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대x전자 제품질과 서비스 원래 이런가요?

ajdajdajd 조회수 : 811
작성일 : 2018-08-15 23:49:44
어디에다 글을 올려야할지 잘 몰라서 우선 여기에 글 올려요.
살림 고수님들 조언 좀 부탁드립니다.

저는 해외에서 오래 살다가 얼마 전 귀국한 사람입니다. 
살림살이를 모두 장만하는 과정에서 세탁기의 경우 대x전자 것을 추천을 많이 받았고, 
외국에서 빈손으로 들어왔기에 자금도 넉넉치 않은 탓에 대x전자 통돌이 세탁기를 구매했습니다.
엘지것을 구매하려했는데 세탁기가 얼마나 다르겠어..라고 선택을 바꾼 제게 넘 화가 나고 후회스럽습니다.

구매이후 빨래는 3-4번 돌렸어요.
남편과 저 둘 뿐이기에 일주일에 한두번이면 빨래는 충분히 가능한 상황입니다.
그런데 옷 양이 조금 많아지면 탈수가 좀 잘 안된다는 느낌이 있었어요. 옷이 한 쪽으로 뭉치면서요. 균형이 안맞으니까요.
그리고 먼지가 많다는 생각도 했습니다. 세탁기에 자체적으로 부착된 먼지망을 빨래 직후 매번 제거하지만 세탁 후 옷을 널때 나오는 먼지양 옷에 대놓고 묻어있는 먼지양이 장난 아니더군요.

그러다 이번주 월요일에 이불과 이불커버, 수건 포함 적은 양의 빨래를 함께 돌렸어요.
여름 홑이불이고, 이불을 제외한 나머지 빨래는 많지 않기 때문에 문제될 일이 없다고 생각했습니다.
자동코스로 돌려놓았는데, 아무리 지나도 계속 세탁기가 돌아가는 소리가 나서 보니 탈수가 안되고 있었어요.
이불때문에 균형이 맞지 않아서, 제가 직접 손으로 균형을 조금 맞춰주면 탈수가 되다가 다시 물이 나오면서 헹굼 탈수 과정으로 반복이 되더군요. 이 과정을 무려 5번이나 거쳤습니다.

고객센터에 전화해서 이 상황을 문의하니, 우선 이불을 제거하고 탈수를 하라고 알려줬어요.
저는 구매한지 한달만에 이런 일이 생기는게 이해가 안되고 먼지를 포함하여 매우 불만족스러우니 리턴하고 싶다고 얘기햇습니다. 고객센터에서는 기사가 방문해봐야 알 수 있다면서 다음 주 월요일로 방문날짜를 잡아주었어요.

그러다 오후에 갑자기 한 기사분이 전화를 주시면서 지금 집이니 방문해도 되냐고 묻더군요. 
그렇게 기사분이 방문하셔서 보시더니 

1. 원래 이불은 다른 빨래와 같이 돌리는게 아니다.
2. 먼지양이 많은 것은 특히 이불빨래를 할 때 나타나는 증상인데, 이는 물을 많이 넣으면 된다.

라고 말씀하시더군요. 

저는 이해가 잘 안되는게, 그럼 자동빨래 기능은 왜있는거죠?
세탁기 전원을 키고 동작을 누르면 제일 먼저 부피/무게를 세탁기가 감지하여 물높이르 계산하면서 자동으로 세탁이 시작되는데요. 그럼에도 수동으로 물을 많이 넣어야 한다면 그만큼 제품의 성능이 좋지 않다는 걸 얘기하는거 아닌가요?

기사님은 지금 현존하는 세탁기 중 이 세탁기의 먼지거름망이 젤 발전된 단계이고, 어떠한 회사의 제품도 마찬가지라고 말씀하셨어요. 

제가 고객센터에도 리턴하고싶다고 얘기했고, 기사님에게도 그렇게 말씀드렸더니, 계속 제품에 문제가 없고 단지 수동으로 물을 많이 넣으면 되고, 이불은 단독세탁하라고 말씀하셨습니다.
그리고 탈수 문제는 균형을 잡는 센서가 지금 예민하게 설정이 되어 있으니, 이를 조금 조절하겠다고 하셨구요.

제가 계속 화가 나는 것은 
1. 이불 단독세탁을 반드시 해야한다면 적어도 매뉴얼에 써있어야 할텐데 그런 말이 없습니다.
2. 한겨울 극세사 이불도 아닌, 여름 홑이불 적은 양의 빨래를 15키로 세탁기가 제대로 탈수를 못한다는게 이해가 안되며
3. 실망스러운 고객센터의 반응-즉, 물을 많이 넣고 이불을 단독세탁하면 되는 것이고 제품에는 아무 문제가 없다. 라고 같은 말만 반복하는 거죠.

지난 10년간 월풀사의 세탁기를 썼는데, 심지어 세탁거름망이 없었음에도 이런 양의 먼지가 붙어있었던 적은 단 한번도 없습니다. 여름이불보다 더 두꺼운 간절기 이불과 옷가지를 같이 세탁해도 탈수 아무 문제 없구요.

