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소설가들은 천재일까요?

.. 조회수 : 3,674
작성일 : 2018-07-12 11:16:40
소설가들은
어쩜 그렇게 타인의 심정을 잘 알까요?
어쩜 그렇게 심리묘사를 잘 할까요?

겪어보지 않은 상황을 어떻게 그렇게
잘 알고 잘 쓸까요?

여자작가가 남자의 심정을
젊은 작가가 노인의 심정을 어찌 그리
잘 표현해낼까요?

자신이 겪어보지 않은 직업인의 고뇌를
어쩜 그리 잘 알까요?

취재를 아무리 많이 한다고 해도
정말 너무 신기하고 대단해요.

몇몇 작가는
진짜 천재인거 같아요.

IP : 110.70.xxx.152
2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8.7.12 11:22 AM (58.233.xxx.58)

    모든 소설가들이 다 천재인 게 아니라
    훌륭한 작품을 쓴 소설가들이 천재인거죠.

    어떤 소설을 읽고 그렇게 감동하셨나요 ?

  • 2. ...
    '18.7.12 11:24 AM (121.190.xxx.139) - 삭제된댓글

    이야기꾼이니까 그럴듯하게 쓰는거지
    그쪽의 종사자 아니고는 디테일한건 모르죠.
    종사자들은 말도 안된다고 많이들 하는데요.
    소재는 주변인들이나 이야기를 가진 사람들이
    써달라고, 써보라고 먼저 이야기 많이 해준대요.

  • 3. 포장을
    '18.7.12 11:27 AM (58.124.xxx.39) - 삭제된댓글

    잘 하는 거죠.

    천재가 그리 많지는 않아요.

  • 4. 포장을
    '18.7.12 11:27 AM (58.124.xxx.39)

    잘 하는 거죠.

    천재는 그리 흔하지 않아요.

  • 5. 천재도있고
    '18.7.12 11:29 AM (182.228.xxx.67) - 삭제된댓글

    아닌 사람도 있고. 취재도 많이 해야 사실감이 있고 감동이 있는거죠. 주변에 소설가들 보니깐, 아는 사람들 이야기 쓰는 사람들도 꽤 있었어요. 모 소설가는 퇴직하고 소설 쓰기 시작했는데, 직장 사람들 얘기가 태반이라 다들 너무너무 싫어했어요. 그 소설가 신간 나왔다 하면, 서점에 뛰어가서 읽어보고, 자기 얘기 있나 없나.. 하면서 속상해하고, 자기 얘기 없다고 안도하고.. 그런 풍경 봤습니다. 그것도 못할 짓이예요

  • 6. 창작이잖아요
    '18.7.12 11:30 AM (121.137.xxx.231)

    상상하고 스토리 생각해서 쓰는..
    ...님 말씀대로 이야기꾼요
    물론 스토리를 위해서 인터뷰도 하고 정보수집도 하지만
    세세한 내용과 심리표현은 대부분 창작으로 이뤄지는
    경우가 많죠.

    책도 읽는 사람마다 느끼는 감정이 다르니
    같은 내용으로도 호불호가 갈리는 경우도 많고요.

  • 7. 올해 초부터
    '18.7.12 11:36 AM (110.70.xxx.235)

    세계 단편소설들을 골고루 읽고 있는데요
    정말 너무 좋은 작품들이 많아요.

    요즘은 러시아 단편들 읽고 있는데
    정말 너무 좋아요.

    요즘의 삶의 낙이예요♡♡♡

  • 8. Ii
    '18.7.12 11:53 AM (59.16.xxx.5)

    러시아 단편..어떤 건지 여쭤봐요..

  • 9. 지금은
    '18.7.12 11:59 AM (211.186.xxx.158)

    안톤 체호프 읽고 있고요,
    러시아 단편소설걸작선 읽고 있어요.


