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4년전에 강남에 집 샀으면

.... 조회수 : 6,532
작성일 : 2018-07-15 11:59:26
자산 5억에
대출 껴서 10억 또는 8억짜리를 샀으면
지금 20억도 됐겠죠?
가계부 정리하다가 이런 생각이 드네요

IP : 223.33.xxx.11
2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8.7.15 12:02 PM (119.207.xxx.31) - 삭제된댓글

    4년뒤에도 이런글 또 볼거같아요

  • 2. ...
    '18.7.15 12:02 PM (220.78.xxx.242) - 삭제된댓글

    그맘때 고민하다 대출 부담되서 근처 동네 샀는데 상승폭이 다르네요 ㅠ

  • 3. ..
    '18.7.15 12:09 PM (49.169.xxx.133)

    지금은 어디에 사시는데요.

  • 4. winter
    '18.7.15 12:10 PM (125.132.xxx.105)

    그런 아쉬움은 늘 있는 거 같아요. 대출 받는게 쉬운 일이 아니라서요. ㅠㅠ

  • 5. 대출이자는?
    '18.7.15 12:15 PM (175.193.xxx.206)

    그렇게 장만한 사람들도 있는데 좋은면만 있진 않아요. 건물은 있지만 삶의 질이 완전 지나칠정도로 검소해서 같이 밥먹기도 어려워요.

  • 6.
    '18.7.15 12:31 PM (49.167.xxx.131)

    그생각을 하나마나한 생각이죠 ㅋ 누구나하는 생각이기도하고

  • 7. ㅇㅇ
    '18.7.15 12:32 PM (58.140.xxx.134)

    대출이자만 월 100만원넘게 감당하면서 미래를 내다보고
    강남아파트 투자할 사람정도면
    강남 아파트안사고 다른데 투자했어도 이미 엄청 벌 사람들.
    대부분은 이거 많이 오른다고 알려줘도 미심쩍어서 대출까지받아가며 투자 절대안함

  • 8.
    '18.7.15 12:43 PM (175.223.xxx.179)

    제가 그랬는데 그렇게 버라이어티하게 안올랐어요ㅋㅋ
    그리고 올랐다고 팔고 다른 지역으로 이사갈것도 아니고
    무슨 소용있나요;;

  • 9. 그게
    '18.7.15 12:51 PM (119.70.xxx.59)

    그 당시엔 더 떨어질거같고 그래서 대부분 못사요. 지나고나서 뭐 할걸 살걸 뒷북치는거지

  • 10. 이니이니
    '18.7.15 12:55 PM (223.39.xxx.177)

    이래도되나싶을정도로 저희집도 많이올랐어요..2014년 여름에 계약했는데 배가되었네요..그냥 초등학교하나보고 이사했는데 봉사가 문고리잡은격..

  • 11. ,,
    '18.7.15 12:59 PM (180.66.xxx.23)

    4년전도 아니고
    작년에 7억에 사서
    6억에 전세 줬나봐요
    1억 주고 갭투자 한게 지금 10억이 넘었다네요
    그집 천만원 깍을려다 못깍고 안샀더만
    그리 오를지 몰랐네요

  • 12. 참나
    '18.7.15 1:30 PM (223.62.xxx.28)

    박근혜정부때 집사라고 해도
    정부 욕이나 해대며 집사면 바보라더니
    이제와서 후회라니..

    지금은 문재인 정부가 막아놔서 대출도 안나오고
    사지도 못할뿐더러 집값이 내려 가지도 않아요
    돈없는 서민이 집사는 시기는 박근혜때가 마지막이였죠

    대출이자도 껌값에 집값은 오르지
    진짜 거지같던 인생이 이렇게 바뀌는 게 신기하던 때죠

    이젠 끝났어요
    서민들은 정부지원금 푼돈이나 받아먹으며
    평생 그렇게 살겠죠

  • 13. 사람들이
    '18.7.15 1:38 PM (211.245.xxx.81) - 삭제된댓글

    다 강남 사라는 법도 없고 싼집 많이 공급해준다는데 그럼 된거 아닌가요? 강남은 그냥 그들만의 리그로 냅두면 될듯.

  • 14. 싫다
    '18.7.15 1:55 PM (39.7.xxx.234)

    주변에 그 시기에 집 팔고 갑자기 없는 사람된 분 있어요.
    그 스트레스는 너무 심해서 가족이 흔들리더라구요.
    이런 말 좀 대놓고 안했으면.
    누가 이익 보면 누군가는 피눈물 흘려요.

  • 15. 지난
    '18.7.15 2:24 PM (59.28.xxx.102)

    223.. 님은 대출 왕창 풀어준 박근혜정부가
    마냥 그리우신가 봅니다
    미국발 금리 올해만 3번은 올린다는데
    한은도 올리겠다고 하고
    뭐가 좋은건지 잘 생각해보세요
    결국 부동산운은 본인 몫입니다

  • 16. 만약은
    '18.7.15 2:31 PM (223.62.xxx.165)

    없어요. 만약 했더라면~ 이건 본인의 상상력
    하는 사람들은 이미 했겠죠.

  • 17. 6769
    '18.7.15 4:31 PM (211.179.xxx.129)

    박근혜때 가계대출 너무 심하게 내 줘서 금리도 못올리고
    지금 경제가 더 어려워 진다는데
    박근혜가 서민 집 사는데 도움 준 거처럼 말 하는
    분도 있네요.
    그저 내집만 오르면 나라야 망하던 말던 ㅉㅉ

  • 18. ...
    '18.7.15 4:35 PM (180.68.xxx.136) - 삭제된댓글

    그렇겠죠?

