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복지정책 계속해서 반대하는 사람들 왜 그럴까요?

safi 조회수 : 2,015
작성일 : 2011-09-20 11:06:18

여름의 지리했던 장마도 다 끝나고 이제 선선한 가을 바람이 불어오는데

복지정책 얘기는 사그라들 줄 모르고, 연고전을 타이틀은 반값등록금이라니... ...

그럼 그냥 복지 정책 하게 내버려둬보지

복지정책 반대하는 분들도 참 지치지 않고 반대를 하십니다.

 

가만히 생각을 정리해 보는데

이런 잠정적인 결론에 이르게 되네요.

 

복지정책 반대하시는 분들도, 결국 복지가 판을 치면 복지 혜택 받으실 것이고

서울시 무상급식 때, 복지정책 반대하시는 분들의 자녀들도 무상급식 받으니 편할 것인데

 

왜 그렇게 도시락 싸들고 다니며 복지정책을 막으려는 것인까요?

 

반대해서 돌아오는 건, 욕 아니면 손가락질인데... ...

 

참~~ 이상한 사람들이란 생각이 들어요.

 

그분들도 똑같이 자기 눈 앞에 놓인 이익이 뭔지 분명히 알텐데

다 같이 나눠먹는 콩고물 같이 먹으면 맛도 좋고 배도 부르고 두루두루 좋다 할텐데...

 

왜? 왜? 왜 일까?

 

적어도 복지정책 반대하시는 분들이, 개인적인 유익만을 생각하며 그러는 건 아니란 결론에 다다릅니다.

뭔가 개인의 이익 그 이상을, 더 멀리를, 더 넓게 바라보고 있는 것만은 분명하다는 거죠.

 

얼마전에 보니 독일판 경제전문지 포커스에

'유러 패밀리안의 사기꾼들'이라는 제목으로 글이 실렸네요.

 

내용인 즉, 이렇습니다.

 

전문가들은 그리스 경제 후퇴가, 눈 앞의 선거 승리에만 몰입한 정치꾼들의 포퓰리즘과 부패에서 비롯됐다고 분석한다는 것입니다. 인기영합주의에 물든 복지정책은 국세를 퍼주기에 이르고 결국 그리스 경제를 말아먹게 되었다는 것. 

 2001년 그리스는 유로존에 가입하면서 경제에 광명의 빛이 비추며 2008년까지도 높은 경제 성장률을 보였지만

인기영합주의를 기반으로한 세력이 정치권에 득세하여 포퓰리즘 정책을 펼치면서 단 몇년만에 그리스 경제 공든탑이 와르르 무너졌다는 것!!!!

 

이와 함께 세계 5대 강대국에 진입했다가 포퓰리즘 정책으로 인해 몰락한 아르헨티나, 미국과 쌍벽을 이루며 세계 경제를 주도할 줄 알았으나 과도한 복지예산으로 재정적자에 허덕이는 일본까지....

 

복지 포퓰리즘이 쓸고 지나간 자리는 그야말로 절망, 폐허뿐이죠.

인기몰이용으로 복지정책 내세우며 진짜 국일을 위한 심각한 고민 없이

나라를 위한 자기희생없이 대한민국 정치계에 무혈입성하겠다는 이들의 야욕.

 

인기도 하나도 없고 늘 욕만 먹으며 꼴통이라는 소리들으면서도

전세계의 경제를 타산지석삼아 국익을 위해서 도저히 두고볼 수만은 없기 때문에

복지 포퓰리즘을 반대하지 않을 수가 없어서, 자신의 안위를 벗어던지는 이들의 소망.

 

그래도 한번은 생각해봐야하지 않을까요?

복지정책을 계속해서 반대하는 사람들이 도대체 왜 그러는 건지 말입니다.

 

 

 

 

IP : 220.79.xxx.69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복지는
    '11.9.20 11:10 AM (1.177.xxx.202)

    누구돈으로 하는거죠?? 장관들 돈으로 하는지 아님 국회의원 돈으로 아님 명박이형 자산으로...??
    아니죠 국민세금으로 하는게 복지입니다.. 결국 복지를 할려면 세금이 필요하고 돈을 거둬들여야 하죠
    그럼 결론은 뭡니까 ?? 수도세 전기세 올리고 장사하시는 서민들 세금부담 가중시키고 담배세 교육세 인상하고 의료보험 수가 인상하고 소득세 더 올리고 지방세 올리고 .. 결국 국민들 주머니 털어서 하는게 복지인데
    찬성할 사람 누가 있습니까?? 내가 돈 안내고 복지혜택 준다면 싫어할 사람 누가 있을까요??