    얼마전까지는 가드 모파상 읽었는데
    정말 너무 좋고
    밤: 악몽 이 소설은 밤에 대한 묘사가 너무 탁월해서
    저같이 밤 좋아하는 사람은 그 묘사에 홀딱 반하게 되네요.^^


    한국 단편들도 좋은 작품 너무 많고요^^

  • 10. ㅇㅇㅇ
    '18.7.12 12:07 PM (182.216.xxx.43) - 삭제된댓글

    별게 다 천재네..원글처럼 말하면 어느 분야던지 최고에 오르는 사람은 다 천재.
    그런게 천재면 세상엔 천재가 차고 넘쳐요.

  • 11. ...
    '18.7.12 12:08 PM (222.111.xxx.182)

    타고난 감수성도 있지만 표현도 훈련해요.
    문창과 학생 수업, 시험 방법을 들었던 적이 있는데요.
    달랑 그림 한장, 사진 한장을 주고 어떤 상황인지 글로 적는 연습을 무진장 많이 한답니다.
    등장인물 설정, 관계, 대화를 창작하는 연습을 한대요.

    플로베르라는 작가는 카페에 앉아서 창밖으로 보이는 장면 하나로 어떤 스토리든 만들어낼 수 있다고 했대요. 그게 창작 연습 방법인가봐요.
    예를 들면 남녀가 길에서 싸우는 장면을 보고 있다면 남자는 어떤 인물, 여자는 어떤 인물, 둘의 관계, 지금 싸우는 상황을 설정하고 어떤 말을 하는지를 쭉 써 내려간대요.
    파리에 어떤 사람을 봐도 다 쓸 수 있다고 했다는...
    써 내려가기 전에 꼼꼼한 관찰이 먼저구요.

    타고난 천재일 수도 있지만, 상상을 구체화시키는 습작을 무진장 많이 써서 연습하는 과정을 거쳐야 대작이 나오는게 아닐까 싶어요. 그냥 머릿속에 떠오르는대로 쓰는 건 아닐 것 같아요.
    단편은 그나마 간단하지만, 대하소설 작가들은 인물, 사건 설계도를 그려놓고 쓴다고도 들은 것도 같아요

  • 12. 오 윗님
    '18.7.12 12:11 PM (180.224.xxx.141)

    설명 재밌네요
    저도 종종 말로 그런짓잘하는데
    애들이 맨날 들으며 엄마 소설을쓰세요
    이러거든요
    갑자기 문창과학생이 되고싶네요

  • 13. 문창과라면
    '18.7.12 12:17 PM (110.46.xxx.54) - 삭제된댓글

    합평을 이겨내야 할 듯ㅋㅋㅋㅋㅋㅋㅋ

  • 14. 학교에서
    '18.7.12 12:40 PM (72.80.xxx.152)

    훈련 받아 나오는 작가들은 글이 비슷해요.

  • 15. 왜요??
    '18.7.12 12:41 PM (211.186.xxx.158)

    별게 다 천재면 안되나요??
    별게 다 트집이네.

  • 16. 오~
    '18.7.12 12:47 PM (211.186.xxx.158)

    222님 댓글 읽으니까
    콘스탄틴 스타니스랍스키의 배우수업이라는 책이 생각나요.


    그 책에도 연기력을 기르기 위해서
    하나하나 관찰하는 훈련이 나오거든요!!!!


    ^^

  • 17. 헛!
    '18.7.12 12:56 PM (211.48.xxx.170)

    저도 올해를 러시아 문학의 해로 정하고 톨스토이, 도스토예프스키에 도전하고 있는데 친구 만난 것 같아 반가워요.
    전 톨스토이 단편들부터 다 읽고 전쟁과 평화, 죄와 벌 읽고 지금 까라마조프의 형제들 읽고 있어요.
    전쟁과 평화 읽을 땐 너무 진도가 안 나가고 힘들어서 여기 글까지 올렸는데 여러분이 격려해 주셔서 끝까지 읽어냈구요, 왜 대작이라고 하는지 정말 여실히 느꼈어요.
    그런데 사실 전 명작이라고 하는 책 읽을 때보다 추리소설 읽으면서 작가가 천재라고 생각한 적이 더 많아요.
    특히 개별적 사건들이 모자이크처럼 맞춰져서 마지막에 전혀 예상치 못했던 결말로 딱 들어맞는 걸 보면 감탄이 절로 나오죠.