  • 19. 그정도로
    '18.7.15 5:07 PM (211.215.xxx.107)

    오르지는 않았어요.

  • 20. ...
    '18.7.15 5:19 PM (211.36.xxx.169) - 삭제된댓글

    금리를 3번 올리든 30번 올리든 고정금리로 해놨음 됐죠.
    미국에서 금리 올린단 말은 2013년부터 했어요. 수년간 말만 하다 이제야 올린거죠.

  • 21. ...
    '18.7.15 5:19 PM (211.36.xxx.169) - 삭제된댓글

    금리를 3번 올리든 30번 올리든 고정금리로 해놨음 됐죠.
    미국에서 금리 올린단 말은 2013년부터 했어요. 수년간 말만 하다 이제야 올린거죠.
    그때 집샀음 망했을거란 말도 어이없는 말이죠.

  • 22. ...
    '18.7.15 5:20 PM (211.36.xxx.169) - 삭제된댓글

    금리를 3번 올리든 30번 올리든 고정금리로 해놨음 됐죠.
    미국에서 금리 올린단 말은 2013년부터 했어요. 수년간 말만 하다 이제야 올린거죠.
    그때 집샀음 망했을거란 말도 어이없는 말이죠.
    망하긴 커녕 최저금리에 집 사서 지금 수억 번 사람들 많아요. 다들 조용히 있는거죠.

  • 23. ...
    '18.7.15 5:21 PM (211.36.xxx.169)

    금리를 3번 올리든 30번 올리든 고정금리로 해놨음 됐죠.
    미국에서 금리 올린단 말은 2012년부터 했어요. 수년간 말만 하다 이제야 올린거죠.
    그때 집샀음 망했을거란 말도 어이없는 말이죠.
    망하긴 커녕 최저금리에 집 사서 지금 수억 번 사람들 많아요. 다들 조용히 있는거죠.

  • 24. ..
    '18.7.15 8:51 PM (110.10.xxx.113)

    저 강남사는데...

    그 정도로 오르지는 않았어요.22222

  • 25. 6년쯤전에
    '18.7.15 8:58 PM (124.54.xxx.150)

    강남에 25평 6억짜리 살까말까 했는데 우리 네식구 들어가 살기엔 넘 좁고 그렇다고 8억넘는 30평대는 사기 어려워서 포기했었어요 그랬는데 그게 9억까지 간거 봤어요 ㅠ 속쓰려서 부동산값 검색안한지 한참됐는데 그때 8억넘던 30평대는 15억은 넘는것 같아요 ㅠ

  • 26. 또 몇년뒤에
    '18.7.15 8:58 PM (124.54.xxx.150)

    얼마올라다고 하더라도 지금은 그돈이 없어 사고싶어도 못사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833599 초복이라 해신탕을 3 더워요 2018/07/17 874
833598 사람만나는게 귀찮은 저같은분... 23 z 2018/07/17 9,961
833597 저는 어떻게 체력을 길러야할까요? 7 저질체력 2018/07/17 1,926
833596 딸의 위로 1 엄마 2018/07/17 876
833595 맛없는 수박 처리 알려주세요. 6 수박 2018/07/17 1,377
833594 직접 본 연예인 중 목소리 듣고 알아본 연예인 있나요? 20 목소리 2018/07/17 4,791
833593 창원시 성주동 유니온빌리지의 분양가는? 2 분양가 2018/07/17 1,296
833592 신부전말기 강아지 원인은 뭔지요 7 슬픔 2018/07/17 3,644
833591 Ted.com 에서 자막은 어떻게 보나요? 5 영어 2018/07/17 737
833590 항문에 힘주고 걸으면 좋아요. 12 걷는법 2018/07/17 7,161
833589 수영 8 수영 2018/07/17 1,642
833588 식탁 디자인 어때요? 실용성 떨어질까요? 5 ........ 2018/07/17 1,580
833587 코스트코·버거킹, GMO 가장 많이 수입 2 배은망덕 2018/07/17 2,438
833586 덥고 짜증나니까 웃긴 얘기 풍년이네요 ㅋㅋㅋ 39 웃자고요 2018/07/17 12,595
833585 10시에 야자 끝나고 집에 와서 씻고 곧바로 자면 공부 생각 전.. 5 고3이 2018/07/17 1,851
833584 정태인이 대선 경선때 이읍읍 지지했군요 8 읍읍이 제명.. 2018/07/17 1,128
833583 혹시 직장인 중 업무집중이 힘들었는데 개선되신 분 있나요? 1 직장 2018/07/17 622
833582 삼계탕 약재(인삼 황기등등) 없이 끓여도 될까요? 6 봉다리 2018/07/17 3,391
833581 성인 영어과외 시세? 3 .... 2018/07/17 2,215
833580 서명자가 70만이 넘었는데 왜 아직도 11 서리풀 2018/07/17 2,951
833579 주차하다가 외제차 긁었는데 비용 문의 21 ㅇㅇ 2018/07/17 10,842
833578 미운 우리 새끼) 박수홍이 한현민 동생들 만난 거 보신 분,,,.. 9 미우새 2018/07/17 5,244
833577 네이버 댓글이 정부에 많이 부정적으로 바뀌었네요. 15 ... 2018/07/17 1,867
833576 혼자 노는 아이 2 도와주세요 2018/07/17 1,462
833575 어느 90세 노인의 후회가 39 ㅇㅇ 2018/07/17 29,1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