  • 추억만이
    '11.9.20 11:14 AM (220.72.xxx.215)

    아래에도 적었지만,이런 분 들이 반대 하시는 거죠 :)
    현재 대한민국에 복지정책이 매우 미미한 수준이므로, 이 수준을 약간 올리는 것은
    세수 조율을 통해서도 충분히 가능 한 부분입니다.

    간단한 예가, 서울 무상급식과 같은 것이죠
    전국의 지역에서 무상급식을 하는 지역이 점점 늘어나는데 세금이 눈덩이처럼 불지 않습니다.

    물론 약간의 부담이 늘 수는 있습니다만,세수조절로 충분히 가능 할 수 있습니다.

  • 2. 추억만이
    '11.9.20 11:11 AM (220.72.xxx.215)

    복지가 뭔지 모르고 세금폭탄 맞는구나 라고 생각하기 때문이죠..

    노통때, 언론에서 종부세 폭탄으로 연일 신문에 난리였던 적이 있었죠?
    그때, 가장 흥분 했던 사람들은 종부세 대상이었던 사람이었을까요?
    전혀 대상과는 거리가 먼 분들이죠

  • 3. 나라냥
    '11.9.20 11:14 AM (61.36.xxx.180)

    복지혜택을 안받는 사람들.. 그러니깐 돈있는사람들은, 세금은 많이 걷어가며 나한테 돌아오는건 하나도 없으니.
    이러니 반대하는거겠죠.
    있는놈들 돈 좀 나눠서 어려운사람 좀 돕겠다는데.. 그거몇푼이 아까워서....

  • 4. ...
    '11.9.20 12:00 PM (119.64.xxx.92)

    복지는 당연히 확대해야 하는건데요.
    복지가 늘어날수록 부자들한테 삥뜯는것으론 부족합니다.
    복지를 하려면 그만한 세원을 마련해야 하는데요.
    요즘 20대 태반이 백수라던데 10년, 20년후에 도대체 누구한테 세금을 걷어서 복지혜택을
    주려는건지 모르겠어요.
    산업구조 개편, 경제개혁으로 세원 확보를 도모해야 하는데
    이건 신경도 안쓰고 엄한 복지 갖고 여야가 싸우고들 있으니 정말 한심한 노릇이죠.
    이때문에 제가 안철수를 지지하는겁니다만..ㅋ

  • 5. 지나가던 개가 웃겠는걸
    '11.9.20 11:40 PM (68.36.xxx.72)

    '꼴통 소리를 들으면서까지 국익을 위해 자신의 안위를 벗어던지는...?'
    수구꼴통들의 숭고한 헛발질이겠지요.

    원글자는 복지가 왜 꼭 세금폭탄으로 돌아온다는 건지 근거를 댈 수나 있을런지..
    하긴 갖다 베꼈을테니 다른 생각은 있지도 않을거라 보이지만...

    복지에 필요한 돈은 꼭 국민의 세금을 '더' 올려야만 나오는 것은 아닙니다.
    현재 대한민국을 볼 때 그 필요한 돈은 국민의 세금을 더 걷지 않아도 마련될 수 있지요.
    명박이부터 나서서 부자들의 세금을 깎았으니 그것만 제대로 돌려놓아도 얼마는 마련되겠죠.
    한국의 부자들이 세금 적게 낸다는 것을 다 아는 사실..게다가 대기업들도 자기 자식들에게 물려주려고 여러 세금을 속여서 안 내고 있는 것도 다 아는 사실.
    게다가 명박이의 4대강 헛짓으로 22조, 그러고도 제 2의 4대강 사업의 필요성을 주장하면서 20여조가 더 필요하다고 얼마전 말했죠. (정신이 나간 것이 확실함)
    현재 백수 오세훈이 겉멋만 들어서 정치적 이미지 세울려고 헛짓하면서 생긴 서울시 빚 25조.
    자원외교니 주가조작이니 해가며 정부차원에서 사기질로 날린 돈도 몇 천억...