  • 18.
    '18.7.12 12:57 PM (222.120.xxx.34)

    어느 분야에서든 뛰어난 사람이 천재 맞죠.
    이게 웬 시비거리죠???

  • 19. 추리소설
    '18.7.12 2:33 PM (211.186.xxx.158)

    맞아요.

    안그래도 여름맞이로
    아가사 크리스티랑 아서 코난 도일도 틈틈히 읽고 있는데요
    (사실 추리소설은 거의 안읽고 살았어요)

    야... 이거이거 진짜 재밌네요.
    옛날 작품이라는게 무색할만큼 작가들이 천재적이예요.

  • 20. 어느 분야에서의 최고
    '18.7.12 2:58 PM (178.157.xxx.132)

    그거 천재 맞는데...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851606 누수의 경우 보상받을 수 있는 보험 어디가 좋을까요? 2 감사 2018/09/06 1,137
851605 외제차 타고 하차감 느낀다는 분들은 뭐 타세요? 21 ... 2018/09/06 7,290
851604 작년수능이 물수능이었나요 9 고3맘 2018/09/06 1,640
851603 어른 다섯 명 계시는 곳에 반찬 세가지 13 오지랖 2018/09/06 2,482
851602 크라운 불편함 얼아나 가야 적응 되던가요? 9 ㅡㅡ 2018/09/06 4,001
851601 논술대학 학과 어디에 넣어야 할지 막막해요 2 대학 2018/09/06 1,115
851600 2등급초반 수시상담 9 ... 2018/09/06 2,146
851599 소득주도가 집값 올려서 집 있는 사람 위주로 간다는 뜻인가요 28 .. 2018/09/06 1,812
851598 수시조언 아리송 2018/09/06 721
851597 사랑하는 사람을 하늘나라로 보내고 나서요 18 ... 2018/09/06 6,229
851596 이혼한 시댁 연락 차단해야 할까요?? 7 궁금이 2018/09/06 6,880
851595 파도야 파도야 다시와서 차달래 차라 7 그립네 2018/09/06 1,575
851594 클로렐라 좋은가요? 2 사까마까 2018/09/06 1,100
851593 올해 수능...작년수준일까요..작년보다 좀 쉽게 나올까요 9 dma 2018/09/06 1,126
851592 전기렌지의 최고는 뭐일까요? 8 고민고민 2018/09/06 1,909
851591 엄마가 언니욕... 4 sally 2018/09/06 2,069
851590 드럼용 세제를 통돌이에 사용해도 되나요? 2 오늘이 새날.. 2018/09/06 3,388
851589 일본 지진, 여진 44회..동일규모 지진 발생 가능성 '주의' 7 .... 2018/09/06 1,922
851588 수시착종 1 수시학종 2018/09/06 706
851587 서울대 병원 정형외과 검진하고 치료받는 비용 4 병원 2018/09/06 1,412
851586 악의적인 기레기 기사 VS 상식적인 기사 4 ㅇㅇㅇ 2018/09/06 593
851585 문재인이 싫어죽겠는 기자 18 ㄴㄷ 2018/09/06 2,605
851584 커피 안마신지 4일...ㅠㅠㅠㅠㅠ 21 에공 2018/09/06 6,677
851583 삼계탕 닭고기만 남았는데 먹는법 있을까요? 8 닭고기 2018/09/06 911
851582 이명박 추징액 너무 약하네요...추가 혐의 조사합시다 22 ㅇㅇ 2018/09/06 1,167