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다들 어떻게 지내시고 계시나요?

노후 생활 조회수 : 1,159
작성일 : 2018-07-23 17:47:40

남편이 이제 퇴직이 좀 남아있는 부부예요.   

여러번 나온 얘기이지만 다들 어떻게 보내시는 지, 아니면 앞으로의 계획이 어떠신지 등등

수다 떨듯이 얘기하고 싶네요. 

남편의 퇴직에 대한 충격이랄까,, 제가 요 며칠 갑자기 공황장애가 오는 것 같은 답답함이 밀려오네요.

IP : 49.142.xxx.151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지나가리
    '18.7.23 6:16 PM (121.141.xxx.251)

    남편의 퇴직에 대한 어떤 충격을 의미하시는지?

    경제적인 부분? 아님 같이 집에 계속 있어서 겪게 되는 갈등들?

  • 2. 원글
    '18.7.23 6:30 PM (49.142.xxx.151)

    관심 감사드립니다.

    어찌 보면 모두 이기도 한데요...
    나름 경제적인 부분은 준비한다고 했는데 계획과 현실간의 괴리가 생겼네요.
    아이들 취직 문제 등등.. 연금도 몇 년이 지나야 나오니 지금 있는 돈을 써야하고...

    남편이 열심히 아끼며 산다고 했는데 눈앞에 다가온 퇴직으로 그런지 입맛도 없다 하고
    살도 많이 빠지고 그러네요. 저 역시도 남편과 같이 시간을 보낼 생각을 하면 남편을 정말 많이
    사랑하지만 많은 시간을 보내도 문제, 그렇다고 밖으로만 도는 것도 안좋을 거 같고...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겠는 그런 심리적인 불안상태... 등등이요

  • 3. 지나가리
    '18.7.23 7:04 PM (121.141.xxx.251)

    제 남편은 대기업 퇴직후 중견 기업에 다니다가 3년 전 퇴직했습니다. 제 남편도 책임감이 강한 사람이라 걱정이 많았겠지요. 그 때 제가 그랬어요 이제 우리 나이는 점점 내려 놓을 때라고. 젊어서처럼 저축도 하고 그럴 생각은 말고 그냥 있는 돈 쓰면서 사는 시기라고. 그 때가 아마 남편 나이 59세쯤이었을 거예요 가진 돈이 줄어 드는 것에 너무 마음 쓰지 말라고 아이들에게 아무것도 안 남겨도 된다고 지금은 사업을 하는데요, 저 말을 두고 두고 고마워해요

  • 4. 지나가리
    '18.7.23 7:20 PM (121.141.xxx.251)

    일어나지 않은 미래에 대해 지나치게 불안하고 초조함을 느낄 필요는 없다고 봐요 전 나이들 수록 규모를 줄여야 한다고 생각해요 주거의 규모도 줄일 필요가 있고 식생활도 간단히 해야 해요. 저희는 집도 방하나에 큰 거실겸 사무실을 두어 남편이 재택근무를 하구요 점심만 제대로 된 밥을 먹습니다. 일년전 아래층 이웃이 된 87세 시어머니와는 남편이 집에서 일하는 날 만 점심을 같이 먹습니다.

    남편과는 서로의 독립된 생활을 인정해줘야 해요. 제가 아이들을 만나러 외국에 삼개월에 한번씩 가서 3개월식 있다가 와요, 덕분에 남편의 음식에 대한 관심이 지대해요.(백선생 덕분) 정해놓은 것은 없으나 남편이 음식을 하고 싶어 할 때가 있어요 그러면 전적으로 남편에게 맏깁니다. 잔소리 안해요. 먹고 나서 맛있게 먹었다고 인사해 줘요. 단점은 제가 음식을 할때 남편이 참견해요 그러면 협박합니다. 나 이거 다 버린다고 그러면 입 꾹. 남편이 재택근무해도 저는 외출 할 것 다 합니다. 제가 외출하면 남편이 시어머니랑 밥해서 먹어요 남편에게도 취미 활동하라고 배려해줍니다. 남편도 월 2-3번의 산악회, 월 1회 당구 모임 갑니다. 저는 같은 취미아니어서 같이 안해요 남편과는 일주일에 한번 정도 둘레길 등산 정도해요.
    저희는 31년차 부부인데요 더 나이들어도 이렇게 살 것 같아요

  • 5. 지나가리님
    '18.7.23 8:30 PM (203.226.xxx.246)

    실생활의 모습이 이상적으로 보여요.
    남편, 시어머님과 님이 지내시는 모습도 관계가 잘 정리되었네요. 가장 부러운 건 남편이 님을
    신뢰한다는 거예요.