    사람들이 무지한 것인지 이렇게 눈 앞에서 몇십조, 몇천억이 줄줄 버려지고 있는데, 그것도 피같은 내 세금이 정치인들 몇 몇이 자신들의 부를 축적하기 위해 쓰고 있는데도 멍청하게 가만히 있고 억울해 하지도 않으며 불만도 표출하지 않고 자신들과 자신들의 후손에게 도움이 될 복지 정책에 쓰일 690억 정도의 돈에만 눈에 핏발을 세우며 세금폭탄 불러오는 망국적 포퓰리즘이라는 사기꾼들의 호소에 넘어가는 우매함이란...

    다시 말하는데 4대강 그만두고 국회의원들의 쓸데없는 월급과 여러 비용, 부자 증세가 아닌 원래 내야할 만큼 세금내기, 한강르네상스나 서해뱃길, 광화문광장 바닥에 비만 오면 갈라져 터지는 대리석 깔기...이런 것만 없애도 복지 정책에 필요한 돈이 상당부분 감당될 것으로 보입니다.
    따로 국민들의 세금을 올리지 않고 말이죠.

    한나라당이나 명박이가 이러한 인터넷 알바를 쓸 돈만 줄여도 더 많은 곳에 필요한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951 여름에 팥빙수 하고 남은 단팥으로 찐빵 만들 수 있을까요? 10 요리초보 2011/09/22 2,284
16950 원고지 작성법,, 3 ,, 2011/09/22 2,097
16949 오늘 ebs 60분 부모 보신분 계시나요? 1 이쁜이맘 2011/09/22 2,346
16948 공무원 횡령 뇌물 배임이 왜 최근 3년새 급증했을까요? 9 지나 2011/09/22 2,226
16947 나이 먹어면 먹을수록 1 2011/09/22 2,253
16946 키친 톡에 있는 글 옮겨봤어요. 3 톡톡 2011/09/22 2,329
16945 주식하시는 분 참고하세요 2 셀코리아시즌.. 2011/09/22 4,235
16944 입술이 자꾸자꾸 말라요 1 헬렐레 2011/09/22 4,557
16943 대구 사시는 중학생 엄마들.. 시험문제 어렵지 않나요? 1 .. 2011/09/22 1,895
16942 족보닷컴 이용에 대해서..(어렵게 내는 학교?) 6 뒷바라지.... 2011/09/22 2,691
16941 해병 22% "구타ㆍ가혹행위 필요" 1 세우실 2011/09/22 1,678
16940 쟈스민님의 오이샌드위치 레시피 어디에 있나요? 4 오이샌드위치.. 2011/09/22 2,828
16939 우체국 주소이전 서비스 효과보신 분 계세요? 8 이사 2011/09/22 6,505
16938 중딩용 기적의 계산법 있나요? ... 2011/09/22 2,323
16937 세조랑 문종이랑 어머니가 같나요? 9 .. 2011/09/22 4,165
16936 비염땜에 유근피사왔는데요,어떻게 먹어요? 8 반짝반짝 2011/09/22 3,569
16935 가산 중학교 어떤가요? 금천구 2011/09/22 1,731
16934 유럽여행기 추천 해주세요 유럽 2011/09/22 1,776
16933 청계천 근처 도장파는 곳 추천부탁드려요 타히티 2011/09/22 2,269
16932 초등6학년 여아인데요 한자를 첨 하려구 해요 4 한자 2011/09/22 2,362
16931 남편이 중국출장 첨으로 가는데요 2 출장 2011/09/22 3,497
16930 고추보다 매운 시집살이는 언제부터?? 친영례와 서류부가혼.. 2 한국의 결혼.. 2011/09/22 3,382
16929 아들 비타민 2 비타민 2011/09/22 2,019
16928 네이버에 레몬테라스에서 강제탈퇴 당했는데 방법이 없나요? 3 아마폴라 2011/09/22 4,187
16927 영어만화나 책이나 읽으면 영어... 2011/09/22 1,7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