아래 첨부파일로 빨래의 양과 먼지양을 올리려 했는데, 첨부가 안되네요.
제가 잘못알고 있는 것이라면, 즉 원래 이불은 단독세탁이 필수이며, 수동으로 물 양을 많게 맞추는게 정상이라면 알려주세요. 조언 부탁드립니다.


IP : 221.167.xxx.35
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ㅁㅁ
    '18.8.15 11:58 PM (175.119.xxx.22)

    저도 통돌이 옛날부터 계속사용하고있어요 저도 보편적으로 고객센타에서 알려주신방법으로 사용은해요 빨래양으로 자동급수는 되지만 다시보고 모자를듯싶으면 추가로 물더넣어요 물론 이불빨래도 단독으로돌리구요 단 저도 구입한지 거의 7년이상된 세탁기이고 최근 통돌이는 아니여서 기술발전이 얼마나된건진 모르겠어요

  • 2.
    '18.8.15 11:59 PM (114.203.xxx.174) - 삭제된댓글

    전 님과 반대로. 같은이유로삼★제품쓰다가 대★로 바꿨네요
    처음 세탁기는 이불 빨때마다 계속 헹굼이 도는 현상,
    먼지가 그대로 붙어있거나 하는 현상들이 1년 계속되었는데
    1년지나 또 as요청했는데 여기저기 전화하더니
    감가삼각해서 입금받았어요
    이불은 마지막 탈수할때 500짜리 생수병에 물가득담아
    두세개를. 간격띄워 넣어서 눌러주니 해결되었어요
    먼지는 흡수를 못하니 빨아도 많이 붙어있어서
    개인이 해결할 수 없었네요
    새로 산 가장 기본형 세탁기는 아주 만족합니다
    회사상표의 문제가 아니라 볼불복 뽑기가. 잘못된
    경우예요

  • 3. 비옴집중
    '18.8.16 1:29 AM (182.226.xxx.200)

    2012년 대우 통돌이
    탈수 안돠서 며칠 전 에이에스
    십만원 들여 고쳤어요
    빨래 가득 하던 중이라 할 수 없이 ㅜ
    다신 대우 안시려구요
    여기서 대우 추천 믾이 해서 샀는데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847109 트림을 너무너무 많이 해서 병원 가보신 분.....ㅠㅠ 4 건강 2018/08/23 1,616
847108 에어 프라이어 홈쇼핑보면 뻥같어요 16 에어 2018/08/23 4,722
847107 주택화재보험 파는 곳 주택화재보험.. 2018/08/23 628
847106 이번 태풍 세기가 어느 정도인가요 5 ㅇㅇ 2018/08/23 1,070
847105 82의 자정작용—알아서 다들 피해서 읽고있네요 31 그나마다행 2018/08/23 880
847104 삼성바이오로직스, 고의로 공시 누락, 중대하게 위반 11 조용하네 2018/08/23 790
847103 어제 밤의 일입니다. 제가 어떻게 해야 할까요? 99 마음가짐 2018/08/23 25,512
847102 시인과 촌장 - 좋은 나라 4 ..... .. 2018/08/23 437
847101 요즘 82 저절로 광고나오고 2 ... 2018/08/23 319
847100 베이비시터 이모님 축의금 정해주세요~~ 12 ... 2018/08/23 2,342
847099 학교가는걸 즐거워하는 16 아이들도 2018/08/23 1,614
847098 파도야ᆢ정태 어찌된건가요 6 정태야 2018/08/23 1,028
847097 무선청소기 어떤걸 사야하나요. 5 다*슨과 코.. 2018/08/23 1,806
847096 사춘기아들 5 45689 2018/08/23 1,293
847095 12년 안보고 산 엄마가 딸 사망보험금 받고싶은지... 9 욕나온다 2018/08/23 4,753
847094 중3딸 데리고 학원가는길에 라디오 들었어요 17 배캠 2018/08/23 2,795
847093 ((불교)) 붓다의 삶에서 뽑은 명장면 - 한 끼의 유혹 4 extrav.. 2018/08/23 841
847092 유시민: 이해찬은 친노좌장이 아니고........ 34 노노 2018/08/23 2,144
847091 이 정도 다이어트도 효과 있을까요? 3 아이두 2018/08/23 1,144
847090 티비와는 다른경제뉴스 2 ㄱㄴ 2018/08/23 243
847089 수영장에 이런경우 왜그런거에요? 3 ㅇㅇ 2018/08/23 1,841
847088 초3 구몬 5개 하면 너무 많나요? 18 구몬 2018/08/23 3,664
847087 500만원 어떻게 불려야하나요? 10 @@ 2018/08/23 3,505
847086 오전에 외출할껀데 창문 어쩌죠?(서울) 4 태풍 2018/08/23 1,202
847085 볼살 안 빠지고 탄력 올리는 홈케어 있나요? ㅇㅇ 2018/08/23 4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