    살아오며서 여러 문제로 인해 제가 신뢰를 잃은
    게 제겐 큰 오점으로 남았어요. 저도 외국계 회사도 10년 넘게 다니고 나름 잘 나가고 딸, 아들
    낳고 참 잘 나가돈 때가 있었어요. 남편 퇴직이
    다가오는데 결혼 초중반까지 호기로웠던
    때는 지나가고 노모의 병환, 두 아이들의
    취직, 대학, 남편의 퇴직 등등 모든 어려움이
    최근 몇년을 계속 힘들게 하니 늘 무거운
    삶처럼 느껴져요.

    님의 삶에서 잠시 라도 위로 받았어요.
    감사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835536 안경은 시력이 얼마 정도일때 쓰나요? 4 걱정맘 2018/07/24 1,644
835535 에어컨 하루종일 트시는분들 환기는 어찌 13 여름 2018/07/24 8,692
835534 이 정도면 많이 꼰대인건가요? 7 오케이강 2018/07/24 1,472
835533 혹시 지금도 기무사문건 실행될수있나요?? 6 ㅇㅇ 2018/07/24 621
835532 150조 원 보물선....돈스코이호 사진에 웬 타이타닉 영화 장.. 2 4월에눈 2018/07/24 1,677
835531 눈물이..... 2 해지마 2018/07/24 667
835530 KAL 858 유족회 "안기부 끄나풀 김현희를 고소한다.. 퀘백 2018/07/24 740
835529 학교 행정실 직원들 몇시에 퇴근해요? 5 ㅇㅇ 2018/07/24 11,896
835528 [펌] 노동자 대변한다면서 아내의 운전기사는 웬일인가요 - 조선.. 12 눈팅코팅 2018/07/24 2,962
835527 수제버거는 몸에 안나쁜가요? 4 ㅇㅇ 2018/07/24 1,922
835526 여자가 200벌기 아직도 어려워요 60 ㅇㅇ 2018/07/24 20,369
835525 티비를 정말 너무 좋아하는아이 2 아정말 2018/07/24 1,113
835524 소고기 비빔밥용 고명은 어디 부위로 만드나요? 1 .. 2018/07/24 1,278
835523 검찰조사로 자살 정말 많은데, 좌파쪽 한명죽으면 난리 나요 23 사람차별 2018/07/24 2,186
835522 노회찬 의원 최후 행적 4 샬랄라 2018/07/24 4,860
835521 조원진 감옥 보낼수 없나요? 7 저사람 2018/07/24 1,548
835520 다시 없을 사람 2 2018/07/24 737
835519 운동 기구 보수볼 1 빠빠빠후 2018/07/24 645
835518 생리가 12일째 3 2018/07/24 1,923
835517 카톡 친구추가 해 놓은거 상대방이 아나요? ........ 2018/07/24 12,559
835516 이읍읍 볼 때마다 무간도가 생각나네요 이젠 1 해시계 2018/07/24 646
835515 노의원 지지자가 아닌데도 가슴이 먹먹해요 5 2018/07/24 708
835514 윗쪽지방에서는 은근히 경상도 사람, 경상도 지역을 곱깝게 보는 .. 40 renhou.. 2018/07/24 5,921
835513 어제 이재명 호위하던 청원굥찰이 조폭이라는 말이 있는데 2 청원경찰 2018/07/24 1,162
835512 에어컨 미세먼지 필터링 되나요? 6 ㅇㅇ 2018/07/24 7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