 없더라구요.

    이렇게 꾸준히 하면 이해력 상승되고
    학습하는 머리로 점점 바뀌면서 뭘 집어넣어도 잘 따라옵니다.

  • 8. 그런사람
    '18.8.22 1:57 PM (39.7.xxx.138)

    10년쯤 전에도 폴리 다니면 kage도 가더라고요.
    근데 애마다 다르다가 정답이더라고요.

  • 9. ..
    '18.8.22 2:25 PM (58.149.xxx.44)

    유명학군 동네시면 사교육 코스가 있잖아요 거기에 적응시키려면 엄마나 애나 죽어나죠 거기에 플러스 알파 돈까지 하지만 윗분이 언급했듯이 본인이 깨닫고, 머리가 트이면 사교육없이 서울대 갔다고 뉴스에 나오잖아요 머리가 트이려면 어떻게 해야하는지는 지렁이 4개님이 자세히 쓰셨네요

  • 10. 허허
    '18.8.22 2:29 PM (210.100.xxx.239)

    학원 레벨이란거를믿지않는 초6맘입니다.
    영어 수학 모두 집에서해서 둘 다 고등 성적 정도 됩니다.
    수학은 그맘때 초4수준정도는 되었어요.
    초3말부터 중등수학 들어갔고 초5말부터 고등수학 들어갔어요.
    영어는 그맘때 미국교과서랑 챕터북 듣기 많이 했지요.
    그런 학원이 도움되는 아이가 있고
    돈만 들어가고 초등 중학년쯤되면 공부하나도 안시킨아이와 똑같은 아이도 있어요.
    레벨에 너무 빠져 허우적대지만말고
    아이를 객관적으로 보심 돼요.
    초4때 개인적으로 토플시험보러갔더니
    청담 다니는 애들이 차맞춰 떼로왔던데
    엄마들 얘기하는거 들으니
    다들 6학년이더만요.
    어학원이 꼭 도움되지만은 않아요.
    아이마다 달라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883632 인천 횟집과 송도 볼거리와 맛집 28 설렘 2018/12/14 3,700
883631 패딩을 세탁기에 빨고 건조기에 돌렸는데 7 궁금 2018/12/14 6,173
883630 비자금 1억 모았어요.뭐할까요? 10 저기요 2018/12/14 8,301
883629 와이거너무한거아닌가요?왜며느리인제가 69 혈압 2018/12/14 21,005
883628 진학사 - 내신성적 모든 과목 다 넣어야 하나요 1 대입 2018/12/14 964
883627 30㎡ 행복주택 방문한 이해찬 "신혼부부 살기엔 너무 .. 27 .. 2018/12/14 4,214
883626 곡명좀 알려주시면 안될까요(클래식) 3 제발 2018/12/14 910
883625 도움 좀 주세요. 타미플루 5일 먹고 8 독감 2018/12/14 2,515
883624 나는 왜 한남자에게 정착 못하는가 4 tree1 2018/12/14 2,350
883623 4년 전 보령화력서도 태안화력과 유사한 사고 있었다 1 ........ 2018/12/14 498
883622 두드러기가 나면 얼굴에도 나나요? 2 향기 2018/12/14 1,506
883621 진학사가 과연 맞던가요?정시대비로 10 수시탈 2018/12/14 2,409
883620 제발 82에서 입시정보 물어보지 말아요 11 ㅇㅇ 2018/12/14 3,640
883619 숭실대 컴공 vs 아주대 전자공 33 고3 2018/12/14 11,298
883618 저 아까 울었어요 17 ㅜㅜ 2018/12/14 7,138
883617 저도 연예인 본 ㅎㅎㅎ 1 tree1 2018/12/14 2,785
883616 진학사 불합 4칸이면 백퍼 탈락일까요? 9 에고에고ㅠ 2018/12/14 3,793
883615 응급실 앞서 기다리는 반려견들 5 사람보다 낫.. 2018/12/14 2,339
883614 방어는 무슨 맛인가요? 6 ㅡㅡ 2018/12/14 2,003
883613 이중언어하는 엄마를 봤어요 13 .. 2018/12/14 10,402
883612 성대 이대 캠퍼스만 비교 44 대학캠퍼스 2018/12/14 3,706
883611 바람둥이가 맘잡고 정착한 경우 보셨어요? 37 ㅇᆞㅇ 2018/12/14 12,152
883610 12개월 아기 4 .. 2018/12/14 1,418
883609 간호학과 결정 도와주세요 10 고3엄마 2018/12/14 2,658
883608 미인은 멀리서봐도 눈에 띄나요? 5 2018/12/14 3,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